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Loan 4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Wenger, Etienne , 1952- 손민호 , 역 배을규 , 역
Title Statement
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 Etienne Wenger 저 ; 손민호, 배을규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7.  
Physical Medium
409 p. : 삽도 ; 24 cm.
Varied Title
Communities of practice :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ISBN
978895891516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95-406),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Organizational learning. Social learning.
000 00879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405938
005 20100806011057
007 ta
008 071022s2007 ulka 001c kor
020 ▼a 9788958915164 ▼g 93370
035 ▼a (KERIS)BIB000011070583
040 ▼a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153.15 ▼2 22
090 ▼a 153.15 ▼b 2007
100 1 ▼a Wenger, Etienne , ▼d 1952- ▼0 AUTH(211009)111717
245 2 0 ▼a 실천공동체 : ▼b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 ▼d Etienne Wenger 저 ; ▼e 손민호, ▼e 배을규 공역.
246 1 9 ▼a Communities of practice :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7.
300 ▼a 409 p. : ▼b 삽도 ; ▼c 24 cm.
504 ▼a 참고문헌 (p. 395-406), 색인수록
650 0 ▼a Organizational learning.
650 0 ▼a Social learning.
700 1 ▼a 손민호 , ▼e▼0 AUTH(211009)83504
700 1 ▼a 배을규 , ▼e▼0 AUTH(211009)44051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3.15 2007 Accession No. 1114464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3.15 2007 Accession No. 11144643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실천공동체(CoP)라는 개념을 상정함으로써 지식창출과 지식경영의 진정한 기반이 무엇인지 밝힌다. 또한 조직혁신, 조직개발, 조직설계 멘터링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고려해야 할 근본적인 항목이 무엇인지 조목조목 설명하였다.

교육학 연구에서 학습의 문제는 전통적으로 심리학적 탐구의 대상, 즉 개인의 심리적 현상으로 당연히 여겨 왔다. 그러나 사회적 추세를 반영하듯 점차적으로 평생교육과 HRD를 비롯한 학습의 생태적 조건과 속성에 관한 논의들이 교육에 관한 공공 담론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교육학 내부에서도 독자적인 탐구 영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실천공동체 개념은 국내에서는 HRD와 경영 분야의 조직이론 또는 조직학습 분야에서 더욱 널리 알려져 있다. 조직이론의 맥락에서 보자면 소위 후기 산업시대에 들어서 지식경영이나 학습조직은 새로운 사회경제적 질서 속에서 지속 가능한 조직의 조건으로서, 그리고 경쟁력 있는 조직경영전략을 구상하기 위한 노력 가운데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였다.

이 책은 실천공동체(CoP)라는 개념을 상정함으로써 지식창출과 지식경영의 진정한 기반이 무엇인지 밝히고 있다. 또한 조직혁신, 조직개발, 조직설계 멘터링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고려해야 할 근본적인 항목이 무엇인지 조목조목 설명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에티엥 웽거(지은이)

캘리포니아주립대에서 인공지능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그의 첫 번째 저작 『인공지능과 튜터링 시스템: 지식 소통에 대한 전산-인지적 이해(Artificial intelligence and tutoring systems: Computational and cognitive approaches to the communication of knowledge)』를 출간했다. 이후 그는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학습연구소(the Institute for Research on Learning)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그의 지도교수인 사회인류학자 진 래이브와 공동으로 저술한 『상황학습: 합법적 주변참여(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로부터 실천공동체라는 개념을 발전시켜 왔다. 그들이 개척해 온 실천공동체라는 개념은 오늘날 교육학에서 새로운 탐구 영역을 정착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경영학과 조직이론에서 지식경영에 대한 이론적·실질적 토대를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 그는 조직경영 분야의 컨설턴트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손민호(옮긴이)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역서로는 『상황학습: 합법적 주변 참여』(역, 강현출판사, 2010), 『실천공동체』(공역, 학지사, 2007),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문음사, 2005)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competence)의 의미: 지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2006), 「학교 수업의 진정성에 관한 일고」(공저, 2010) 등이 있다.

배을규(옮긴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서 학사, 석사를 마치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HRD전공으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휘경여중 교사, 대우인력개발원 과장, 경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메일: ekbae@inha.ac.kr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감사의 글 = 9
프롤로그 : 배경 = 17
 개요 : 학습의 사회이론 = 19
  이론과 실제 = 20
  지적 배경 = 29
  이 책의 구조 = 39
 사례 Ⅰ 청구 담당 부서의 일과 = 43
 사례 Ⅱ C, F, J항 = 68
 요약 : 이해 = 74
제1부 실천 = 79
 도입 I 실천의 개념 = 81
  실천공동체로서의 보험처리사직 = 81
  사회적 실천 = 83
  제1부의 구조 = 86
 제1장 지식 창출의 이중성 = 89
  의미의 협상 = 91
  참여 = 96
  객체화 = 99
  의미의 이중성 = 105
 제2장 공동체의 성립과 발전 = 117
  호혜적 관여 = 118
  공동 업무 = 124
  공동 자산 = 129
  요약 = 132
 제3장 공동체의 실천, 개인의 학습 = 135
  학습사의 이중성 = 136
  학습사 = 145
  세대 단절 = 153
 제4장 공동체의 정체성과 경계 = 157
  경계 영역의 이중성 = 158
  공동체 간 연계로서의 실천 = 170
  실천공동체의 외형적 측면 = 175
 제5장 실천의 사회생태학 = 179
  실천의 공간 = 180
  배치: 실천의 공간적 배열 구도에 관하여 = 185
  국지성과 전체성 = 191
 제1부 결론: 실천지에 관하여 = 197
제2부 정체성 = 209
 도입 Ⅱ 정체성에 관하여 = 211
  개인과 사회 = 212
  몇 가지 잘못된 가정들 = 213
  제2부의 구조 = 215
 제6장 실천과 정체성 = 217
  협상체로서의 경험: 참여와 객체화 = 219
  공동체 멤버십 = 221
  삶의 궤적 = 225
  복수 멥버십의 집합체 = 233
  국지성과 전체성의 상호 작용 = 238
 제7장 참여의 제도적 기제 = 243
  비참여의 정체성 = 244
  참여와 비참여의 원천 = 248
  제도적 차원의 비참여 = 250
 제8장 소속감의 형성 기제 = 255
  관여행위 = 257
  상상 = 259
  조정행위 = 262
  소속감과 공동체 = 266
  소속감에 수반되는 노력 = 271
 제9장 동일시와 협상력 = 277
  동일시 = 280
  협상력 = 289
  정체성의 이중적 성격 = 303
  사회적 생태계로서의 정체성 = 309
 제2부 결론: 학습공동체에 관하여 = 313
에필로그 : 실천의 기획과 학습설계 = 323
 요약 : 학습설계 = 325
  학습의 사회이론 = 326
  기획과 실천 = 329
  에필로그의 구조 = 332
 제10장 실천의 기획과 학습설계 = 333
  학습설계와 실천의 이중성 = 334
  학습 인프라의 주요 요소 = 342
  기획의 프레임 = 345
 제11장 조직기획 =347
  조직기획의 여러 차원 = 349
  조직, 학습, 실천 = 357
  조직과 참여 = 358
  조직과 상상 = 367
  조직과 조정 = 370
 제12장 교육기획 = 375
  교육기획의 다양한 차원들 = 376
  교육과 정체성: 학습의 구조 = 386
  교육적 관여 = 386
  교육적 상상 = 387
  교육적 조정 = 389
  교육적 자산 = 390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종석 (2023)
Cialdini, Robert B. (2023)
이일하 (2022)
Meerloo, Joost (2023)
Todd, Emmanuel (2023)
Forte, Tiago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