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상하부-뇌하수체
1)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과 동반된 두개인두종으로 인한 범발성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2
2) 성인 여자에서 발견된 뇌하수체 전엽 무형성증 = 6
3) 임신과 동반된 임파구성 뇌하수체염 = 10
4) 폐경후 여성에서 진단된 임파구성 뇌하수체염 = 14
5) 폐 선양낭성암에 동반된 중추성 요붕증으로 발현한 뇌하수체 종양 = 18
6) 고립성 가족성 성장 호르몬 분비선종 = 24
7)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증가가 동반된 무증상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세포 선종 = 30
8)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 34
9)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 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38
10) 당뇨병성 케톤산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인한 급성 췌장염으로 발현한 말단비대증환자 = 44
11) 정신분열병에서 동시에 발생한 약물 유인성 신성 요붕증 및 고프로락틴혈증 = 48
12) 중추성 요붕증으로 발현한 랑게르한스세포조직구증 = 52
2 갑상선
1) 포상기태에 의해 발생한 심한 갑상선중독증 = 58
2) 침습성 기태임신의 소파술 후 나타난 갑상선중독발작 = 62
3) Methimazole 복용 후 무과립구증과 담즙울혈성 황달을 동반한 갑상선기능항진증 = 66
4) 횡문근융해로 나타난 갑상선중독증 = 70
5) 횡문근융해로 진단된 갑상선기능저하증 = 74
6) 심각한 저호흡증을 동반한 점액수종성 혼수 = 78
7) 재발된 아급성 갑상선염 = 82
8) 아급성 갑상선염을 앓았던 환자에게서 발생한 Riedel 갑상선염 = 86
9) 양성 갑상선 결절 환자에서 침술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90
10) 갑상선중독증과 이상 동루를 동반한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94
11) 가족성 대장용종증에 동반된 갑상선 유두암 = 98
12) Pendred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갑상선 여포암 = 102
13) RET 원종양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가족성 갑상선 수질암 = 108
14)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소견없이 발생한 갑상선 MALT 림프종 = 112
1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베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갑상선호르몬 저항성 증후군 = 116
16) 임신 중 상기도 폐쇄로 발견된 기관 내 이소성 갑상선 = 120
17) 비수술적 방법으로 진단된 갑상선 결핵 = 124
3 부신
1) 바소프레신 과민성을 동반한 양측성 거대결절성 부신피질 과증식 = 128
2) 대동맥 박리를 동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혈증 = 132
3) 이차성 고혈압에 의한 신손상과 레닌 상승을 동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136
4) 심첨부 비후성 심근증을 동반한 갈색세포종 = 140
5) VIP를 분비하며 신경절신경종의 분화를 가지는 갈색 세포종 = 146
6) 갈색세포종에 의한 심인성 쇼크 = 150
7) 갈색세포종 제거후 성공적으로 당뇨병이 완치된 예 = 156
8)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으로 오인한 기능성 부신경절종 = 160
9)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에 동반된 부신기능저하증 = 164
10) 무증상의 만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환자에서 Ebstein-Barr Virus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양측 부신의 출혈성 경색에 의한 급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 168
11) 알도스테론 분비선종에서 편측 부신 제거술 후 발생한 일과성 저레닌성 저알도스테론증 = 172
12) 쿠싱증후군과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을 동반한 부신피질선암 = 176
13) 장기간 생존한 간전이를 동반한 부신피질 암종 = 180
14) 부신피질 호산성 과립세포종 = 186
15) 부신피질자극호르몬에 대한 코르티솔 분비 반응 저하를 보인 단백소실성 장증후군 = 192
4 당뇨병
1)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에 동반된 급성 다발성 세균성 신염 = 196
2) 비당뇨병 환자에서 Ramipril과 Amiloride 병용 투여로 유발된 저혈당증 = 200
3) 비정형 항정신약물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성 케톤산증 = 202
4) 복부 피하지방 위축 및 지방과형성증으로 인한 인슐린 펌프 치료 실패 = 204
5) 저혈당을 동반한 자가면역 인슐린 증후군 = 208
6) 전격성 제1형 당뇨병 = 210
7) 동맥혈 칼슘 자극 검사로 진단된 국소성 췌도 세포 증식증 = 212
8) 혈당 조절후 호전된 당뇨병성 당원축정증에 의한 간비대 = 216
5 성선기능장애
1) 불규칙과다월경과 자발적 성발달을 동반한 45X Turner 증후군 = 220
2) 일측성 신 무형성증과 당뇨병을 동반한 Kallman 증후군 = 224
3) 46 XX 남성 증후군 = 228
4) 11β-수산화효소 결핍증에 의한 선천성 부신증식증 = 232
5) 17α-수산화효소 결핍증에 의한 원발성 무월경 = 236
6 부갑상선-골대사
1)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동반된 전이성 폐석회화증 = 240
2) 산전 진단되지 못한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 의한 신생아테타니 = 244
3) 저인산혈증성 골연화증 치료중 발생한 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248
4) 부갑상선기능항진증-턱종양 증후군 = 254
5) 간결핵으로 발생한 고칼슘혈증 = 258
6) 원발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중에 발생한 우유알칼리증후군 = 262
7) 부분적 뇌하수체 공허안을 동반한 위위부갑상선 기능저하증 = 266
8) 임신후 척추 골다공증 = 270
9) 산발성 비가족성 저인산혈증성 골연화증 = 274
10) 악성 종양의 다발성 골격전이로 오인되었던 종양성 골연화증 = 278
11) 유년기 이후 진단된 골형성부전증 = 282
7 기타(흥미로운 내분비 질환)
1) 흉선 신경내분비암에 의한 이소성 ACTH증후군 = 288
2) 수양성 설사로 발현된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 292
3) 의인성 쿠싱 증후군에 동반된 스테로이드 근병증 = 296
4) 결핵성 뇌수막염에 동반된 뇌성 염분소실증후군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 300
5) 하추체정맥동 채혈검사 후 발생한 Raymond-Cestan 증후군 = 304
6) 저나트륨혈증과 동반된 횡문근융해증 = 308
7)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성장 호르몬 과분비를 동반한 비전형적인 McCune-Albright증후군 = 312
8) 기관지 유암종에 의한 이소성 ACTH 증후군 = 316
9) VIPoma와 동반된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 320
10) 저칼륨혈증을 동반한 고혈압으로 발현한 원발성 레닌증 = 324
11) VHL 유전자 변이(R167W)에 의해 쌍둥이 형제에서 발현된 von Hippel-Lindau 병 =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