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내분비 대사 증례집. 제2집

내분비 대사 증례집. 제2집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무일 유순집 김동선 김두만 김성운 김재범 박태선 오기원 이병석 정재훈 정호연 차봉수 최제용
Corporate Author
대한내분비학회. 학술위원회
Title Statement
내분비 대사 증례집 = Endocrine metadolism. 제2집 / 대한내분비학회 학술위원회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군자,   2006.  
Physical Medium
338 p. : 채색삽도 ; 29 cm.
ISBN
8970898131
General Note
찾아보기: p. 332-338  
학술위원회: 강무일, 유순집, 김동선, 김두만, 김성운, 김재범, 박태선, 오기원, 이병석, 정재훈, 정호연, 차봉수, 최제용  
Bibliography, Etc. Note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내분비 --질환
000 01240namccc200409 k 4500
001 000045405448
005 20100806010302
007 ta
008 061113s2006 ulka b 001c kor
020 ▼a 8970898131 ▼g 93510
035 ▼a (KERIS)BIB000010780172
040 ▼a KYOBO ▼c KYOBO ▼h YUC ▼d 211062 ▼d 211009
082 0 4 ▼a 616.4 ▼2 22
090 ▼a 616.4 ▼b 2006 ▼c 2
110 ▼a 대한내분비학회. ▼b 학술위원회
245 1 0 ▼a 내분비 대사 증례집 = ▼x Endocrine metadolism. ▼n 제2집 / ▼d 대한내분비학회 학술위원회 저.
260 ▼a 서울 : ▼b 군자, ▼c 2006.
300 ▼a 338 p. : ▼b 채색삽도 ; ▼c 29 cm.
500 ▼a 찾아보기: p. 332-338
500 ▼a 학술위원회: 강무일, 유순집, 김동선, 김두만, 김성운, 김재범, 박태선, 오기원, 이병석, 정재훈, 정호연, 차봉수, 최제용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650 4 ▼a 내분비 ▼x 질환
700 1 ▼a 강무일
700 1 ▼a 유순집
700 1 ▼a 김동선
700 1 ▼a 김두만
700 1 ▼a 김성운
700 1 ▼a 김재범
700 1 ▼a 박태선
700 1 ▼a 오기원
700 1 ▼a 이병석
700 1 ▼a 정재훈
700 1 ▼a 정호연
700 1 ▼a 차봉수
700 1 ▼a 최제용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6.4 2006 2 Accession No. 13102927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1 시상하부-뇌하수체
 1)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과 동반된 두개인두종으로 인한 범발성 뇌하수체기능저하증 = 2
 2) 성인 여자에서 발견된 뇌하수체 전엽 무형성증 = 6
 3) 임신과 동반된 임파구성 뇌하수체염 = 10
 4) 폐경후 여성에서 진단된 임파구성 뇌하수체염 = 14
 5) 폐 선양낭성암에 동반된 중추성 요붕증으로 발현한 뇌하수체 종양 = 18
 6) 고립성 가족성 성장 호르몬 분비선종 = 24
 7)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증가가 동반된 무증상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세포 선종 = 30
 8) 횡문근융해증을 동반한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 34
 9)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분비 뇌하수체 선종환자에서 수술 전 처치 약물로 단기간 사용한 항갑상선 약제가 갑상선기능에 미치는 영향 = 38
 10) 당뇨병성 케톤산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인한 급성 췌장염으로 발현한 말단비대증환자 = 44
 11) 정신분열병에서 동시에 발생한 약물 유인성 신성 요붕증 및 고프로락틴혈증 = 48
 12) 중추성 요붕증으로 발현한 랑게르한스세포조직구증 = 52
2 갑상선
 1) 포상기태에 의해 발생한 심한 갑상선중독증 = 58
 2) 침습성 기태임신의 소파술 후 나타난 갑상선중독발작 = 62
 3) Methimazole 복용 후 무과립구증과 담즙울혈성 황달을 동반한 갑상선기능항진증 = 66
 4) 횡문근융해로 나타난 갑상선중독증 = 70
 5) 횡문근융해로 진단된 갑상선기능저하증 = 74
 6) 심각한 저호흡증을 동반한 점액수종성 혼수 = 78
 7) 재발된 아급성 갑상선염 = 82
 8) 아급성 갑상선염을 앓았던 환자에게서 발생한 Riedel 갑상선염 = 86
 9) 양성 갑상선 결절 환자에서 침술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90
 10) 갑상선중독증과 이상 동루를 동반한 급성 화농성 갑상선염 = 94
 11) 가족성 대장용종증에 동반된 갑상선 유두암 = 98
 12) Pendred 증후군 환자에서 발생한 갑상선 여포암 = 102
 13) RET 원종양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가족성 갑상선 수질암 = 108
 14) 자가면역성 갑상선염의 소견없이 발생한 갑상선 MALT 림프종 = 112
 15)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베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갑상선호르몬 저항성 증후군 = 116
 16) 임신 중 상기도 폐쇄로 발견된 기관 내 이소성 갑상선 = 120
 17) 비수술적 방법으로 진단된 갑상선 결핵 = 124
3 부신
 1) 바소프레신 과민성을 동반한 양측성 거대결절성 부신피질 과증식 = 128
 2) 대동맥 박리를 동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혈증 = 132
 3) 이차성 고혈압에 의한 신손상과 레닌 상승을 동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 136
 4) 심첨부 비후성 심근증을 동반한 갈색세포종 = 140
 5) VIP를 분비하며 신경절신경종의 분화를 가지는 갈색 세포종 = 146
 6) 갈색세포종에 의한 심인성 쇼크 = 150
 7) 갈색세포종 제거후 성공적으로 당뇨병이 완치된 예 = 156
 8)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으로 오인한 기능성 부신경절종 = 160
 9)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및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에 동반된 부신기능저하증 = 164
 10) 무증상의 만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환자에서 Ebstein-Barr Virus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양측 부신의 출혈성 경색에 의한 급성 부신피질기능저하증 = 168
 11) 알도스테론 분비선종에서 편측 부신 제거술 후 발생한 일과성 저레닌성 저알도스테론증 = 172
 12) 쿠싱증후군과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을 동반한 부신피질선암 = 176
 13) 장기간 생존한 간전이를 동반한 부신피질 암종 = 180
 14) 부신피질 호산성 과립세포종 = 186
 15) 부신피질자극호르몬에 대한 코르티솔 분비 반응 저하를 보인 단백소실성 장증후군 = 192
4 당뇨병
 1)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에 동반된 급성 다발성 세균성 신염 = 196
 2) 비당뇨병 환자에서 Ramipril과 Amiloride 병용 투여로 유발된 저혈당증 = 200
 3) 비정형 항정신약물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성 케톤산증 = 202
 4) 복부 피하지방 위축 및 지방과형성증으로 인한 인슐린 펌프 치료 실패 = 204
 5) 저혈당을 동반한 자가면역 인슐린 증후군 = 208
 6) 전격성 제1형 당뇨병 = 210
 7) 동맥혈 칼슘 자극 검사로 진단된 국소성 췌도 세포 증식증 = 212
 8) 혈당 조절후 호전된 당뇨병성 당원축정증에 의한 간비대 = 216
5 성선기능장애
 1) 불규칙과다월경과 자발적 성발달을 동반한 45X Turner 증후군 = 220
 2) 일측성 신 무형성증과 당뇨병을 동반한 Kallman 증후군 = 224
 3) 46 XX 남성 증후군 = 228
 4) 11β-수산화효소 결핍증에 의한 선천성 부신증식증 = 232
 5) 17α-수산화효소 결핍증에 의한 원발성 무월경 = 236
6 부갑상선-골대사
 1) 부갑상선기능항진증과 동반된 전이성 폐석회화증 = 240
 2) 산전 진단되지 못한 부갑상선기능항진증에 의한 신생아테타니 = 244
 3) 저인산혈증성 골연화증 치료중 발생한 삼차성 부갑상선기능항진증 = 248
 4) 부갑상선기능항진증-턱종양 증후군 = 254
 5) 간결핵으로 발생한 고칼슘혈증 = 258
 6) 원발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 치료중에 발생한 우유알칼리증후군 = 262
 7) 부분적 뇌하수체 공허안을 동반한 위위부갑상선 기능저하증 = 266
 8) 임신후 척추 골다공증 = 270
 9) 산발성 비가족성 저인산혈증성 골연화증 = 274
 10) 악성 종양의 다발성 골격전이로 오인되었던 종양성 골연화증 = 278
 11) 유년기 이후 진단된 골형성부전증 = 282
7 기타(흥미로운 내분비 질환)
 1) 흉선 신경내분비암에 의한 이소성 ACTH증후군 = 288
 2) 수양성 설사로 발현된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 292
 3) 의인성 쿠싱 증후군에 동반된 스테로이드 근병증 = 296
 4) 결핵성 뇌수막염에 동반된 뇌성 염분소실증후군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 300
 5) 하추체정맥동 채혈검사 후 발생한 Raymond-Cestan 증후군 = 304
 6) 저나트륨혈증과 동반된 횡문근융해증 = 308
 7)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성장 호르몬 과분비를 동반한 비전형적인 McCune-Albright증후군 = 312
 8) 기관지 유암종에 의한 이소성 ACTH 증후군 = 316
 9) VIPoma와 동반된 다발성 내분비 선종증 = 320
 10) 저칼륨혈증을 동반한 고혈압으로 발현한 원발성 레닌증 = 324
 11) VHL 유전자 변이(R167W)에 의해 쌍둥이 형제에서 발현된 von Hippel-Lindau 병 = 328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수면학회 (2022)
대한비과학회 (2022)
Spinelli, Ernesto (2023)
Razzaque, Russell (2023)
Greenberg, Leslie S. (2023)
대한전립선학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