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제1장 산과학 개요
1. 산과학의 정의 = 3
2. 산과학의 목적 = 3
3. 산과학 용어의 정의 = 3
4. 모성사망 = 5
5. 영아사망 = 6
6. 한국 모자보건의 미래 = 6
7. 산과학의 전망 = 9
제2장 여성 생식기의 해부학
1. 바깥생식기관 = 13
2. 속생식기관 = 17
3. 뼈골반 = 22
II. 임신의 생리
제3장 착상, 배아발생과 태반의 발달
1. 월경주기 = 29
2. 탈락막 = 31
3. 수정, 착상 및 초기 배아발달 = 33
4. 태반의 형성과 발달 = 34
5. 태반의 구조 = 43
6. 태반혈액순환 = 45
7. 태반면역학 = 47
8. 태아막과 탯줄 = 50
제4장 태반호르몬
1. 단백호르몬 = 59
2. 스테로이드호르몬 = 64
제5장 태아의 생리
1. 태아의 성장 및 발달 = 71
2. 태아의 생리 = 74
제6장 모체의 생리
1. 서론 = 87
2. 내분비계의 변화 = 87
3. 혈액학적 변화 = 91
4. 대사기능의 변화 = 93
5. 장기 및 계통의 변화 = 95
제7장 분만의 생리
1. 서론 = 113
2. 분만의 자궁기 = 113
3. 분만진통에 따른 변화 = 116
4. 분만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과정 = 118
5. 조기분만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측면 = 126
III. 산전관리
제8장 수태전 관리
1. 대상 및 시작 시기 = 132
2. 방법 = 132
3. 수태전 관리의 구성 요소 = 134
4. 수태전 관리의 중요 질환 = 138
5. 수태전 관리에 필요한 검사 = 140
제9장 임신의 진단과 관리
1. 수태전 관리 = 143
2. 임신의 진단 = 143
3. 초기 산전 평가 = 146
4. 정기적인 추적 산전관리 = 148
5. 임신 중 영양 = 148
6. 임신 중 일반 상식 = 153
7. 10대 임신 = 156
8. 고령임신 = 157
9. 비만 임신부의 산전ㆍ산후 관리 = 159
제10장 유전상담과 산전 진단
1. 유전질환의 종류와 출생 결함 = 167
2. 단일 유전자 질환 = 168
3. 염색체 이상 = 170
4. 비멘델 유전 = 178
5. 다유전자성과 다인자성 유전 = 180
6. 분자유전학 = 182
7. 유전상담과 산전 진단 = 185
8. 유전적 또는 선천적 질환의 고위험군 임신의 상담 및 관리 = 185
9. 일반 임신부의 유전 선별검사 = 189
10. 침습적 산전 진단 방법 = 193
제11장 기형학
1. 기형의 태생학적 발생기전 = 199
2. 기형의 발현 = 202
3. 약물과 태아기형 = 205
4. 임신 중 영상진단 및 환경물질의 영향 = 217
제12장 산과 초음파
1. 산과 영역에서의 초음파 검사 = 227
2. 태아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른 초음파 소견 = 232
3. 도플러 초음파 = 244
제13장 산전태아안녕평가
1. 수축자극검사 = 255
2. 비수축검사 = 256
3. 태동 = 259
4. 태아 호흡 = 262
5. 생물리학계수 = 262
6. 탯줄동맥 도플러 = 264
7. 산전태아안녕평가의 임상적 적용 = 267
제14장 태아 치료
1. 쌍태간 수혈 증후군 = 271
2. 태아 수혈 = 275
3. 내과적 태아 치료 = 276
4. 태아의 수술적 치료 = 277
5. 개방형 태아 수술 = 279
IV. 분만관리
제15장 정상진통과 분만
1. 정상분만의 기전 = 285
2. 진통의 특성 = 293
3. 후두위에서의 정상분만기전 = 300
4. 정상진통과 분만의 관리 = 307
5. 진통관리 프로그램 = 323
제16장 분만 중 태아의 건강 평가
1. 서론 = 331
2. 분만 중 자궁수축 = 332
3. 태아 심장박동수의 양상 = 335
4. 태아곤란증과 태아손상 = 349
5. 안심할 수 없는 태아심장박동수유형을 보이는 태아에 대한 그 외의 평가방법 = 352
제17장 비정상 진통과 분만
1. 난산: 비정상 진통 = 357
2. 유도 분만 = 367
3. 비정상 태위 = 373
4. 분만진통 처치의 논점 = 386
5. 난산이 모체-태아에 미치는 영향 = 387
6. 급속 진통 및 분만 = 388
제18장 수술적 산과학
1. 겸자 분만 = 395
2. 흡입 분만 = 403
3. 제왕절개술 = 405
4. 분만전후 자궁절제술 = 419
5. 난관 불임법 = 421
제19장 산과 마취
1. 서론 = 429
2. 산과적 통증경로 = 430
3. 통증과 스트레스 = 433
4. 진통시의 마취 = 434
5. 태반 통과 = 438
6. 질식 분만의 마취 = 440
7. 제왕절개 분만의 마취 = 452
V. 산후관리
제20장 신생아 관리
1. 신생아 호흡 = 465
2. 신생아상태의 평가방법 = 467
3. 적극적 소생술 = 469
4. 일반적 신생아 처치 = 471
제21장 산욕기의 생리
1. 자궁복구 = 477
2. 자궁경부의 회복 = 478
3. 난소기능의 회복 = 479
4. 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의 변화 = 479
5. 질벽 및 복벽의 변화 = 479
6. 심혈관계와 혈액응고기능의 변화 = 480
7. 요로계와 신장기능의 변화 = 480
8. 산욕기중 모성의 관리 = 481
제22장 유방의 생리와 모유
1. 모유 수유의 장점 = 483
2. 유방의 발달 = 485
3. 젖 분비의 생리 = 486
4. 수유의 방법 = 487
5. 특별한 경우의 수유 = 488
6. 수유중 합병증 = 489
7. 수유중 피임방법 = 491
8. 수유중 약물복용 = 491
9. 유즙분비 억제 = 494
제23장 산욕기 이상
1. 산욕기 감염 = 497
2. 기타 산욕기 이상 = 504
제24장 피임과 불임수술
1. 호르몬 피임법 = 511
2. 자궁내장치 = 516
3. 차단피임법 = 517
4. 월경주기조절법 = 518
5. 수유 중 무월경법 = 519
6. 응급피임 = 519
7. 여성불임시술 = 520
8. 남성불임수술 = 521
VI. 이상임신 및 합병증
제25장 유산
1. 자연 유산 = 525
2. 인공 유산 = 535
제26장 자궁목관무력증
1. 정의 = 545
2. 임신 중 자궁목 = 545
3. 빈도 = 546
4. 원인 및 위험인자 = 546
5. 임상 증상 = 546
6. 진단 = 547
7. 치료 = 552
8. 맺음말 = 557
제27장 조산
1. 용어 정의 = 561
2. 조산의 개괄 = 561
3. 조산의 원인 = 564
4.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의 예측 및 조기 발견 = 566
5. 조산의 예방과 지연 = 569
6. 조기양막파수의 관리 = 570
7. 조기양막파수 임신부의 치료 = 573
8. 양막파수가 없는 상태에서의 조기진통 = 574
제28장 과숙임신
1. 서론 = 591
2. 과숙임신의 진단 = 592
3. 과숙임신의 병태생리 = 592
4. 과숙임신의 예후 = 593
5. 과숙임신의 합병증 = 595
6. 과숙임신의 처치 = 596
제29장 다태임신
1. 다태임신의 원인 = 601
2. 다태임신의 종류 = 601
3. 다태임신의 발생빈도 = 602
4. 성과 접합자성, 융모막성 및 양막성의 결정 = 604
5. 다태임신의 진단 = 605
6. 모체의 임신적응 = 606
7. 다태임신에서의 유산 및 기형 = 606
8. 다태임신에서의 저체중아 및 태아간 성장의 차이 = 607
9. 다태임신의 기간 = 608
10. 다태임신 특이 합병증 = 610
11. 다태임신의 산전처치 = 616
12. 다태임신의 분만진통 중 처치 = 617
13. 세쌍둥이 이상의 임신 = 619
14. 선택적 감수술 및 중절 = 619
제30장 태아성장질환
1. 자궁내발육부전 = 625
2. 큰몸증 = 632
제31장 자궁내 태아사망
1. 서론 = 637
2. 정의 = 637
3. 원인 = 637
4. 진단 = 638
5. 검사 = 639
6. 임신부의 관리 = 639
7. 사망한 태아의 분만 = 640
8. 분만후 검사 = 640
제32장 태아수종
1. 면역성 태아수종/태아와 신생아 용혈성 질환 = 643
2. 비면역성 태아수종 = 652
제33장 양수, 태아막, 태반의 이상
1. 양수의 이상 = 663
2. 융모양막의 이상 = 671
3. 태반의 이상과 질환 = 673
4. 탯줄의 이상 = 677
5. 태반의 관찰 = 681
제34장 산과적 출혈
1. 빈도와 선행하는 조건들 = 685
2. 분만 전 출혈 = 686
3. 산후 출혈 = 694
4. 소모성 혈액응고장애 = 712
VII. 임신 중 동반질환
제35장 고혈압
1. 서론 = 725
2.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의 분류 및 감별진단 = 725
3. 자간전증의 병인 및 기전 = 726
4. 자간전증의 진단 및 분류 = 731
5. 자간전증의 병태생리 = 732
6. 예측과 예방 = 738
7. 처치 = 742
8. 자간증 = 746
제36장 당뇨병
1. 빈도 = 761
2. 분류 = 761
3. 진단 = 761
4. 임신성 당뇨병 = 762
5. 현성 당뇨병 = 764
제37장 심장혈관질환
1. 역학 = 771
2. 임신 중 심장혈관계의 생리 변화 = 772
3. 진단 = 774
4. 심장질환 환자에 대한 임신전 상담 = 777
5. 심장질환 임신부에 대한 일반적 처치 = 777
6. 선천심장질환 = 784
7. 심장판막질환 = 787
8. 분만전후 심장근육병증 = 791
9. 심장동맥질환 = 792
10. 부정맥과 치료 약물 = 793
11. 심장 수술 = 794
제38장 내분비질환
1. 뇌하수체병 = 803
2. 갑상샘병 = 805
3. 부갑상샘병 = 809
4. 부신병 = 811
제39장 신장 및 요로질환
1. 임신 중의 신요로계의 변화 = 815
2. 요로감염 = 818
3. 요로결석 = 821
4. 사구체병증 = 823
5. 다낭성신증 = 827
6. 급성신부전 = 827
7. 만성신부전 = 830
8. 투석환자와 신장이식환자의 임신 = 831
제40장 혈액질환
1. 빈혈 = 835
2. 저혈소판증 = 842
3. 유전성 혈액응고장애 = 844
제41장 결합조직계 질환
1. 서론 = 847
2. 전신홍반루푸스 = 848
3. 항인지질 증후군 = 854
4. 류마티스 관절염 = 856
제42장 간 및 위장질환
1. 간질환 = 863
2. 담낭 및 췌장질환 = 868
3. 위장질환 = 868
제43장 호흡기질환
1. 임신 중 호흡기계의 변화 = 875
2. 비염 = 877
3. 폐렴 = 878
4. 결핵 = 880
5. 천식 = 881
6. 폐색전증 = 886
7. 양수색전증 = 886
제44장 종양
1. 임신 동안의 종양의 발생 = 891
2. 임신 중 악성종양의 치료 방향 = 892
3. 암치료가 난소 기능과 임신에 미치는 영향 = 895
4. 악성종양의 태아 및 태반으로의 전이 = 895
5. 자궁경부암 = 896
6. 난소암 = 898
7. 자궁내막암 = 899
8. 유방암 = 899
9. 외음부암 = 902
10. 백혈병 = 902
11. 림프종 = 904
12. 흑색종 = 905
13. 대장암 = 906
제45장 임신과 동반한 신경, 정신과적 질환
1. 신경과적 질환 = 913
2. 정신과적 질환 = 923
제46장 피부질환
1. 서론 = 933
2. 임신의 특징적 피부질환 = 933
3. 기존의 피부질환 = 938
4. 생리적 피부 변화 = 939
제47장 감염질환
1. 세균감염 = 945
2. 풍진 = 952
3. 거대 세포 바이러스 감염증 = 954
4. 수두-대상포진 = 955
5. 파르보 바이러스 = 956
6. 인플루엔자 = 957
7. 홍역 = 958
8.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 멈프스) = 958
9. 장바이러스 감염 = 958
10.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 = 959
11. 한타바이러스 = 959
제48장 임신중 중환자 가료와 외상
1. 급성 폐부종 = 963
2. 임신 중 외상 = 967
VIII. 산과영역에서의 윤리적, 법적 문제
제49장 의료윤리의 개념과 원칙
1. 서론 = 975
2. 의료윤리의 네 원칙 = 976
3. 결론 = 979
4. 산부인과 영역에서의 윤리적 문제 = 979
5. 인공임신중절의 윤리적 쟁점 = 983
찾아보기 = 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