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 1
1.1. 실험에 사용하는 소자 = 1
1.1.1. 저항 = 1
1.1.2. 커패시터 = 2
1.1.3. 인덕터 = 3
1.1.4. 변압기 = 3
1.1.5. 반도체 소자 = 4
1.2. 실험에 사용되는 측정 장비 = 5
1.2.1. 전원공급기 = 5
1.2.2. 멀티미터 = 5
1.2.3. 함수발생기 = 5
1.2.4. 오실로스코프 = 5
1.3. 측정 장비로 읽는 물리량 = 6
1.4. 물리량 표현에 사용되는 접두어 단위 = 6
2. 기초장비 사용법 = 7
2.1. 디지털 멀티미터 사용법 = 7
2.1.1. 저항 측정 = 8
2.1.2. 전류 측정 = 8
2.1.3. 전압측정 = 8
2.2. 오실로스코프 = 9
2.2.1. Y축 측정 채널 1(CH1) = 10
2.2.2. Y축 측정 채널 2(CH2) = 11
2.2.3. X축 시간 조정 = 11
2.2.4. 트리거 조정 = 11
2.2.5. 파형 표시 스크린 = 11
2.2.6. 전압의 측정 = 12
2.3. 함수 발생기 = 12
3. LabVIEW 소개 = 14
3.1. 그래픽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 14
3.2. 프런트 패널 = 15
3.2.1. 프런트 패널 객체 설정하기 = 16
3.2.2. 옵션 요소 보이기와 숨기기 = 17
3.2.3. 컨트롤을 인디케이터로 또는 인디케이터를 컨트롤로 바꾸기 = 18
3.2.4. 프런트패널 객체 바꾸기 = 19
3.2.5. 컨트롤에 대한 키보드 단축키 설정하기 = 19
3.2.6. 객체 색상 입력 = 20
3.2.7. 그래픽 불러오기 = 21
3.2.8. 객체 정렬 및 간격 조절 = 21
3.2.9. 객체 그룹화 및 잠금 설정 = 21
3.2.10. 객체 크기 조절 = 22
3.2.11. 프런트패널 컨트롤과 인디케이터 = 23
3.2.12. 슬라이드, 노브, 다이얼, 디지털 디스플레이, 그리고 스탬프 = 23
3.3. 블록다이어그램 = 27
3.3.1. 프런트패널 객체와 블록다이어그램 터미널의 관계 = 28
3.3.2. 블록다이어그램 객체 = 28
3.3.3. 와이어를 사용하여 블록다이어그램 객체를 연결하기 = 35
3.4. 팔레트 = 38
3.4.1. 컨트롤 팔레트 = 38
3.4.2. 함수 팔레트 = 39
3.4.3. 툴 팔레트 = 42
3.4.4. 메뉴와 도구모음 = 44
3.5. 기초 연습문제 = 47
3.5.1. 어레이 만들기 = 47
3.5.2. 데이터를 파일에 쓰기 = 48
3.5.3. 파일에서 2진 데이터를 읽어오기 = 49
3.5.4. 데이터를 차트로 표시하기 = 50
3.5.5.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기 = 51
3.5.6.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시하기 Ⅱ = 52
3.5.7. 난수 running 평균을 구하여 차트에 표시하기 = 53
3.5.8. Formula node를 이용한 사용자 함수 생성하기 = 54
3.5.9. Array에서 최대값 구하기 = 55
3.5.10. Case 구조를 이용한 root 값 계산기 = 57
2.5.11. String 함수 사용하기 = 58
2.5.12. String 함수 사용하기 = 59
2.5.13. String 함수 사용하기 Ⅱ = 60
3.5.14. Wave form을 더하기 = 61
3.5.15. Wave Generator = 63
3.5.16. Wave Generator Ⅱ = 65
3.6. 응용 연습문제 = 66
3.6.1. 프로젝트 1 = 66
3.6.2. 프로젝트 2 = 71
3.6.3. 프로젝트 3 = 75
3.6.4. 프로젝트 4 = 79
3.6.5. 프로젝트 5 = 84
3.6.6. 프로젝트 6 = 90
3.6.7. 프로젝트 7 = 93
3.6.8. 프로젝트 8 = 95
3.6.9. 프로젝트 9 = 97
4. 게이트, 가산기ㆍ감산기 = 99
4.1. 게이트 = 99
4.1.1. AND 게이트 = 99
4.1.2. OR 게이트, XOR 게이트 = 100
4.1.3. NOT 게이트 = 102
4.1.4. 문제 = 103
4.2. 가산기 = 104
4.1.5. 반가산기 = 104
4.1.6. 전가산기 = 105
4.3. 감산기 = 106
4.3.1. 반감산기 = 106
4.3.2. 전감산기 = 107
5. 저항값 계산기 = 108
5.1. 문제 = 113
6. NI-Elvis 소개 = 116
6.1. NI-Elvis 설치 = 116
6.2. 1-2 DAQ 소개 = 116
6.3. NI ELVIS 하드웨어 = 118
6.3.1. NI ELVIS 벤치 탑 워크스테이션 = 118
6.3.2. 프로토 보드(Prototyping board) = 120
6.4. NI ELVIS의 장비 = 124
6.4.1. 디지털 멀티미터 = 125
6.4.2. 오실로스코프 = 126
6.4.3. 함수발생기 = 127
6.4.4. 가변전원 = 127
6.4.5. 보드분석기 = 128
6.4.6. 다이나믹 신호 분석기 = 129
6.4.7. 임의파형 발생기 = 130
6.4.8. 디지털 버스 리더 = 131
6.4.9. 디지털 버스 쓰기 = 132
6.4.10. 임피던스 분석기 = 133
7. 다이오드 = 134
7.1. 다이오드의 기본 특성 = 134
7.2. 기존의 다이오드 특성 측정 방법 = 136
7.2.1. 순방향 바이어스 특성 측정 = 136
7.2.2. 역방향 바이어스 특성 측정 방법 = 137
7.2.3. 문제 = 138
7.3. NI-ELVIS를 이용한 다이오드 특성 측정 = 139
7.3.1. 문제 = 141
8. 임피던스 = 143
8.1. 임피던스 이론 = 143
8.1.1. 문제 = 146
8.2. 임피던스 측정 = 146
8.2.1. 실습 1 = 148
8.2.2. 실습 2 = 149
9. 디지털전압계 = 150
9.1. DAQ 기초 = 150
9.1.1. 데이터 수집(Data Acquisition : DAQ) 기초 = 150
9.1.2. 트랜스듀서 = 151
9.1.3. 신호 = 152
9.1.4. 신호 컨디셔닝 = 153
9.1.5. DAQ 장치 = 153
9.1.6. 드라이버 레벨 및 어플리케이션레벨 소프트웨어 = 154
9.2. DMM을 이용한 전압 측정 = 154
9.2.1. 문제 = 155
9.3. 전압을 측정하는 기초 DAQ 실습 = 155
9.3.1. 하드웨어 결선 = 155
9.3.2. VI 작성 = 156
9.3.3. 문제 = 162
9.3.4. 과제 = 162
10. 쉬프트레지스터를 이용한 Ring counter = 169
10.1. VI를 이용해 링카운터 동작 확인 = 170
10.2. ELVIS를 이용해 링카운터 동작 확인 = 173
10.2.1. 문제 = 176
11. 멀티플렉서, 디코더, 인코더 = 177
11.1. 4:1 멀티플렉서 = 177
11.1.1. 문제 = 179
11.2. 2:4 디코더 = 180
11.2.1. 문제 = 181
11.3. 인코더 = 183
11.3.1. 문제 = 184
12. 7 세그먼트 LED = 185
12.1. 7-세그먼트 표시회로 = 185
12.1.1. 논리회로를 이용한 7-세그먼트 LED 구동 = 187
12.1.2. Case 구조를 이용한 7-세그먼트 구동 = 194
12.1.3. NI ELVIS를 이용한 실제 7-세그먼트 구동 = 197
12.1.4. 문제 = 201
13. 연산증폭기 = 202
13.1. 연산증폭기 소개 = 202
13.1.1. 연산증폭기 기호 = 202
13.1.2. 연산증폭기 특징 = 203
13.2. 반전증폭기 실험 = 207
13.2.1.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소자 = 207
13.2.2. 반전증폭기 회로 해석 = 207
13.2.3. 문제 = 209
13.2.4. 반전증폭기 회로실험 = 210
13.2.5. 문제 = 215
13.3. 비반전증폭기 실험 = 218
13.3.1.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소자 = 218
13.3.2. 비반전증폭기 회로 해석 = 218
13.3.3. 문제 = 220
13.3.4. 비반전증폭기 회로실험 = 221
13.3.5. 문제 = 225
14. 연산증폭기 필터 = 228
14.1. 연산증폭기 필터 소개 = 228
14.2. 저역통과필터 실험 = 231
14.2.1. 저역통과필터 이론 = 231
14.2.2. 문제 = 231
14.2.3.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소자 = 232
14.2.4. 장비 설정 및 결선 = 232
14.2.5. 문제 = 234
14.3. 고역통과필터 실험 = 235
14.3.1. 고역통과필터 이론 = 235
14.3.2. 문제 = 235
14.3.3.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소자 = 236
14.3.4. 문제 = 238
14.4. 대역통과필터 실험 = 239
14.4.1. 대역통과필터 이론 = 239
14.4.2. 문제 = 239
14.4.3. 실험에 필요한 도구와 소자 = 240
14.4.4. 문제 = 240
15. 펄스 측정 = 243
15.1. 555 타이머 IC = 243
15.1.1. 문제 = 245
15.2. NI ELVIS와 LabVIEW를 이용한 펄스 측정 = 246
15.2.1. NI ELVIS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펄스 측정 = 246
15.2.2. LabVIEW를 이용한 펄스 측정 = 248
15.2.3. 문제 = 249
15.3. EXPRESS 함수를 이용한 555 타이머실습 = 250
15.3.1. 문제 = 255
16. 디지털 온도계 = 256
17. DC 모터 = 268
17.1. VPS(가변전압원)를 이용한 DC 모터 구동 = 268
17.2. ELVIS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DC 모터 회전수 검출 = 269
17.3. EXPRESS 함수를 이용한 모터 회전수 검출 = 273
17.4. EXPRESS 함수를 이용 회전수 설정 = 279
17.4.1. 문제 =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