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4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403300 | |
005 | 20100806124118 | |
007 | ta | |
008 | 071126s2007 ggk b BZ 000c kor | |
020 | ▼a 9788978060875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1075295 | |
040 |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331.809519 ▼2 22 |
082 | 0 4 | ▼a 331.80953 ▼2 22 |
090 | ▼a 331.80953 ▼b 2007z1 | |
100 | 1 | ▼a 노중기 , ▼d 1961- ▼0 AUTH(211009)136826 |
245 | 1 0 | ▼a 한국의 노동정치와 노동운동 / ▼d 노중기 지음. |
260 | ▼a 오산 : ▼b 한신대학교 출판부 , ▼c 2007. | |
300 | ▼a 23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2006학년도 한신대학교 학술원의 출판비 지원에 의하여 출판되었음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114439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114439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211607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211607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114439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114439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211607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31.80953 2007z1 | 등록번호 1211607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87년 이후 우리 노동사회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 그 빛과 그늘을 살피면서 보다 나은 미래를 모색한 책. 총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7년 체제와 산업민주주의, 김대중 정보 하에서의 노동정책, 이른바 IMF사태 이후 시작된 산별노조 건설운동의 상황 등을 기술하고 있다.
지난 20년의 이와 같은 상황 전개는 노동문제를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많은 물음을 던지고 있다. 도대체 한국사회에서 노동자는 왜 시민으로 대우받을 수 없는 것일까? 수백만 명 노동자들의 정당한 노력과 고난은 헛된 것이었나? 상황은 점점 나빠져 가는데 과연 무엇이 문제인 것인가? 필자가 답하고자 했던 것은 이런 질문들이었다. 1987년 이후 우리 노동사회는 두 개의 중요한 시기를 지나왔는데 그 전반은 이른바 '1987년 노동체제'로 일컬어지는 10년의 시기였다. 이 시기에 노동자들은 군사정권의 연장선에 있었던 정치세력, 사회세력으로부터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 그러나 그 고난의 시기는 동시에 민주노조운동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 성숙하던 발전기라고 할 수 있었다. 더불어 10년에 걸친 고난은 한국사회의 정치적 민주화를 역전될 수 없는 것으로 만든 가장 중요한 동력이었다. 반면에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사회의 모습은 반대로 역전되기 시작하였다. 어렵게 확보한 정치적 시민권은 신자유주의의 시장논리 앞에서는 무용지물이었다. 노동계급 내부의 양극화는 전체 사회의 양극화와 더불어 크게 확대되었으며 노동조합은 점점 더 정규직 노동자들의 협소한 조직으로 바뀌었다. 민주노조가 경제주의, 조합주의, 심지어는 어용노조의 굴레로 점점 빠져들었던 것이다. 그러나 수세기의 깊은 어둠 속에서도 새벽은 어김없이 다가오고 있었다. 2006년 20년 만에 큰 한 걸음을 내디딘 산별노조 건설운동이 바로 그것이었다. 산별노조 전환 결의는 조직 노동이 현실을 반성하고 연대와 자주, 그리고 민주의 민주노조정신으로 되돌아가려는 반전의 노력이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1장 노동체제 변동과 민주주의 = 11 1. 서론: 문제제기 = 11 2. 1987년 노동체제와 민주주의 = 12 3. 종속적 신자유주의 노동체제와 민주주의 = 17 4. 노동체제 변동과 민주주의: 분석과 비판 = 25 5. 결론: 함의와 전망 = 30 참고문헌 = 33 2장 산업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조건과 과제 = 37 1. 머리말 = 37 2. 1987년체제와 산업민주주의 = 40 3. 방법론적ㆍ이론적 재검토 = 44 4. 현단계 노동체제 변동과 산업민주주의의 조건 = 50 5. 현단계 민주노조운동의 산업민주화 전략 = 57 참고문헌 = 66 3장 김대중정부의 노동정책 = 73 1. 머리말 = 73 2. 김대중정부 노동정책의 전개과정과 결과 = 75 3. 김대중정부 노동정책의 특징과 쟁점 = 84 4. 결론: 김정권 노동정책의 노동체제적 함의 = 95 참고문헌 = 98 4장 노사정위원회와 노동운동 = 101 1. 머리말 = 101 2. 노사정위원회의 경과는 어떠했나? = 103 3. 왜 노사정위원회인가? = 109 4. 노사정위원회의 성격은 무엇인가? = 114 5. '노사정위원회', 향후 전망은 어떤가? = 121 6. 노동운동의 무엇을 해야 하나? = 125 참고문헌 = 132 5장 노동체제의 전환과 산별노조 조직전환 = 137 1. 머리말 = 137 2. 1987년 노동체제와 기업별 노조 = 139 3. 체제 변동과 노조조직구조 변동 = 147 4. 산별노조 건설운동의 현단계 = 153 5. 산별노조 건설의 주요 쟁점 = 159 6. 맺음말 = 168 참고문헌 = 170 6장 민주노조운동과 구로동맹파업: 그 내적 연관에 대한 시론 = 173 1. 문제제기 = 173 2. 노동체제 변동과 구동파의 위상 = 174 3. 구로동맹파업과 민주노조운동 = 186 4. 결론: 요약과 함의 = 197 참고문헌 = 199 7장 위기의 노동운동, 신자유주의에 포위된 민주노조운동 = 203 1. 민주노조운동, 과연 위기인가? = 203 2. 자본의 '위기' 이데올로기와 노동운동의 위기론 = 205 3. 민주노조운동의 위기: 현상 분석 = 211 4. 노동체제 변동과 전투적 조합주의 = 219 참고문헌 = 233 출처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