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68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403127 | |
005 | 20211123131139 | |
007 | ta | |
008 | 070827s2007 ulkg b 001c kor | |
020 | ▼a 9788956262710(1) | |
020 | ▼a 9788956262727(2) | |
020 | 1 | ▼a 9788956262703(전2권) |
035 | ▼a (KERIS)BIB000011043621 | |
040 | ▼a 211046 ▼d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780.951 ▼2 22 |
090 | ▼a 780.951 ▼b 2007 | |
100 | 1 | ▼a 杨荫浏, ▼d 1899-1984 ▼0 AUTH(211009)32507 |
245 | 1 0 | ▼a 중국고대음악사고 = ▼x (A)history of Chinese ancient music. ▼n 하 / ▼d 양음류 지음 ; ▼e 이창숙 옮김. |
246 | 1 9 | ▼a 中國古代音樂史稿. 下冊 |
260 | ▼a 서울 : ▼b 소명출판, ▼c 2007. | |
300 | ▼a 2책 : ▼b 악보 ; ▼c 24 cm. | |
440 | 0 0 | ▼a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p 동양편 ; ▼v 086 - 087 |
500 | ▼a 부록: 1. 그림 목록. 2. 곡례 목록. 3. 곡례 | |
504 | ▼a 참고문헌 과 색인수록 | |
505 | 0 | ▼a 1, 원대. - 2, 명.청대 |
700 | 1 | ▼a 이창숙 ▼g 李昌淑, ▼e 역 ▼0 AUTH(211009)48972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1 2007 2.1 | Accession No. 1114452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1 2007 2.2 | Accession No. 11144522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아직 이 책의 한계를 극복한 음악사 서술은 보이지 않는다
중국음악사는 이 책의 판도 안에 있다
『중국고대음악사고 하책』은 중국의 원·명·청 세 왕조시대의 음악을 다루고 있다. 이 시대의 중국음악은 전시대와 비교하여 세 가지 뚜렷한 특징을 보여 준다. 첫째, 음악의 중심이 희곡과 설창 등 대중적 연예음악으로 옮아간다. 둘째, 희곡을 비롯한 성악 및 금과 비파 등 기악의 악곡을 채보하여 대량의 곡보집을 편찬함으로써 극본과 가사 이외의 순수한 음악적 유산을 풍성하게 보존할 수 있었다. 셋째, 몽고족과 만주족을 비롯하여 여러 소수민족을 중국이라는 하나의 판도로 아울러 그들의 음악도 자연히 중국음악의 영역에 편입시켰다. 예를 들어 티벳의 참도 중국나희의 일종으로 간주하고, 위구르족의 무캄과 조선족의 농악도 중국음악으로 기술한다.
하책, 특히 명대 중기 이후의 음악사 기술은 사실의 나열에 그치고 있다. 이 책의 제목에 "고"자를 붙인 사정이 여기에 있다. 그러나 아직 이 책의 한계를 극복한 음악사 서술은 보이지 않는다. 1981년에 나왔으니 20년이 넘도록 중국음악사는 이 책의 판도 안에 있다. 역시 역작이라는 증거이다. 명청대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판도가 확장되어 음악의 외연도 따라서 확장되었다. 이질적인 다양한 음악이 한 나라의 영토안에서 혼재하는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도 대단한 작업이다. 사실 아직 유기적 관계를 맺지 못한 각종 음악의 역사를 하나로 묶는 것은 가능하지도 않다. 다만 분명히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었을 한족 음악의 역사를 복원 서술화는 작업은 지난하지만 이루어야 할 과제임에 틀림없다. 1990년대 이후오 각 부문에서 그 결실을 조금씩 맺고 있기는 하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양음류(지은이)
중국 강소성 무석에서 태어났다. 여섯 살 무렵부터 중국의 전통음악인 곤곡과 비파, 삼현 등을 배우고, 미국의 엿어 선교사에게 피아노와 음악 이론을 익혔다. 1936년 북경의 하버드 연경학사 음악 연구원을 거쳐 1940년 이전 20여 년간은 '아음집', '적보', '소보', '문판십이 곡선보' 등의 악보와 '국악개론', '중국음악사강'등의 저작을 완성하였다. 1949년 이후에는 중국 음악의 역사, 이론, 악률, 음운, 옛 악보, 악기 개조와 전통음악 정리 등에 걸쳐 높은 성과를 올렸다. 특히 송나라 사인이자 작곡가인 강기의 사보 해석, 전통음악의 전면적 조사와 연구작업, 언어음악학 개척, 고악기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와 측음 연구 등은 국제적인 주목을 끌고 있는 지은이의 탁월한 업적으로 꼽힌다.
이창숙(옮긴이)
인제대학교 중문과 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중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고전희곡을 연구하고, 연행록에도 관심이 있으며, 두보시 역해 작업에도 참가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청궁 三層大戲臺의 함의」(『中國文學』 96輯), 「《伍倫全備記》二題」, 『中國文學』 第102輯), 저역서로는 『海內外中國戲劇史家自選集 鄭元祉 梁會錫 李昌淑卷』(鄭州: 大象出版社, 2018.), 『두보기주시기시역해2』(공역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volume. vol.하(1)]---------- 목차 역자 서문 = 3 해제 = 6 제7편 원대(1271~1368) 제20장 개관 = 17 제21장 민가ㆍ소곡ㆍ예술가곡과 설창음악 = 21 1. 민가ㆍ소곡과 예술가곡 = 21 민가 = 21 소곡(小曲) = 33 예술가곡 = 34 2. 설창음악 = 38 제궁조(諸宮調) = 38 화랑아(貨郎兒) = 43 도진(陶眞) = 55 사화(詞話) = 56 제22장 잡극 = 61 1. 잡극과 산곡 = 61 잡극과 산곡의 구별과 관계 = 41 종사성(鍾嗣成)의 『녹귀부(錄鬼簿)』 = 63 세 시기 = 64 2. 잡극의 발전 = 69 잡극의 발생, 발전의 정점 및 쇠퇴의 문제 = 69 원잡극의 발전 양상 = 71 잡극의 극목ㆍ극본과 곡조의 보존 현황 = 75 3. 잡극의 주요 작가와 작품 = 87 관한경과 그의 작품 = 85 『두아원』 = 90 『단도회』 = 91 왕실보와 그의 작품 = 92 『서상기』 = 95 4. 잡극의 내용과 형식 = 97 원잡극 제재의 광범성과 현실성 = 97 통치자들의 잡극 이용과 박해 = 100 잡극의 외국 전파 = 104 잡극의 예술 형식 = 106 잡극의 구조 = 106 잡극의 연출 형식 = 107 제23장 잡극의 음악 = 111 1. 곡조의 근원 = 111 2. 투수 = 113 3. 궁조 이론 = 125 4. 선율의 특징 = 139 5. 절주의 특징 = 143 6. 무두 = 143 7. 곡패의 변화 = 157 8. 반주 악기 = 174 제24장 산곡 = 177 원(元) 산곡(散曲) 악보의 보존 현황 = 177 산곡의 내용과 형식 = 178 산곡은 잡극에서 나왔다 = 181 원대 산곡의 용도 = 184 제25장 남희 = 187 원대(元代) 남희(南戱)의 성행 = 187 역경 속의 발전 = 190 원대 남희 악보의 보존 현황 = 192 풍부하고 진보적인 남희의 제재 = 221 『헝채기』ㆍ『백토기』ㆍ『배월정』ㆍ『살구기』 = 222 『비파기』 = 225 『배월정』과 『비파기』에 대한 전인들의 비평 = 227 비판과 애호의 계급성 = 233 「배월」과 「겨를 먹다」 = 233 남희의 두터운 민간음악 기초 = 241 남북합투(南北合套) = 242 제26장 악기와 기악 = 241 악기 = 247 삼현 = 248 화불사(火不思) = 250 칠십이현 비과 = 252 흥륭생(興隆笙) = 254 운오(雲◆U7488◆) = 256 어고(魚鼓)와 간자(簡子) = 257 공후(◆U7B9C◆◆U7BCC◆) = 258 호금 = 259 기악곡 = 260 백령작 = 262 「해동청이 백조를 잡다[海靑拿天鵝]」 = 266 악기 연주가 = 267 제27장 『창론』과 『중원음운』 = 271 『창론(唱論)』 = 271 『중원음운(中原音韻)』 = 276 結. 맺음말 = 279 참고문헌 = 283 부록 1. 그림 목록 = 301 2. 곡례 목록 = 302 3. 곡례 = 305 저자 후기 = 423 1) 차이 = 423 2) 특수한 모순 = 424 3) 이론의 기초는 실천이다 = 426 4) 우월한 조건, 유치한 단계 = 427 찾아보기 = 431 [volume. vol.하(2)]---------- 목차 역자 서문 = 3 해제 = 6 제8편 명ㆍ청대(1368~1911) 제28장 개관 = 19 명대(明代) = 19 청대(淸代) = 22 제29장 민간가곡 = 25 민가(民歌)와 소곡(小曲) = 25 민가와 소곡의 내용 = 27 민가와 소곡의 유행 상황 = 34 명청 민가와 소곡의 현존 목록의 일부 = 36 소곡예술 형식의 발전 = 42 소곡의 실례 = 46 소곡의 기악 반주 = 57 소곡 표제의 다양성 = 59 소곡으로부터 본 음악예술 형식의 계승과 발전 = 59 소곡의 조성(調性) 변화와 이조(移調) 기보법 = 60 명청 문인의 소곡에 대한 평가 = 60 소수민족의 서사가곡 = 66 현삭조(弦索調) = 70 현삭조의 남음화(南音化) = 71 현삭조의 반주악기와 그 주법 = 72 현존 현삭보 곡보 = 72 명말에 남아 있었던 고대 가곡 = 74 제30장 설창음악 = 79 탄사 = 80 탄사의 기원 = 81 작품과 그 사회 작용 = 83 소주(蘇州)의 유명한 탄사 예인과 유파 = 84 표현 형식 = 86 곡례 = 87 고사(鼓詞) = 89 고사의 기원 = 89 대고(大鼓)의 유별과 그 발전 = 91 패자곡(牌子曲) = 104 기타 = 106 소수민족의 설창음악 = 107 제31장 가무음악 = 109 앙가(秧歌) = 110 등패무(藤牌舞) = 112 형제 민족의 가무 = 113 무캄[木◆U5361◆姆, muqam] = 115 세남 = 117 낭마(囊瑪) = 118 제32장 명ㆍ청 희곡의 발전 1 = 121 잡극(雜劇)과 남희(南戱) = 121 전기(傅奇)와 잡극 = 122 남북곡 합류의 추세 = 123 잡극의 쇠락 = 124 민간 성강(聲腔) = 125 송원(宋元) 시기 성강의 발전 = 126 위량보(魏良輔)와 곤산강의 특징 = 131 위량보는 작곡가인가? = 133 광의의 '곤강' 또는 '곤곡' = 135 남북곡의 비교 = 136 표현 정조 = 136 음계 형식 = 139 판안(板眼) 형식 = 139 글자의 창법 = 148 남북곡 글자 성조와 배음(配音)의 통례 = 149 남북곡 성조 배음표의 사용 방법 = 151 남북곡 성조의 비교 = 152 남곡 성조 배합의 북음화(北音化) = 154 북잡극이 남곡(南曲) 글자 성조의 배합에 영향을 끼치다 = 157 성조 배음에서 남북곡의 차이 = 157 가강(歌腔)과 성조 = 161 반주 악기 = 162 현삭(弦索)은 무슨 악기인가? = 167 연극과 청창의 남북곡 반주 악기 = 169 고판ㆍ삼현과 적의 반주 기술 = 170 고판과 삼현의 반주 기술 = 171 고판과 삼현 반주 기술의 작용 = 183 반주 기술에 관한 옛 사람의 관점을 검증함 = 184 민간의 탁월한 집단 작곡 능력 = 186 하나의 곡패(曲牌) 형식으로 다른 감정을 표현하다 = 187 동일 곡패의 판식 변화를 이용해 감정의 발전을 체현함 = 191 청나라 사람이 열거한 남북곡 극본의 목록 = 196 남북곡의 현존 곡보 = 197 탕현조(湯顯祖)와 그의 『사몽(四夢)』 = 198 탕현조의 창작 기교 = 201 오강파(吳江派) 또는 격률파(格律派) = 202 이른바 격률이란 무엇인가? = 203 격률파가 후세에 끼친 영향 = 205 이른바 격률은 음악의 격률인가? = 207 '격률'은 객관 경험의 과학적 총결인가? = 208 심경은 '격률'을 어떻게 운용하였는가? = 209 역사의 평가 = 210 『사몽』의 악보의 실례 = 211 명대의 전기 작품 = 214 청나라 홍승(洪昇)의 『장생전(長生殿)』 = 215 기타 청대의 전기 작품 = 223 전기에 번영된 두 노선의 투쟁 = 223 곤곡에 다를 성강이 섞여 있다 = 225 곤곡의 쇠락 = 225 후대의 희곡음악 및 다른 악종에 끼친 곤곡의 영향 = 227 제33장 명ㆍ청 희곡의 발전 2 = 229 익양강의 커다란 영향 = 229 다른 성강들 = 231 방자의 형성과 전파 = 234 피황((皮黃)의 형성과 전파 = 235 경극 삼조(三調)의 구분 = 236 소조희(小調戱) = 237 소수민족의 희곡 = 238 제34장 명ㆍ청의 악기와 기악 = 241 악기의 발전 = 241 기악 합주 = 243 섬서고악(陝西鼓樂) = 243 북경의 사원 관악(管樂) = 245 산서(山西) 팔대투(八大套) = 247 기중(冀中) 관악(管樂) = 247 십번고(十番鼓) = 248 십번나고(十番◆U947C◆鼓) = 251 현삭(弦索) 십삼투(十三套) = 257 금곡(琴曲) = 258 비파곡 = 259 화문빈과 그의 『비파보』(琵琶譜)』 = 264 이조분(李祖◆U68FB◆)과 그의 『남북파 십삼투 대곡 비파 신보(南北派十三套大曲琵琶新譜)』(1895년의 서문이 있다) = 265 내몽고(內蒙古) 사현(四弦) 독주곡 = 267 제35장 명ㆍ청의 궁정음악 = 269 궁정의 제사악(祭祀樂)ㆍ조회악(朝會樂)ㆍ연향악(宴饗樂)과 순행악(巡幸樂) = 269 『시경(詩經)』의 악보 = 274 희곡에 대한 청나라 궁정의 태도 = 274 민간 기악곡에 대한 궁정의 수정 = 275 제36장 음악이론 = 277 주재육과 평균율 이론 = 278 이경관율(異徑管律)의 발명 = 278 주재육의 관념론적 음악관 = 280 청나라 강희제(康熙帝)의 『율려정의(律呂正義)』 = 281 세 가지 율제 - 실천과 이론 = 284 세 가지 율의 병용 문제 = 285 結. 맺음말 = 287 참고문헌 = 299 부록 1. 그림 목록 = 307 2. 곡례 목록 = 308 3. 곡례 = 310 저자 후기 = 453 1) 차이 = 413 2) 특수한 모순 = 454 3) 이론의 기초는 실천이다 = 456 4) 우월한 조건, 유치한 단계 = 457 찾아보기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