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유아비디오 증후군 재판

유아비디오 증후군 재판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인태 , 1974-
Title Statement
유아비디오 증후군 = Child video syndrome / 정인태 著.
판사항
재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유아마음 ,   2006.  
Physical Medium
142 p. ; 21 cm.
ISBN
899530376X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40-142.
000 00612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402797
005 20100806123355
007 ta
008 070202s2006 ulk b 000c kor
020 ▼a 899530376X ▼g 93370
035 ▼a (KERIS)BIB000010651685
040 ▼a 211057 ▼d 211009
082 0 4 ▼a 618.928982 ▼2 22
090 ▼a 618.928982 ▼b 2006
100 1 ▼a 정인태 , ▼d 1974-
245 1 0 ▼a 유아비디오 증후군 = ▼x Child video syndrome / ▼d 정인태 著.
250 ▼a 재판
260 ▼a 서울 : ▼b 유아마음 , ▼c 2006.
300 ▼a 142 p. ; ▼c 21 cm.
504 ▼a 참고문헌: p. 140-142.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82 2006 Accession No. 11144514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8.928982 2006 Accession No. 1114451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정인태(지은이)

<유아비디오 증후군>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면서
제1부 유아비디오증후군 피해 상담 사례 = 15
제2부 유아비디오증후군의 특성에 관한 연구
 Ⅰ. 서론 = 43
  1. 문제제기 및 목적 = 43
  2. 연구문제 = 46
  3. 용어의 정의 = 47
 Ⅱ. 이론적 배경 = 48
  1. 비디오ㆍ텔레비전과 정신장애 = 48
  2. 장시간 비디오ㆍ텔레비전을 보는 아이들의 공통점 = 52
  3. 비디오ㆍ텔레비전과 장애와의 관계 = 55
 Ⅲ. 연구방법 = 58
  1. 연구대상 = 58
  2. 연구도구 = 65
  3. 연구절차 = 67
  4. 자료분석 = 68
 Ⅳ. 유아비디오증후군 특성에 대한 관찰 결과 = 69
  1. 표정적 특성 = 69
  2. 행동적 특성 = 71
  3. 언어적 특성 = 74
 Ⅴ. 비디오증후군 유아를 둔 가정의 비디오 관련 환경에 대한 분석 = 77
  1. 비디오를 많이 보여준 시기 = 77
  2. 비디오의 내용 = 78
  3. 비디오를 오래 보여주게 된 이유 = 79
  4. 하루 비디오를 보여 준 시간 = 80
  5. 비디오를 본 형태 = 80
 Ⅵ. 논의 및 결론 = 81
  1. 요약 = 81
  2. 논의 및 결론 = 84
  3. 제언 = 86
제3부 비디오가 발달지체와 이상발달을 유발시키는 원인에 대한 고찰
 Ⅰ. 서론 = 89
 Ⅱ. MBPA과학의 이해 = 90
  1. MBPA과학의 기초 = 90
  2. MBPA과학의 논리기호체계 = 93
 Ⅲ. MBPA과학에서의 기억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02
  1. M1에 대한 이해 = 103
  2. M1에 대한 논리기호체계 = 104
 Ⅳ. 기억과 발달과의 관계 고찰 = 105
  1. 기억과 인지 = 106
  2. 기억과 정서 = 107
  3. 기억과 사회성 = 108
  4. 기억과 언어 = 109
  5. 기억과 행동 = 110
 V. 결론 = 111
제4부 유아비디오증후군 재활교육의 원리
 Ⅰ. 서론 = 113
 Ⅱ. 원리 탐구 = 114
  1. 정확한 원리 적용 = 115
  2. 부모의 전문가적 자질 갖추기 = 117
  3. 사명감으로 실천할 교사 = 119
 Ⅲ. 결론 = 121
제5부 유아비디오증후군 재활교육 사례
 Ⅰ. 서론 = 123
 Ⅱ. 교육전개방식 = 126
 Ⅲ. 아이의 변화 과정 = 127
 Ⅳ. 결론 = 136
나오면서 = 138
참고문헌 = 14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박명화 (2022)
대한신생아스크리닝학회 (2022)
대한유방영상의학회 (2022)
Mellenthin, Clair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