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제1부 유아비디오증후군 피해 상담 사례 = 15
제2부 유아비디오증후군의 특성에 관한 연구
Ⅰ. 서론 = 43
1. 문제제기 및 목적 = 43
2. 연구문제 = 46
3. 용어의 정의 = 47
Ⅱ. 이론적 배경 = 48
1. 비디오ㆍ텔레비전과 정신장애 = 48
2. 장시간 비디오ㆍ텔레비전을 보는 아이들의 공통점 = 52
3. 비디오ㆍ텔레비전과 장애와의 관계 = 55
Ⅲ. 연구방법 = 58
1. 연구대상 = 58
2. 연구도구 = 65
3. 연구절차 = 67
4. 자료분석 = 68
Ⅳ. 유아비디오증후군 특성에 대한 관찰 결과 = 69
1. 표정적 특성 = 69
2. 행동적 특성 = 71
3. 언어적 특성 = 74
Ⅴ. 비디오증후군 유아를 둔 가정의 비디오 관련 환경에 대한 분석 = 77
1. 비디오를 많이 보여준 시기 = 77
2. 비디오의 내용 = 78
3. 비디오를 오래 보여주게 된 이유 = 79
4. 하루 비디오를 보여 준 시간 = 80
5. 비디오를 본 형태 = 80
Ⅵ. 논의 및 결론 = 81
1. 요약 = 81
2. 논의 및 결론 = 84
3. 제언 = 86
제3부 비디오가 발달지체와 이상발달을 유발시키는 원인에 대한 고찰
Ⅰ. 서론 = 89
Ⅱ. MBPA과학의 이해 = 90
1. MBPA과학의 기초 = 90
2. MBPA과학의 논리기호체계 = 93
Ⅲ. MBPA과학에서의 기억에 대한 이론적 배경 = 102
1. M1에 대한 이해 = 103
2. M1에 대한 논리기호체계 = 104
Ⅳ. 기억과 발달과의 관계 고찰 = 105
1. 기억과 인지 = 106
2. 기억과 정서 = 107
3. 기억과 사회성 = 108
4. 기억과 언어 = 109
5. 기억과 행동 = 110
V. 결론 = 111
제4부 유아비디오증후군 재활교육의 원리
Ⅰ. 서론 = 113
Ⅱ. 원리 탐구 = 114
1. 정확한 원리 적용 = 115
2. 부모의 전문가적 자질 갖추기 = 117
3. 사명감으로 실천할 교사 = 119
Ⅲ. 결론 = 121
제5부 유아비디오증후군 재활교육 사례
Ⅰ. 서론 = 123
Ⅱ. 교육전개방식 = 126
Ⅲ. 아이의 변화 과정 = 127
Ⅳ. 결론 = 136
나오면서 = 138
참고문헌 =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