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접근시각과 자료 = 3
Ⅰ. 접근방법 = 3
Ⅱ. 자료 = 5
2. 시기구분 = 7
3. 근대 국제질서의 배경 - 18세기의 국제질서와 그 특징 = 11
Ⅰ. 유럽사회의 세계주의적 성향 = 12
Ⅱ. 유럽사회의 세력균형 = 15
제1편 근대 국제질서의 형성과 변천
제1장 비엔나체제의 형성과 협조외교 = 21
제1절 비엔나회의의 연원(淵源) = 21
Ⅰ. 쇼몽조약 = 21
Ⅱ. 제1차 파리협약 = 22
제2절 비엔나체제의 형성과 원칙 = 23
Ⅰ. 제2차 파리협약 = 23
Ⅱ. 비엔나체제의 원칙 = 25
제3절 유럽협조관계와 비엔나체제의 운영 = 28
Ⅰ. 엑스라샤펠회의 = 28
Ⅱ. 트로파우회의와 라이바하 의정서(議定書) = 29
Ⅲ. 베로나회의 = 31
제4절 체제밖에서의 진전 - 먼로선언 = 32
제5절 중근동문제 = 40
Ⅰ. 지중해연안의 문제 = 40
Ⅱ. 리스의 독립 = 41
Ⅲ. 프랑스 알제리 정착 = 45
Ⅳ. 이집트문제 = 46
제2장 프랑스혁멍과 민족국가의 태동 = 49
제1절 7월혁명 = 49
Ⅰ. 프랑스 제1공화국의 부침(浮沈) = 49
Ⅱ. 벨기에의 독립(1831년) = 51
Ⅲ. 폴란드의 반란 = 52
제2절 1848년의 프랑스헉명 = 54
Ⅰ. 제2공화국의 탄생 = 54
Ⅱ. 프랑크푸르트 의회 = 57
Ⅲ. 크리미아 전쟁 = 60
제3장 민족국가의 통일 = 45
제1절 이탈리아의 통일 = 45
Ⅰ. 환경 = 65
Ⅱ. 이탈리아의 창건(創建)과 카부르 = 67
제2절 독일의 통일 = 71
Ⅰ. 비스마천크의 등장과 국제환경 = 71
Ⅱ. 덴마크와의 전쟁 - 홀시타인과 실레스비히 = 76
Ⅲ. 오스트리아와의 전쟁 = 80
Ⅳ. 프랑스와의 전쟁 = 83
제3절 이탈리아와 독일통일의 비교 = 92
제4장 비스마르크 시대의 전개 = 95
제1절 민족주의의 후유증(後遺症) - 제국주의(帝國主義) = 95
제2절 비스마르크체제의 구성과 운용 - 제1기(1871~1878) = 97
Ⅰ. 정치 경제의 구조 = 97
Ⅱ. 제1차 3제협상(3帝協商) = 99
Ⅲ. 발칸 반도의 위기 - 중근동문제 = 101
Ⅳ. 베를린 회의 = 105
제3절 비스마르크의 동맹체제 - 제2 기(1879~1890) = 108
Ⅰ. 개요 = 108
Ⅱ. 독일ㆍ오스트리아동맹 = 109
Ⅲ. 제2차 3제협상 = 111
Ⅳ. 방계조직(傍系組織) = 113
Ⅴ. 제1차 3국동맹 = 115
제4절 3제헙상의 파탄과 비스마르크 후기체제의 재건 = 118
Ⅰ. 불가리아 사태와 불랑제운동 = 118
Ⅱ. 제2차 3국동맹 = 122
Ⅲ. 지중해협정(1887년 2월) = 125
Ⅳ. 독일ㆍ러시아 재보장조약(1887년 6월) = 127
Ⅴ. 비스마르크체제의 특성 = 132
Ⅵ. 비스마르크체제의 효과 - 유럽세력의 아시아경략 = 136
제5장 비스마르크의 퇴진과 유럽세력의 재편성 = 139
제1절 3국헙상의 성립 = 139
Ⅰ. 독일ㆍ러시아 재보장조약(再保障條約)의 폐기(廢棄) = 139
Ⅱ. 러시아ㆍ프랑스동맹 = 140
Ⅲ. 영국ㆍ프랑스협상 = 144
Ⅳ. 영국ㆍ러시아협상 = 148
Ⅴ. 3국동맹과 3국헙상의 대치 - 강대국세력의 대치상황 = 150
제2절 유럽 긴장사태의 전개 = 152
Ⅰ. 뵈르쾨 에피소드 = 153
Ⅱ. 모로코문제 = 154
Ⅲ. 트리폴리 전쟁 = 157
Ⅳ. 보스니아ㆍ헤르체고비나의 병합 = 158
Ⅴ. 영ㆍ독의 건함경쟁(建艦競爭)과 군축협상(軍縮協商) = 160
Ⅵ. 발칸의 4국동맹(4國同盟)과 1ㆍ2차 발칸전쟁 = 163
제3절 비스마르크체제의 후유증 - 팽창적 민족주의의 결말 = 165
제2편 제국주의적 가교(架橋)
제1장 서구제국주의의 전개 = 171
제1절 제국주의의 유헝 = 171
Ⅰ. 아프리카에의 팽창 = 171
Ⅱ. 아시아에의 팽창과 중화체제(中華體制) = 177
제2절 중국의 개국과 조약체계 = 182
Ⅰ. 아편전쟁과 난징조약 = 182
Ⅱ. 왕샤(望廈)조약과 황푸(黃◆U57D4◆)조약 = 185
Ⅲ. 태평천국의 난과 외국의 권익신장 = 188
Ⅳ. 톈진조약과 열국의 권리 = 192
Ⅴ. 아이훈(愛琿)조약 = 194
Ⅵ. 베이징(北京)조약 = 195
Ⅶ. 즈푸(芝◆U7F58◆) 조약 = 198
Ⅷ. 중화사상과 중국의 외교 = 203
제3절 일본의 개국 = 206
Ⅰ. 일본의 개국환경 = 206
Ⅱ. 페리의 내일(來日) = 208
Ⅲ. 미ㆍ일화친조약(美ㆍ日和親條約)의 체결 = 210
Ⅳ. 해리스의 파일(派日)과 통상권(通商權)의 확장 = 213
Ⅴ. 일본과 중국개국의 비교ㆍ정리 = 214
제4절 조선의 개국 = 217
제5절 중국변경의 동요와 중국의 종주권상실 = 220
Ⅰ. 프랑스의 안남경략 = 220
Ⅱ. 영국의 미얀마 경영 = 224
Ⅲ. 일본의 류큐경략 = 225
Ⅳ. 러시아의 북방침입 = 227
제2장 아시아세력권의 형성과 상호작용 = 227
제1절 일본세력의 부상과 좌절 = 227
Ⅰ. 톈진조약과 청ㆍ일전쟁의 마무기 = 227
Ⅱ. 청ㆍ일전쟁의 대내적 영향 = 230
Ⅲ. 3국간섭(3國干涉) = 232
Ⅳ. 각국의 이권쟁탈전 = 237
제2절 미국의 아시아 개입 - 문호개방선언 = 240
Ⅰ. 제1차 문호개방선언과 그 의미 = 340
Ⅱ. 제2차 문호개방선언 = 243
제3절 중국의 국권회수기운 = 244
Ⅰ. 의화단(義和團)의 난과 그 진전(進展) = 244
Ⅱ. 베이징회의와 최종의정서(最終議定書) = 248
Ⅱ. 의화단사변의 의의 = 249
제3장 동서 강대국세력관계의 새로운 전개 = 251
제1절 영제국(英帝國)의 고립과 영ㆍ독교섭의 실패 = 251
Ⅰ. 영제국의 고립과 도전 = 251
Ⅱ. 영ㆍ독동맹교섭의 실패 = 253
제2절 제1차 영ㆍ일동맹 = 256
Ⅰ. 배경과 교섭과정 = 256
Ⅱ. 동맹조약의 내용과 의의 = 261
제3절 러ㆍ일 전쟁 = 265
Ⅰ. 극동정국(極東政局)과 러ㆍ일 대립 = 265
Ⅱ. 일본의 전쟁외교와 러시아 내의 분열 = 269
Ⅲ. 개전과 강화 = 270
Ⅳ. 미국의 주선결정과 포츠머스 강화회의 = 272
Ⅴ. 강화조약의 성립 = 274
제4장 러ㆍ일 전쟁 후의 일본의 협상체제 = 279
제1절 태프트ㆍ가쓰라(桂) 합의각서와 미ㆍ일협상 = 280
Ⅰ. 태프트ㆍ가쓰라 합의각서 = 281
Ⅱ. 미ㆍ일협상 = 282
제2절 영ㆍ일동맹체제의 진전 = 284
Ⅰ. 제2차 영ㆍ일동맹(1905) = 284
Ⅱ. 1ㆍ2차 영ㆍ일동맹의 차이점 = 285
Ⅲ. 제3차 영ㆍ일동맹(1911) = 286
제3절 일본의 러시아 및 프랑스와의 협상 = 289
Ⅰ. 배경 = 289
Ⅱ. 불ㆍ일협상(1907) = 290
Ⅲ. 제1차 러ㆍ일협상 = 291
Ⅳ. 제2차 러ㆍ일협상 = 292
Ⅴ. 제3차 러ㆍ일협상 = 295
제3편 제국주의전쟁
제1장 유럽대전 = 299
제1절 유럽대전 이전의 각국 외교정책의 개요 = 299
Ⅰ. 3국동맹과 3국협상체제의 양극화 = 300
Ⅱ. 유럽지역 외 국가: 미국과 일본의 외교 = 303
제2절 제1 차세계대전의 발발 = 304
Ⅰ. 배경요인 - 원인(遠因) = 304
Ⅱ. 직접적 요인 = 305
제3절 확전(擴戰) = 308
Ⅰ. 유럽국가들의 참전 = 308
Ⅱ. 기타 국가의 참전과 런던선언 = 313
제4절 아시아의 일본과 중국의 참전 = 313
Ⅰ. 일본의 참전과 동양전국(戰局) = 311
Ⅱ. 중국의 참전 = 319
Ⅲ. 이시이(石井)~랜싱(Lansing)협정 = 330
제5절 미국의 참전과 전쟁외교 = 331
Ⅰ. 미국참전의 배경 - 중립과 도전 = 331
Ⅱ. 미국의 강화노력 = 332
Ⅲ. 중립정책에의 도전 = 333
Ⅳ. 전쟁목적의 제시요구 = 334
Ⅴ. 짐머만 사건 = 336
Ⅵ. 미국의 참전동기와 전후정리 = 337
Ⅶ. 윌슨의 평화계획 = 338
Ⅷ. 제1차세계대전 중의 비밀조약 = 341
제6절 러시아혁명과 연합국의 간섭 = 343
Ⅰ. 10월혁명의 성공과 연합국의 간섭 = 343
Ⅱ. 브레스트 - 리토프스크조약과 소련의 전쟁이탈 = 345
Ⅲ. 대소군사간섭(對蘇軍事干涉) = 346
Ⅳ. 연합군철병과정의 혼란 = 347
제2장 종전과 베르사이유체제의 태동 = 349
제1절 파리강화회의(講和會議) = 349
Ⅰ. 독일의 휴전제의 = 349
Ⅱ. 파리강화회의 개요 = 352
Ⅲ. 세력정치의 재현 = 354
제2절 파리강화회의에서 의 문제점 = 357
Ⅰ. 국제연맹의 창설과 미국의 불참 = 357
Ⅱ. 중국의 국권회수문제 = 359
Ⅲ. 영토문제 = 363
Ⅳ. 배상문제 = 366
Ⅴ. 독일황제의 처벌문제 = 366
Ⅵ. 독일의 군비제한문제 = 367
Ⅶ. 베르사이유조약의 평가 = 369
제3절 베르사이유체제의 전개 = 370
Ⅰ. 배상문제의 진전 = 370
Ⅱ. 프랑스의 안전보장문제 = 373
제3장 태평양의 문제와 워싱턴 회담 = 383
제1절 워싱턴체제의 성립 = 383
Ⅰ. 해군군축(海軍軍縮) = 385
Ⅱ. 제네바 및 런던군축회의 = 386
제2절 태평양질서의 수립 = 389
Ⅰ. 4개국조약과 미ㆍ일협정 = 389
Ⅱ. 중국에 관한 9개국조약과 기타 = 391
제3절 중국의 배일운동(排日運動) = 396
Ⅰ. 배일운동(排日運動) = 396
Ⅱ. 중ㆍ소협정 = 397
Ⅱ. 5ㆍ30사건과 관세특별회의 = 398
제4편 베르사이유체제에의 도전과 붕괴
제1장 전후열강의 외교환경과 베르사이유체제 = 403
제1절 나치즘의 발흥과 독일의 대외성향 = 403
Ⅰ. 나치즘의 발흥과 히틀러의 집권 = 404
Ⅱ. 나치즐의 외교성향 = 407
Ⅲ. 베르사이유 및 로카르노조약의 파기 = 409
제3절 미국의 외교 - Pax Americana = 410
제3절 영국의 외교정책 = 413
제4절 프랑스 외교의 특성 = 415
제5절 소련의 평화외교 = 417
제6절 이탈리아의 외교 = 419
제7절 일본의 외교와 아시아 정국 = 421
제2장 독일ㆍ이탈리아의 팽창정책과 지역전쟁 = 424
제1절 이탈리아ㆍ이디오피아전쟁 = 424
Ⅰ. 왈왈사건과 그 전개 = 424
Ⅱ. 이탈리아의 무력침골과 국제연맹의 무기력성 = 427
제2절 스페인 내란과 불간섭 위원회 = 430
Ⅰ.배평 = 430
Ⅱ. 열국의 정책과 불간섭위원회 = 432
제3절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 = 436
Ⅰ. 독ㆍ불의 접근 = 436
Ⅱ. 베르히테스가덴 회의와 오스트리아의 종말 = 439
제4절 뮌헨협정과 유화정책(宥和政策) = 442
Ⅰ. 민족자결과 수데텐 지방의 문제 = 442
Ⅱ. 뮌헨협정과 수데텐 지방의 할양 = 445
Ⅲ. 뮌헨의 후유증과 체코의 붕괴 = 450
Ⅳ. 유화정책과 전쟁책임론 = 454
제5편 제2차세계대전
제1장 유럽대전 = 459
제1절 폴란드문제와 영ㆍ독대결 = 459
Ⅰ. 독일의 요구와 독일ㆍ폴란드 교섭의 실패 = 459
Ⅱ. 영ㆍ독대결과 영ㆍ불제휴 = 461
제2절 단치히문제와 동맹관계의 형성 = 463
Ⅰ. 영국ㆍ폴란드동맹 = 463
Ⅱ. 독일ㆍ이탈리아동맹 = 464
Ⅲ 독ㆍ소불가침조약과 리벤트로프 쇼크 = 466
제3절 대파국과 전쟁의 발발 = 470
Ⅰ. 독일의 폴란드 침공 = 470
Ⅱ. 이탈리아의 중립과 기타 국가들의 평화외교 = 474
Ⅲ. 전쟁의 진전과 독ㆍ소 개전 = 476
Ⅳ. 영ㆍ불의 정변과 프랑스의 항복 = 482
제2장 태평양 전쟁 = 485
제1절 일본군국주의의 발호와 지역전쟁 = 485
Ⅰ. 만주사변 = 488
Ⅱ. 중ㆍ일전쟁의 발단 = 491
제2절 3국동맹(일ㆍ독ㆍ이(伊))과 확전(擴戰) = 493
제3절 일ㆍ소중립조약과 독ㆍ소 개전 = 497
제3장 미ㆍ일 개전 = 499
제1절 미국의 전쟁외교와 중립정책의 변천 = 499
Ⅰ. 루스벨트의 격리연설(隔離演說) = 499
Ⅱ. 미국 중립법의 변천과 전쟁에의 영향 = 500
Ⅱ. 미국의 간접참전과 대서양헌장 = 102
제2절 미ㆍ일협상과 개전 = 504
Ⅰ. 미ㆍ일협상조건 = 504
Ⅱ. 도조린(東條)내각의 등장 = 509
Ⅲ. 진주만기습과 태평양전쟁 = 512
제3절 전쟁의 종결 = 514
Ⅰ. 독일의 패망과 유럽전쟁의 종결 = 514
Ⅱ. 일본의 항복과 대전의 종결 = 518
후기(Epilogue)
Ⅰ. 서언 = 523
Ⅱ. 두 차례의 전쟁과 신국제질서 = 524
Ⅲ. 9ㆍ11 테러의 미국 외교전략상의 영향 = 530
주요 참고문헌 = 539
색인 =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