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Loan 1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요한
Title Statement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 Digital literature / 김요한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국학술정보 ,   2007.  
Physical Medium
210 p. : 삽도 ; 23 cm.
ISBN
978895347431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99]-210
000 00596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402481
005 20100806123002
007 ta
008 071016s2007 ggka b 000c kor
020 ▼a 9788953474314 ▼g 93850
035 ▼a (KERIS)BIB000011050626
040 ▼d 211048 ▼d 211009
082 0 4 ▼a 802.85 ▼2 22
090 ▼a 802.85 ▼b 2007z2
100 1 ▼a 김요한 ▼0 AUTH(211009)44468
245 1 0 ▼a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 ▼x Digital literature / ▼d 김요한 지음.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7.
300 ▼a 210 p. : ▼b 삽도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199]-210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11444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114446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512482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1144460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114446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02.85 2007z2 Accession No. 1512482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디지털 매체는 무엇을 표현하고, 어떻게 이야기하며, 그것을 다시 어떻게 변형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문자와는 다른 가능성을 제공한다. 디지털 기술이 우리 삶에 제공하는 가능성만큼이나 디지털 문학이 제공하는 문학적 가능성이 새롭고 크다는 것. 그러한 부분들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의 차원에서 집필된 책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요한(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하이퍼텍스트 문학 연구 -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특성과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이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학교 유럽언어문화학부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원형과 전형, 그리고 변용」, 「소설 보기, 영화 읽기」, 「아리아드네의 실」, 「괴물열전」 등이 있고, 저서로는 『디지털 시대의 문학하기』, 『매체와 장르』(공저), 『내러티브와 매체』(공저)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11
Ⅱ. 매체 환경의 변화 = 19
 1.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 = 19
 2.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23
 3.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 = 28
 4. 요하네스 아우어의 「시를 죽여라」 = 31
Ⅲ. 텍스트 개념의 변화와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특성 = 39
 1. 텍스트의 형질 변화 = 40
  1.1. 기술복제 시대의 텍스트 = 41
  1.2. 디지털 시대의 텍스트 = 45
  1.3. 멀티미디어 시대의 텍스트 = 47
 2. 텍스트 개념의 변화 = 50
  2.1. 움직이는 텍스트 = 50
  2.2. 분산되고 파편화된 텍스트 = 52
  2.3. 개방된 텍스트 = 55
  2.4. 탈중심의 텍스트 = 56
  2.5. 하이퍼 - 텍스트 = 58
 3. 하이퍼텍스트의 정의와 구조적 특성 = 59
  3.1. 하이퍼텍스트의 정의와 개념에 대한 고찰 = 59
  3.2.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특성 = 66
   3.2.1. 교차성과 가변성 = 67
   3.2.2. 비선형성 = 70
   3.2.3. 리좀 = 75
   3.2.4.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작용성 = 77
Ⅳ.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형태와 전개 = 83
 1.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형태 = 85
  1.1. 통신문학, 사이버 소설 = 86
  1.2. 이어쓰기 = 88
  1.3. 네트 문학 = 93
  1.4. 멀티미디어 문학 = 95
  1.5. 인터넷 문학 = 100
  1.6. 하이퍼픽션 = 103
  1.7. 광의의 개념으로서 디지털 문학 = 107
 2.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생성과 전개 = 112
  2.1. 미국의 경우 = 112
   2.1.1. 하이퍼텍스트와 스토리스페이스 = 112
   2.1.2.「오후, 어떤 이야기」 = 116
   2.1.3. 스토리스페이스의 평가와 한계 = 120
  2.2. 독일의 경우 = 123
   2.2.1. 배경과 생성과정 = 123
   2.2.2. 이어쓰기에서 웹으로 = 128
   2.2.3. 매체 중심적 글쓰기 = 143
  2.3. 한국의 경우 = 147
   2.3.1.「언어의 새벽」 = 148
   2.3.2.「디지털 구보 2001」 = 150
Ⅴ. 새로운 문학에서의 쓰기와 읽기, 그리고 그 가능성 = 159
 1. 쓰기 개념의 변화 = 159
  1.1. 저자 개념의 변화 = 161
  1.2. 공동작업 = 166
  1.3. 가변적, 동시적 글쓰기 = 168
 2. 읽기 개념의 변화 = 171
  2.1. 독자 개념의 변화 = 173
  2.2. 저자로서의 독자 = 176
  2.3. 경로 찾기 = 178
 3.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 = 180
  3.1. 이미지 재현의 문학 = 180
  3.2. 혼종형식으로서의 문학 = 185
  3.3. 연출로서의 문학 = 187
Ⅵ. 나오는 말 = 191
참고문헌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