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 11
Ⅱ. 매체 환경의 변화 = 19
1.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 = 19
2.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23
3. 멀티미디어와 네트워크 = 28
4. 요하네스 아우어의 「시를 죽여라」 = 31
Ⅲ. 텍스트 개념의 변화와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특성 = 39
1. 텍스트의 형질 변화 = 40
1.1. 기술복제 시대의 텍스트 = 41
1.2. 디지털 시대의 텍스트 = 45
1.3. 멀티미디어 시대의 텍스트 = 47
2. 텍스트 개념의 변화 = 50
2.1. 움직이는 텍스트 = 50
2.2. 분산되고 파편화된 텍스트 = 52
2.3. 개방된 텍스트 = 55
2.4. 탈중심의 텍스트 = 56
2.5. 하이퍼 - 텍스트 = 58
3. 하이퍼텍스트의 정의와 구조적 특성 = 59
3.1. 하이퍼텍스트의 정의와 개념에 대한 고찰 = 59
3.2. 하이퍼텍스트의 구조적 특성 = 66
3.2.1. 교차성과 가변성 = 67
3.2.2. 비선형성 = 70
3.2.3. 리좀 = 75
3.2.4.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작용성 = 77
Ⅳ.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형태와 전개 = 83
1.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형태 = 85
1.1. 통신문학, 사이버 소설 = 86
1.2. 이어쓰기 = 88
1.3. 네트 문학 = 93
1.4. 멀티미디어 문학 = 95
1.5. 인터넷 문학 = 100
1.6. 하이퍼픽션 = 103
1.7. 광의의 개념으로서 디지털 문학 = 107
2.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생성과 전개 = 112
2.1. 미국의 경우 = 112
2.1.1. 하이퍼텍스트와 스토리스페이스 = 112
2.1.2.「오후, 어떤 이야기」 = 116
2.1.3. 스토리스페이스의 평가와 한계 = 120
2.2. 독일의 경우 = 123
2.2.1. 배경과 생성과정 = 123
2.2.2. 이어쓰기에서 웹으로 = 128
2.2.3. 매체 중심적 글쓰기 = 143
2.3. 한국의 경우 = 147
2.3.1.「언어의 새벽」 = 148
2.3.2.「디지털 구보 2001」 = 150
Ⅴ. 새로운 문학에서의 쓰기와 읽기, 그리고 그 가능성 = 159
1. 쓰기 개념의 변화 = 159
1.1. 저자 개념의 변화 = 161
1.2. 공동작업 = 166
1.3. 가변적, 동시적 글쓰기 = 168
2. 읽기 개념의 변화 = 171
2.1. 독자 개념의 변화 = 173
2.2. 저자로서의 독자 = 176
2.3. 경로 찾기 = 178
3.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 = 180
3.1. 이미지 재현의 문학 = 180
3.2. 혼종형식으로서의 문학 = 185
3.3. 연출로서의 문학 = 187
Ⅵ. 나오는 말 = 191
참고문헌 =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