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감 : 천천히 사유하는 즐거움 (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문광훈, 文光勳, 1964-
서명 / 저자사항
교감 : 천천히 사유하는 즐거움 / 문광훈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생각의나무,   2007  
형태사항
266 p. : 천연색삽화 ; 20 cm
ISBN
9788984987623
000 00574camcc2200205 c 4500
001 000045401741
005 20230323093928
007 ta
008 071018s2007 ulka 000c kor
020 ▼a 9788984987623 ▼g 03810
035 ▼a (KERIS)BIB000011052346
040 ▼d 211048 ▼d 244002 ▼d 211009 ▼a 211009 ▼c 211009
082 0 4 ▼a 700.1 ▼2 22
085 ▼a 700.1 ▼2 DDCK
090 ▼a 700.1 ▼b 2007b5
100 1 ▼a 문광훈, ▼g 文光勳, ▼d 1964- ▼0 AUTH(211009)124947
245 1 0 ▼a 교감 : ▼b 천천히 사유하는 즐거움 / ▼d 문광훈 지음
260 ▼a 서울 : ▼b 생각의나무, ▼c 2007
300 ▼a 266 p. : ▼b 천연색삽화 ; ▼c 20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5493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574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211916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211916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4439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443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512414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8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512414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5493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57457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211916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2119169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4439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11443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512414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00.1 2007b5 등록번호 1512414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경향신문」과 「사이언스 올제」에 연재되었던 글들을 하나의 책으로 엮은 미학에세이집이자 시민을 위한 예술교양서. 미 자체에보다는 미의 환경-아름다움의 존재와 부재 그리고 그 조건에 관하여 서술하였으며,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모든 학문적 작품들의 경계를 넘나드는 미학에세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지은이는 호들러의 그림 '삶에 지친 자들'에서는 우리의 삶과 이주노동자들의 힘겨움을, '사계'와 '그날이 오면'과 같은 노래에서는 때로는 전투적이고, 떄로는 서정적인 전투의 미학을 담아낸다. 그 속에서 과거의 '아름다움'은 오늘의 비루함과 교감하며, 그 비루함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해준다고 지은이는 믿고있는 듯하다.

예술을 통하여 희망과 행복을 배울 수 있다고 믿는 지은이는 심미적 세계의 반성적 성찰이 왜 절실한지 이 책을 밝히고자 하였다고 말한다. 설령 그러한 희망과 행복을 배울 수 없다 할지라도 이 책은 최소한 시와 그림을 자신의 현재와 잇는 법을 가르쳐주는 하나의 교양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문광훈이 《경향신문》과 《사이언스 올제》에 연재한 글을 엮은 미학에세이집이다. 저자는 미술작품, 시, 음악을 통해 우리 삶을 읽어나간다. 문광훈은 이 책을 통해 논리적 개념적 언어만이 아닌, 논리 속에서 논리를 넘어, 반성적 사유의 힘으로 심미적인 것의 의미를 풀어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문광훈(지은이)

1964년 부산 출생. 고려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충북대학교 독일언어문화학과에 재직 중이다. 지금까지 네다섯 방향에서 글을 써왔다. 독일문학 쪽으로 학위논문을 번역한 『페르세우스의 방패-바이스의 ‘저항의 미학’ 읽기』(2012)와 발터 벤야민론 『가면들의 병기창』(2014)이 있다. 한국문학 쪽으로 『시의 희생자 김수영』(2002), 『정열의 수난–장정일론』(2007), 『한국현대소설과 근대적 자아의식』(2010)이 있고, 예술론으로 『숨은 조화』(2006), 『교감』(2008, 『미학수업』으로 개정), 『렘브란트의 웃음』(2010), 『심미주의 선언』(2015), 『비극과 심미적 형성』(2018), 『예술과 나날의 마음』(2020)이 있다. 김우창 읽기로 『구체적 보편성의 모험』(2001), 『김우창의 인문주의』(2006), 『아도르노와 김우창의 예술문화론』(2006), 『사무사(思無邪)』(2012), 『한국인문학과 김우창』(2017)이 있다. 그 밖에 김우창 선생과의 대담집 『세 개의 동그라미』(2008)가 있다. 비교문화적, 비교사상적 논의로 『스스로 생각하기의 전통』(2018)과 『괴테의 교양과 퇴계의 수신』(2019)이 있고, 산문집 『가장의 근심』(2016)과 『조용한 삶의 정물화』(2018)가 있다. 그 밖에 『요제프 수덱』, 쾨슬러의 『한낮의 어둠』, 바이스의『소송/새로운 소송』, 포이흐트방거의 『고야, 혹은 인식의 혹독한 길』을 번역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아름다움의 현실적 조건 = 6
인문학을 깨우자 : 김수영의 '아픈 몸이' = 26
지옥현실 : 들라크루아의 '단테의 조각배' = 31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예배당'의 궁륭 = 39
'학문의 자유'라는 사치 : '석궁 테러'에 즈음하여 = 45
아무것도 아닌 실존의 전부 : 김정희 150주기전 = 50
나는 나를 그린다 : 렘브란트의 '자화상' = 57
사적 자아의 정원에서 벗어나기 : 차디 스미스의 에세이 = 64
다매체 시대의 교육 : 피카소의 '비유 마르 병, 유리잔, 기타 그리고 신문' = 69
슬픔에 대하여 : 호들러의 '삶에 지친 자들' = 75
음악 예찬 : 유디트 라이스트의 '플루트 부는 소년' = 82
우리 사는 도시와 거리 : 국립중앙박물관 = 88
무한성의 경험 :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바닷가의 수도사' = 94
지구 대차대조표 : 코닝크의 '매 사냥꾼이 있는 먼 풍경' = 102
'아름다움과 끔찍함'은 짝이다 : 카라바조의 '도마뱀에 물린 아이' = 108
글쓰기: 인간성에 대한 참여 : 에두아르트 콜리어의 '바니타스' = 115
저 너머 '환상의 사실성'을 보다 : 터너의 '비, 증기, 속도' = 121
폭력과 나르시시즘 : 고야의 '거대한 숫염소' = 127
'영원히 아이 같은' 것 : 무리요의 '포도와 멜론 먹는 아이들' = 135
열망적 삶의 좌절 : 다비드의 '살해된 마라' = 142
시대 미학 담긴 삶의 노래 : 노찾사의 '그날이 오면', '사계' = 149
늘 그러했고 그러할 뿐인 삶 : 이오네스코의 연극과 투르의 '점쟁이 여자' = 155
느슨하게, 삶을 정련하라 : 아룬다티 로이의 정치평론집 = 162
플라타너스 그늘의 기억 : 황인숙의 시, 야콥 반 루이스달의 '밀밭 풍경' = 168
예술과 세계시민적 공동체 : 카스파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얼음바다' = 175
사랑은 옳음을 기뻐하는 것! : 렘브란트의 판화 '이 사람을 보라' = 184
빈자리를 돌아보다 : 조속의 '새 그림', 문태준의 시 = 190
교양의 의미 = 197
알 수 없는 무한한 것들 : 고전을 읽는 이유 = 205
모차르트를 듣는 행복 = 215
모차르트의 평범한 깊이 = 222
소리의 어울림, 어울림의 바다 : 바흐를 듣자 = 227
자신으로 돌아가는 길 : 백석의 시 한 편 = 245
집ㆍ물ㆍ몸ㆍ풀 : 도산서원에 다녀와서 = 25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