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28c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45401710 | |
005 | 20100806121643 | |
007 | ta | |
008 | 070907s2007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1517240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026944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9 ▼2 22 |
090 | ▼a 379 ▼b 2007z1 | |
100 | 1 | ▼a Fowler, Frances C. ▼0 AUTH(211009)12126 |
245 | 1 0 | ▼a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 / ▼d Frances C. Fowler 지음 ; ▼e 신현석, ▼e 한유경 옮김. |
246 | 1 9 | ▼a Policy studies for educational leaders : an introduction. 2nd ed. |
260 |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 ▼c 2007. | |
300 | ▼a xxvii, 450 p. : ▼b 삽도, 도표 ; ▼c 26 cm. | |
500 | ▼a 부록: 1. Useful web sites for following education policy, 2. How to locate government web sites for specific states | |
504 | ▼a 참고문헌(p. [429]-446), 색인수록 | |
650 | 0 | ▼a Education and state ▼z United States. |
650 | 0 | ▼a Education ▼x Political aspects ▼z United States. |
650 | 0 | ▼a School administrators ▼z United States. |
700 | 1 | ▼a 신현석 , ▼e 역 ▼0 AUTH(211009)88842 |
700 | 1 | ▼a 한유경 , ▼e 역 ▼0 AUTH(211009)119209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2007z1 | Accession No. 11143740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2007z1 | Accession No. 1114374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9 2007z1 | Accession No. 1114890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이 갖고 있는 미덕은 제목에서 나타나듯이 교육정책의 지식토대와 실제 현실의 분석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이 책의 구성은 오늘날 교육정책의 탐구가 공공정책적 지식을 단순하게 차용하는 선에서 매조지 되거나 혹은 지식-이론 연계 노력이 도외시된 대중적 방안의 제시로 일관하는 정책과제형 탐구에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교육정책 연구의 길로 접어드는 초심자들이라 할 수 있는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학생들 그리고 학부의 상급과정의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정책의 개념과 기원 왜 정책을 연구하는가? = 1 오즈(Oz)의 학교 지도자들 = 1 교육정책 환경의 변화 = 3 과거 = 3 새로운 정책 환경 = 4 변화의 원인 = 4 학교 지도자의 변화된 역할 = 6 정책의 정의 = 9 간단한 정의 = 9 정책과 표현된 정부의 의도-인종 분리 = 11 정책, 법 그리고 인종 분리 = 15 정책과정 = 15 정책쟁점 = 16 국가표준개혁에 단계 모델의 적용 = 17 정책 분석 = 21 정의 = 21 역사 = 21 정책 분석의 목표 = 23 정책 분석의 유형 = 23 학교 지도자와 정책 연구 = 24 정책 입안자로서의 행정가 = 24 정책 집행자로서의 행정가 = 25 정책쟁점의 추종자로서의 행정가 = 25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자로서의 행정가 = 26 맺는말 = 26 제2장 권력과 교육정책 머리말 = 31 권력의 정의 = 32 논쟁하는 개념 = 32 권력의 작동적 정의 = 32 담론과 권력 = 34 이야기로서의 학교 행정 = 34 텍스트 = 34 담론 실천 = 35 사회적 실천 = 35 권력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모형 = 36 제1차원의 권력 : 권력의 명시적 사용 = 36 제2차원의 권력 : 편견의 동원 = 42 제3차원의 권력 : 의식 형성 = 47 교육 환경에서의 권력 = 50 교육정책 행위자의 권력 = 50 권력 관계 분석하기 = 50 권력 구축하기 = 54 권력 주위의 윤리적 쟁점 = 57 권력의 위험 = 57 수단과 목적으로서의 권력 = 58 담론적 권력을 윤리적으로 이용하기 = 59 맺는말 = 60 제3장 경제와 인구통계학 정책 환경을 분석하는 이유 = 67 정책 환경의 정의 = 67 정치와 그 사회적 맥락 = 68 경제 환경= 69 경제의 중요성 = 69 미국 경제사 개관 = 69 단기간 경제 변화 = 73 장기적 경제 동향 = 76 인구통계와 정책 환경 = 80 인구통계의 중요성 = 80 장기적 인구통계 동향 = 81 교육정책을 위한 함의 = 87 경기 순환의 함의 = 87 장기간 동향의 함의 = 88 적은 경비로 큰 효과를 = 90 조금 더 투자해 훨씬 많은 효과를 = 91 행간 읽기 = 91 학교에 얼마나 많은 투자가 필요한가? = 93 제4장 정치체제와 정치문화 모호한 것들의 중요성 = 99 미국의 정치체제 = 100 연방주의 = 100 권력의 분리 = 104 거버넌스의 분화 = 104 선거의 초점 = 106 사법 심사권 = 107 학교 지도자를 위한 정치체제의 함축적 의미 = 108 정부기구들 사이의 경쟁 = 108 다양한 거부권 = 109 정책과 선거의 시기 = 110 네트워크와 연합체계 구축하기 = 113 정치문화 = 115 정치문화의 정의 = 115 전통적 정치문화 = 117 도덕적 정치문화 = 118 개인적 정치문화 = 119 정치문화와 교육정책 = 120 학교 행정가를 위한 함축적인 내용 = 121 맺는말 = 125 제5장 가치와 이데올로기 관념의 중요성 = 131 미국 정책에서의 기본 가치 = 133 이기심과 다른 가치 = 133 이기심이라는 가치 = 133 일반적인 사회 가치= 134 민주적 가치 = 136 경제적 가치 = 141 상호작용하는 가치 = 145 지배적 가치의 주기적 이동 = 145 중요한 가치 갈등 = 147 이데올로기 = 151 이데올로기에 대한 정의 = 151 미국의 주요한 이데올로기 = 152 보수주의 = 152 자유주의 = 154 다른 이데올로기 = 156 미국의 극단적 이데올로기 = 156 다른 나라의 이데올로기 = 157 이념 논쟁에 휩싸인 학교 지도자 = 159 이념 논쟁장으로 변한 학교 = 159 이데올로기 논쟁 효과적으로 다루기 = 160 맺는말 = 165 제6장 교육정책의 주요 행위자 정책 드라마의 등장인물 = 171 정부 내 행위자 = 174 입법부 = 174 행정부 = 179 사법부 = 183 지방 정부 행위자 = 184 비정부 정책 행위자 = 186 이익단체 : 그들은 누구이고, 무엇을 하는가? = 186 교육 이익단체 = 187 교육 외의 이익단체 = 188 정책 네트워크 = 189 정책 기획 조직 = 190 대중매체 = 191 정책 행위자에 대해 확인하고 알기 = 193 전반적 접근 = 193 선출직 관리 = 193 임명직 관리 = 195 정책 기획 집단 = 196 스위스 치즈 저널리즘에 대처하기 = 198 제7장 무대 만들기와 무대에 서기 : 쟁점 정의와 의제 설정 정책과정의 인식과 현실 = 205 쟁점 정의 : 무대 만들기 = 207 쟁점 정의에 대한 정의 = 207 교육정책 기획 및 연구 공동체 = 208 정책의제 = 220 정책의제에 대한 정의 = 220 정책의제의 유형 = 221 의제의 연관성 = 222 정부 정책의제 설정 = 222 정책의제에 머무르는 것 = 226 비결정 = 227 학교장과 정책과정의 초기 단계 = 227 초기 단계를 따라가기 = 227 초기 단계에 영향 미치기 = 229 제8장 법안과 예산의 확보 : 정책 형성과 정책 채택 정책과정의 가시적 단계 = 239 입법부에서의 정책 형성과 채택 = 241 보수적 과정 = 241 입법 제안과 제안의 출처 = 241 어떻게 법안이 작성되는가? = 244 어떻게 법안이 입법부를 통과하는가? = 245 정책이 채택되기 위한 정치 활동 = 248 예산 확보 = 251 행정기관에서의 정책 형성과 채택 = 255 규칙 제정 = 255 주 수준의 규칙 제정 = 260 법원에서의 정책 형성과 채택 = 261 정책 행위자로서의 판사 = 261 소송의 발생 = 263 판사에 의한 정책 형성과 채택 = 264 법원이 교육정책을 만드는 예 = 265 정책 형성과 채택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법 = 267 일반 원리 = 267 입법부와 행정기관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법 = 270 전문가협회를 통해서 일하기 = 274 맺는말 = 284 제9장 정책 들여다보기 : 정책도구와 비용 효율성 공공정책 분석 배우기 = 289 Lowi의 통제 기법론 = 290 분배정책 = 290 규제정책 = 294 재분배정책 = 295 Lowi의 정책 분류는 중복되는가? = 297 Lowi의 정책 분류를 교장의 리더십에 적용하기 = 298 McDonnell과 Elmore의 정책도구 = 303 명령 = 303 유인 = 305 역량 형성 = 306 체제 변화 = 307 권고정책 또는 설득 = 308 정책도구의 결합 = 310 McDonnell과 Elmore의 개념을 학교 지도자가 사용하는 법 = 311 비용분석과 비용효과 분석 = 314 비용 = 314 비용 분석 = 315 비용효과 분석 = 319 맺는말 = 321 제10장 정책의 집행 : 정책을 실행하도록 하는 방법 정책 집행의 어려움 = 325 집행에 관한 연구 = 326 집행의 정의 = 326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 = 327 제1세대 연구 : 정책 집행의 어려움 = 328 제2세대 연구 : 성공과 실패 분석 = 331 새로운 정책을 집행하는 방법 = 335 집행을 위한 동원 = 335 엄밀한 의미에서의 집행 = 347 정책의 제도화 = 353 인기 없는 정책의 집행 = 355 왜 어떤 정책은 인기가 없는가? = 355 저항을 둘러싼 쟁점 = 357 맺는말 = 361 제11장 정책 평가 : 정책이 제대로 작용하는지 판단하기 평가에 대한 두려움 = 367 정책 평가와 관련된 정의 = 369 교육정책 평가의 역사 = 370 초기의 평가 = 370 빈곤과의 전쟁 = 370 평가의 전문화 = 371 정책 평가의 특징 = 372 평가의 과정 = 372 평가의 판정 준거 = 373 평가의 목적 = 376 정책 평가에 쓰이는 평가 방법 = 377 지표 = 379 의미 있는 정책 평가의 시행 = 380 평가의 정치적 성격 = 381 건전한 평가를 위한 제언 = 384 평가 보고에 근거해 행동하기 = 387 무조치 = 388 소규모의 수정 = 388 대대적인 수정 = 388 폐기 = 389 맺는말 = 390 제12장 미국의 교육정책 : 회고와 전망 캔자스가 아니라면,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 395 네 개의 이론 구조 = 396 경쟁하는 가치 = 396 Lowi의 정책 유형 = 397 제도의 선택 = 397 국제적 수렴 = 398 미국 교육정책에 대한 회고 = 399 공화제 초기, 1783∼1830년 = 399 공립학교의 대두, 1831∼1900년 = 402 '과학적' 분류기, 1900∼1982년 = 406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서, 1983년∼현재 = 412 교육정책은 어디로 가는가? = 410 용어설명 = 423 부록 A = 425 부록 B = 427 참고문헌 = 429 찾아보기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