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57namccc200325 k 4500 | |
001 | 000045401317 | |
005 | 20100806120943 | |
007 | ta | |
008 | 071009s2007 ulka b 000a kor | |
020 | ▼a 9788992286213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71.33/44678 ▼2 22 |
090 | ▼a 371.3344678 ▼b 2007 | |
100 | 1 | ▼a Rosenberg, Marc Jeffrey |
245 | 1 0 | ▼a 지식경영의 핵심전략 / ▼d 마크 J. 로젠버그 지음 ; ▼e 유영만, ▼e 김영순 옮김. |
246 | 1 9 | ▼a Beyond e-learning : approaches and technologies to enhance organizational knowledge, learning, and performance |
260 | ▼a 서울 : ▼b 크레듀 , ▼c 2007. | |
300 | ▼a 391 p. : ▼b 삽도 ; ▼c 24 cm. | |
500 | ▼a 부록: A. 이러닝에 대한 9가지 경고의 조짐. B. 지식경영 도구와 기능성 및 과제. C. 협업기술(Collaboration technologies) 외. | |
504 | ▼a 참고문헌(p. 386-391) 수록 | |
650 | 0 | ▼a Web-based instruction. |
650 | 0 | ▼a Organizational learning. |
650 | 0 | ▼a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
650 | 0 | ▼a Internet in education. |
700 | 1 | ▼a 유영만 , ▼e 역 ▼0 AUTH(211009)67919 |
700 | 1 | ▼a 김영순 , ▼e 역 ▼0 AUTH(211009)38260 |
900 | 1 1 | ▼a 로젠버그, 마크 J.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1.3344678 2007 | 등록번호 1114434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71.3344678 2007 | 등록번호 1114434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등장한 이러닝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육을 보완하고 오프라인 교육의 시공간적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러닝을 바라보는 관점, 즉 이러닝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재개념화하고, 보다 거시적이고 전략적인 관점과 접근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거시적 이러닝의 개념 구축'이 의미하는 것은 이러닝을 토대로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현장의 역동성을 변화와 혁신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닝은 결과적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과 전략을 넘어서서 구성원들의 일상적인 학습방식을 변화시켜 그 학습효과를 경영성과로 연계시키지 않는다면 존재의미가 상실된다.
책은 교육공학적 이러닝 또는 심리학적 학습효과를 제고시키는 미시적 이러닝을 넘어서는 대안적인 이러닝을 논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의의를 갖는다. 또한 '전략적 이러닝'은 이러닝을 기획하는 초기부터 이러닝이 해당 조직의 핵심역량과 지식경영을 비롯하여 경영성과 제고와 경쟁력 강화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있기에 더 의미가 있다.
이러닝에 대한 우물 안 개구리 식 사고를 벗어나 이러닝이 미래 교육혁명을 주도하는 교육혁신 전략이고 기업간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영혁신 전략이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의 문을 열어 준다. 또 최근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는 창조경영과의 연관성도 놓칠 수 없다. 책은 이러닝이 가진 가능성을 살피고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다.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창조적 이러닝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등장한 이러닝은 그 동안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육을 보완하고 오프라인 교육의 시공간적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러닝은 이제 또 한번의 비약적 발전을 위해 용트림하는 시기에 다다랐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러닝을 바라보는 관점, 즉 이러닝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재개념화하고, 보다 거시적이고 전략적인 관점과 접근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거시적 이러닝의 개념 구축’이 의미하는 것은 이러닝 콘텐츠를 어떤 관점에서 어떻게 설계하고 개발하느냐 라는 방법적 변화라기보다는, 이러닝을 토대로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현장의 역동성을 변화와 혁신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닝은 결과적으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과 전략을 넘어서서 구성원들의 일상적인 학습방식을 변화시켜 그 학습효과를 경영성과로 연계시키지 않는다면 존재의미가 상실된다. 즉 이러닝을 총체적인 변화관리(change management) 관점과 접근논리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교육공학적 이러닝 또는 심리학적 학습효과를 제고시키는 미시적 이러닝을 넘어서는 대안적인 이러닝을 논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가능성과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에서 다루는 ‘전략적 이러닝’은 이러닝을 기획하는 초기부터 이러닝이 해당 조직의 핵심역량과 지식경영을 비롯하여 경영성과 제고와 경쟁력 강화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 있기에 더 의미가 있다.
이 책은 이러닝에 대한 우물 안 개구리 식 사고를 벗어나 이러닝이 미래 교육혁명을 주도하는 교육혁신 전략일 뿐만 아니라 기업간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영혁신 전략이라는 것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의 문을 열어 준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우선 이러닝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신화적 사고를 창조적으로 파괴하고 새로운 개념화와 재정의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이러닝이 즐겁고 유익한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촉매제일 뿐만 아니라, 창출된 지식을 근간으로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창조하는 전략적 수단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는 창조경영과의 연관성도 놓칠 수 없다. 창조경영의 시작은 임직원의 학습을 일상화시켜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여 기업의 핵심역량을 키우고 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가는 데에 있다. 학습을 통한 지식창조 없이는 창조경영이 촉발될 수 없다. 따라서 단순히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육을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 그리고 그저 이러닝 실행에 안주하는 것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이러닝을 전방위적 지식창조와 공유를 위한 기업의 핵심 경쟁전략으로 자리매김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이러닝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지식창조와 공유 활동을 어떻게 촉진하고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까지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의를 갖는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마크 J. 로젠버그(지은이)
e-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다이아몬드 테크놀러지의 책임 연구원으로 20년 이상의 현장 경험을 가진 인기 연사로서, 국제성과개선협회(ISPI) 대표를 역임하였다. 그는 뉴저지 주의 힐스버러에서 살고 있다.
유영만(옮긴이)
질문으로 관문을 열어가는 지식생태학자 유영만 한양대학교 교수. 불현듯 다가오는 뜻밖의 질문이 던지는 낯선 마주침으로 색다른 깨우침을 얻는 배움을 사랑한다. 정답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사람을 재단하고 평가하기보다 전두엽을 낯설게 자극하는 충격적인 질문과 비판적 문제 제기를 즐기는 탐구과정에 언제나 몸을 던지며 일상에서도 비상하는 상상력을 잉태하는 지식생태(生態)학자다. 지시와 명령의 언어보다 질문과 의문의 언어로 잉태된 미지의 앎에 언제나 전율하는 감동을 느낀다. 오늘도 불안한 질문의 바다에서 불확실하지만 심장 뛰는 앎의 여행을 즐긴다. 당연함에 의문을 던져놓고 통념에 통렬한 시비를 걸면서 어제와 다른 통찰을 몸으로 체득하는 탐험을 추구한다. 뜨거운 언어의 모루 위에서 틀에 박힌 질문을 폐기하고, 잠자는 사고를 흔들어 깨우는 호기심 어린 질문으로 색다른 깨달음을 얻기 위해 애간장을 태우며,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야성으로 지성을 일깨우는 색다른 문제 제기에 한눈을 팔고 있다. 우발적 만남으로 전율하는 앎과 삶의 이중주를 사랑하며 어제와 다른 나로 거듭나기 위해 날선 언어로 자아를 재서술하는 아이러니스트로 거듭나고 있다. 《언어를 디자인하라》, 《폼 잡지 말고 플랫폼 잡아라》, 《부자의 1원칙, 몸에 투자하라》, 《이런 사람 만나지 마세요》, 《공부는 망치다》, 《생각지도 못한 생각지도》, 《곡선으로 승부하라》 등 저서와 《하던 대로나 잘 하라고》, 《빙산이 녹고 있다고》 등 역서를 포함해서 총 90여 권의 저·역서를 출간했으며, 다양한 사유를 실험하고 또 읽으면서 쓰고 강연하는 지적 탈주를 거듭하고 있다. 유튜브 www.youtube.com/kecologis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knowledge_ecologist/
김영순(옮긴이)
삼성SDS 교육전략팀장으로 일하며 삼성인력개발원의 교육과정을 'e-러닝'으로 개발하는 일을 하였으며, 현재 e-러닝 회사인 '크레듀'의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목차
목차 이 책에 대한 찬사 = 4 머리말 = 6 역자 서문 = 10 이 책을 활용하는 법 = 16 독자에게 = 18 감사의 말 = 24 제1부 이트레이닝을 넘어서 제1장 이러닝에 대한 신화와 경고의 조짐 = 32 약속은 많고 서비스는 떨어진다 = 33 잔이 절반이나 비었는가, 절반이나 남았는가? = 35 이러닝에 관한 신화 = 36 그들을 학습자라 부르지 마라 = 43 경고의 조짐 = 44 HEB의 경험을 통해 이러닝 다시 생각하기 = 47 총체적인 전략 속에서 실행하라 = 51 [이러닝 신화의 세게에서] 한 중세 기사의 이야기 / 랜스 더블린(Lance Dublin) = 53 제2장 학습, 이러닝, 스마트 기업 = 56 스마트 기업 = 57 교육훈련의 역할과 한계 = 63 스마트 기업이 어떻게 이러닝의 본질을 바꾸는가 = 70 몰렉스는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기술 사용법을 배운다 = 74 스마트 기업의 프레임워크 = 76 [학습에 관한 의사결정과 격심한 혼돈] / 엘리엇 마지(Elliott Masie) = 81 제2부 강의실을 넘어서 제3장 학습과 성과 아키텍처 구축하기 = 86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장단점 = 88 학습과 성과 아키텍처 구축 = 90 이러닝의 재정의 = 91 아키텍처에 강의실 교육훈련과 코칭 접목하기 = 100 진정한 의미의 블렌디드 러닝 = 102 업무 숙달이 학습과 이러닝에 미치는 영향 = 113 벽돌 쌓는 사람이 아니라 건축가가 되어라 = 114 [이러닝을 위한, 이러닝을 뛰어넘는 기술] / 윌리엄 호튼(William Horton) = 116 제4장 지식경영 실행하기 = 122 지식경영은 어떻게 사용되고 악용되는가 = 123 교육과정 중심 관점 vs 지식 중심 관점 = 129 지식경영 애플리케이션 = 132 지식경영의 이점 = 139 지식 저장소 구축하기 = 139 사람 중심의 지식경영 :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 149 분산 회사의 지식경영 : 다이아몬드클러스터 = 152 지식경영 개발의 프레임워크 = 157 지식경영에 대한 팀의 접근법 = 169 [누가 지식경영을 소유하는가] / 스티브 포먼(Steven Foreman) = 172 제5장 온라인 협업을 통한 학습 = 176 커뮤니티 = 178 유니레버, 온라인 커뮤니티로 리더를 양성하다 = 188 지식 네트워크 = 191 협업 기술 = 192 '버드맨(Birdman)' 찾기 = 195 전문가와 전문지식으로 일하기 = 197 액센추어에서 메신저로 전문가에게 신호 보내기 = 203 학습과 이러닝의 기회 = 206 [학습 커뮤니티] / 다이앤 헤산(Diane Hessan) = 210 제6장 업무 현장에서 일어나는 학습과 성과 = 214 전자성과지원(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 215 성과중심설계 = 224 학습을 업무에 통합시키기 = 227 IBM, 학습을 온-디맨드 워크플레이스(On-Demand Workplace)에 통합하다 = 231 새로운 기회 수용하기 = 237 [비즈니스의 특이성] / 제이 크로스(Jay Cross) = 239 제7장 트루 텔레콤(True Telecom) 이야기 = 245 트루 텔레콤 소개 = 246 트루 텔레콤의 솔루션 평가 = 260 트루 텔레콤의 솔루션 확장하기 = 266 업무현장학습과 성과 솔루션을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통합하기 = 271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 274 [학습 평가] 말은 많은데 알맹이가 없다 / 앨리슨 로제트(Allison Rossett) = 278 제3부 이러닝을 넘어서 제8장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를 고수하라 = 284 변화관리의 중요성 = 285 변화관리를 성공으로 이끌려면 = 287 [학습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낸시 루이스(Nancy Lewis) = 301 제9장 학습 챔피언으로 활동하기 = 306 적합한 후원자 고르기 = 307 조직학습을 변화시킬 수 있는 리더십 발휘 = 312 통제 = 316 이러닝을 구축하면 학습자들이 사용할까? = 321 [이러닝에 대한 홍보는 정말 빈약한가?] / 케빈 오크스(Kevin Oakes) = 323 제10장 이러닝에서 학습으로, 학습에서 성과로 = 327 성과 향상을 위한 비학습 접근법 = 328 성과 분석하기 = 333 이러닝의 한계 뛰어넘기 : 스마트 기업의 프레임워크에 대한 재고찰 = 335 지나온 길 = 337 맺음말 = 343 부록 A : 이러닝에 대한 9가지 경고의 조짐 = 346 부록 B : 지식경영 도구와 기능성 및 과제 = 354 부록 C : 협업기술(collaboration technologies) = 364 부록 D : 지식경영을 위한 주요활동 = 371 부록 E : 변화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계획에 대한 샘플 = 376 부록 F : 이러닝 준비에 대한 평가 - 고위 관리자팀과의 제휴 = 381 부록 G : 참고 학습자료 =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