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청소년을 위한)한국음악사 : 양악편 : 찬송가에서 전자 음악까지 (Loan 2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민경찬
Title Statement
(청소년을 위한)한국음악사 = (The)history of Korean music : 양악편 : 찬송가에서 전자 음악까지 / 민경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두리미디어 ,   2006.  
Physical Medium
407 p. : 색채삽도 ; 23 cm.
기타표제
한국 근·현대 우리 양악 이야기
ISBN
8977151562 9788977151567
General Note
색인수록  
000 00764namccc200253 k 4500
001 000045401021
005 20100806120528
007 ta
008 071119s2006 ulka 001a kor
020 ▼a 8977151562 ▼g 43670
020 ▼a 9788977151567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80.9519 ▼2 22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06
100 1 ▼a 민경찬 ▼0 AUTH(211009)92598
245 2 0 ▼a (청소년을 위한)한국음악사 = ▼x (The)history of Korean music : ▼b 양악편 : ▼b 찬송가에서 전자 음악까지 / ▼d 민경찬 지음.
246 0 3 ▼a 한국 근·현대 우리 양악 이야기
246 0 3 ▼a History of Korean modern music
260 ▼a 서울 : ▼b 두리미디어 , ▼c 2006.
300 ▼a 407 p. : ▼b 색채삽도 ; ▼c 23 cm.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6 Accession No. 11144406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6 Accession No. 1114440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양의 음악이 우리 양약의 전부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서양 음악은 언제부터, 누구에 의해, 왜 들어왔고, 어떻게 변천하였는가? 우리 고유의 음악 문화가 있음에도 왜 음악이라 하면 서양음악을 떠올리게 되었고, 어떻게 해서 서양 음악이 그 짧은 시일 안에 우리나라의 주류 음악으로 부상하게 되었을까? 책은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이다.

책은 우리가 성장하면서 학교에서 배운 음악, 그리고 우리가 일상적으로 즐기는 음악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떻게 형성괴도 본쳔되었는지 알아보고, 우리의 일상적인 음악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탐구해 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민경찬(지은이)

울산 학성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경예술대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로 있다. 대학 시절에 동아일보 신춘문예 음악평론 부문에 입선하여 음악평론가로 데뷔하였고, 1987년에는 그해 최고의 평론가에게 주는 ‘서울 문화 예술 평론상’을 수상하였다. 오랫동안 한국의 근.현대 음악에 관한 연구를 해 왔다.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동경예술대학대학원 졸업(음악학 전공) 주요저서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 『한국작곡가사전』, 『우리양악100년』 등. 주요경력 동경대학 특임 교수 역임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현재) 수상 동아일보신춘문예 음악평론상, 서울문화예술평론상, 일본방송문 화기금상, 올해의 교수상, 일한문화교류기금상, 국가보훈처 보훈 문화상.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 이 책을 쓰면서 
 들어가는 말 : 옛날 청소년들의 음악과 지금 청소년들의 음악 

제1부 한국 음악의 출발 
01 서양 음악과의 접촉, 그리고 충격 
02 새로운 음악 언어의 탄생 
03 기독교의 아시아 선교 활동과 찬송가의 전래 
04 양악대 창설 및 활동 
05 국가의 제정 및 애국가 운동 
06 일본 군가의 유입 
07 음악 교육의 시작 
08 초기 양악사의 특징 

제2부 일제 강점기의 음악_새로운 전통의 창조 
01 모순과 갈등 속에서 형성된 근대 음악 문화 
02 음악가의 등장 
03 양악의 선구자 

제3부 일제 강점기의 음악_창작 음악의 시작 
01 창작 음악의 문을 연 ‘창가’ 
02 우리 음악의 영원한 노스탤지어 ‘동요’ 
03 프롤레타리아 동요 운동 
04 범국민적 애창곡 ‘가곡’ 

제4부 일제 강점기의 음악_음악의 현장 
01 연주자와 연주회장, 그리고 청중의 탄생 
02 공개 연주회의 시작과 초기의 연주자들 
03 관현악 활동 
04 음악 감상의 혁명_레코드 음악과 방송 음악의 등장 
05 글로 하는 음악 
06 평론 활동 

제5부 일제 강점기의 음악_저항의 음악과 굴욕의 음악 
01 일제에 대한 저항의 노래들 
02 굴욕의 음악사 

제6부 해방 공간 및 6·25 전쟁기의 음악 
01 새로운 출발 
02 해방 가요의 등장과 민족 음악 운동 
03 또 다른 대립과 갈등_음악가협회와 음악가동맹 
04 음악의 남·북 분단_북으로 간 음악가, 남으로 온 음악가 
05 해방 직후의 음악 교육 
06 음악 활동의 현장 

제7부 분단 시대의 음악사 
01 분단 음악사의 시작 
02 분단 시대의 음악 교육 
03 연주계 
04 창작계 
05 음악계의 이모저모 
06 분단 시대 음악의 특징 

제8부 우리 음악의 현황 
01 1980년대 이후 음악계의 변화 
02 연주 단체의 창단과 재창단 
03 창작계의 변화 
04 음악학의 등장 
05 진보적인 음악 단체인 한국민족음악인협회의 등장 
06 금지의 벽을 넘어 
07 음악 교육의 변화 
08 연주계의 화려한 성장 

제9부 대중가요사 
01 한국 대중가요의 시작 
02 대중가요 가수의 등장과 음반 취입 
03 창작 대중가요의 출현 
04 일제 강점기 대중가요의 특징 
05 해방 가요와 전시 가요 
06 6·25 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의 대중가요 
07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대중가요 
08 1990년대 이후 

제10부 또 다른 우리의 음악사_북한의 음악사 
01 분단 음악의 이해 
02 북한 음악의 발자취 
03 북한 음악의 새로운 면모 
04 북한 음악의 특징 
05 남·북이 함께 부르는 노래 
06 남·북 음악 교류사 

 맺는말 : 새로운 세기의 음악을 위하여 
 찾아보기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