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제1장 변증법의 기원 = 39
1 인간 실존의 우연성 = 42
2 플로티누스의 구세론 = 44
3 플로티누스와 기독교 플라톤주의. 창조적 이성에 대한 탐구 = 51
4 에리우게나와 기독교적 신통기(神統記) = 58
5 엑크하르트와 신격화의 변증법 = 69
6 니콜라우스 쿠자누스. 절대존재의 모순 = 72
7 뵈메와 존재의 이중성 = 77
8 안겔루스 실레지우스와 페넬롱: 절멸을 통한 구원 = 79
9 계몽. 자연주의 도식에 따른 인간의 실현 = 82
10 루소와 흄. 자연조화에 대한 신앙의 해체 = 85
11 칸트. 인간 존재의 이중성과 그 치유법 = 88
12 피히테와 정신의 자기-정복 = 96
13 헤겔. 절대자를 향한 의식의 진보 = 105
14 헤겔. 역사의 목적으로서 자유 = 123
제2장 헤겔 좌파 = 139
1 헤겔주의의 분열 = 139
2 다비드 슈트라우스와 종교비판 = 143
3 치에스코프스키와 행동철학 = 144
4 브루노 바우어와 자의식의 부정성 = 148
5 아르놀트 루게. 헤겔 좌파의 급진화 = 154
제3장 마르크스의 초기 사상 = 161
1 마르크스의 초기 연구활동 = 161
2 헤겔주의자들이 이해한 헬레니즘 철학 = 165
3 마르크스의 에피쿠로스 연구. 자유와 자의식 = 166
제4장 헤스와 포이어바하 = 179
1 헤스. 행동철학 = 179
2 헤스. 혁명과 자유 = 182
3 포이어바하와 종교적 소외 = 187
4 포이어바하의 제2기. 종교적 오류의 원천 = 190
제5장 마르크스의 초기 정치 철학적 저작들 = 197
1 국가와 지적 자유 = 198
2 헤겔 비판. 국가ㆍ사회ㆍ개인 = 200
3 사회적 해방의 이념 = 204
4 프롤레타리아트의 발견 = 207
제6장 파리 수고. 소외된 노동 이론. 청년 엥겔스 = 215
1 헤겔 비판. 인류의 기초인 노동 = 216
2 지식의 사회적ㆍ실천적 성격 = 217
3 노동의 소외. 탈인간화된 인간 = 223
4 포이어바하 비판 = 227
5 엥겔스의 초기 저술활동 = 231
제7장『신성가족』 = 237
1 역사적 경향으로서 공산주의.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 = 238
2 진보와 대중 = 240
3 필요의 세계 = 241
4 유물론의 전통 = 242
제8장『독일 이데올로기』 = 247
1 이데올로기의 개념 = 248
2 사회적 존재와 의식 = 251
3 노동분업과 분업의 철폐 = 255
4 개인과 자유 = 258
5 슈티르너와 자기중심의 철학 = 260
6 슈티르너 비판. 개인과 공동체 = 267
7 소외와 노동분업 = 272
8 인간해방과 계급투쟁 = 274
9 허위의식 이론의 인식론적 의미 = 276
제9장 중간요약 = 281
제10장 19세기 중엽 초의 사회주의 이념과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 291
1 사회주의 이념의 출현 = 291
2 바뵈프주의 = 294
3 생시몽주의 = 298
4 오웬 = 305
5 푸리에 = 312
6 프루동 = 319
7 바이틀링 = 330
8 카베 = 333
9 블랑키 = 335
10 블랑 = 337
11 마르크스주의와 '유토피아 사회주의' = 340
12 마르크스의 프루동 비판 = 349
13『공산당선언』 = 352
제11장 1847년 이후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저술활동과 투쟁 = 363
1 1850년대의 발전 = 363
2 라살 = 369
3 제1인터내셔널과 바쿠닌 = 377
제12장 자본주의: 탈인간화된 세계. 착취의 본성 = 403
1『자본론』과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의 관계를 둘러싼 논쟁 = 403
2 고전경제학의 전통과 가치론 = 411
3 가치의 이중 형태와 노동의 이중적 성격 = 416
4 상품의 물신성. 상품으로서의 노동력 = 421
5 노동 및 그 생산물의 소외 = 428
6 사회화 과정의 소외 = 433
7 노동계급의 빈곤화 = 437
8 자본주의의 본성과 역사적 소명 = 441
9 잉여가치의 배분 = 445
제13장 자본의 모순과 모순의 철폐. 분석과 실천의 통일 = 451
1 이윤율의 하락과 자본주의의 불가피한 붕괴 = 451
2 프롤레타리아트의 경제 및 정치 투쟁 = 457
3 사회주의의 본성과 두 가지 단계 = 462
4 『자본론』의 변증법: 전체와 부분ㆍ구체와 추상 = 470
5 『자본론』의 변증법: 의식과 역사과정 = 479
6 마르크스의 가치 및 착취 이론에 관한 논평 = 487
제14장 역사과정의 동력 = 503
1 생산력ㆍ생산관계ㆍ상부구조 = 503
2 사회적 존재와 의식 = 507
3 역사과정과 이의 모순 = 517
4 사회적 관계의 일원론적 해석 = 523
5 계급의 개념 = 525
6 계급의 기원 = 532
7 국가의 기능과 폐지 = 533
8 역사유물론에 관한 논평 = 539
제15장 자연의 변증법 = 559
1 과학주의적 접근방식 = 559
2 유물론과 관념론. 철학의 여명 = 561
3 공간과 시간 = 566
4 자연의 가변성 = 567
5 변화의 복합형태 = 568
6 인과관계와 우연 = 570
7 자연과 사유의 변증법 = 575
8 양과 질 = 576
9 세계의 모순 = 578
10 부정의 부정 = 580
11 불가지론 비판 = 581
12 경험과 이론 = 582
13 지식의 상대성 = 585
14 실천: 진리의 척도 = 586
15 종교의 원천 = 588
제16장 요약과 철학논평 = 593
1 마르크스의 철학과 엥겔스의 철학 = 593
2 마르크스주의의 세 가지 동기 = 605
3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의 원천 = 615
참고문헌 = 622
[volume. vol.2]----------
목차
제1장 마르크스주의와 제2인터내셔널 = 29
제2장 독일 정통파: 칼 카우츠키 = 69
1 카우츠키의 생애와 저작 = 70
2 자연과 사회 = 74
3 의식과 사회발전 = 81
4 혁명과 사회주의 = 84
5 레닌주의 비판 = 93
6 카우츠키 철학의 모순들 = 95
7 메링에 관한 메모 = 102
제3장 로자 룩셈부르크와 혁명적 좌파 = 109
1 로자 룩셈부르크의 약력 = 110
2 자본축적론과 자본주의 붕괴의 불가피성 = 115
3 개혁과 혁명 = 128
4 프롤레타리아트 의식과 정치조직의 형태 = 136
5 민족문제 = 144
제4장 베른슈타인과 수정주의 = 159
1 수정주의의 개념 = 159
2 베른슈타인의 약력 = 162
3 역사의 법칙과 변증법 = 165
4 혁명과 '궁극목표' = 169
5 수정주의의 의미 = 176
제5장 장 조레스: 구원론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185
1 조정자로서의 조레스 = 185
2 조레스 삶의 간략한 전기 = 188
3 세계 통일의 형이상학 = 192
4 역사의 추동력 = 199
5 사회주의와 공화정 = 204
6 조레스의 마르크스주의 = 216
제6장 폴 라파르그: 한 쾌락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 221
제7장 조르주 소렐: 한 쟝센주의자의 마르크스주의 = 235
1 소렐의 위치 = 235
2 소렐의 약력 = 243
3 합리주의 대 역사: 유토피아와 신화. 계몽주의 비판 = 245
4 '리코르시'. 계급의 독자성과 문화의 불연속성 = 252
5 도덕적 혁명과 역사적 필연성 = 256
6 마르크스주의ㆍ무정부주의ㆍ파시즘 = 263
제8장 안토니오 라브리올라: 열린 정통주의의 모색 = 273
1 라브리올라의 스타일 = 273
2 라브리올라의 약력 = 276
3 초기 저작들 = 278
4 역사철학 = 283
제9장 루드빅 크르치비치: 사회학의 도구로서 마르크스주의 = 301
1 루드빅 크르치비치의 약력 = 303
2 생물학적 사회이론에 대한 비판 = 307
3 사회주의에 대한 전망 = 309
4 정신과 생산. 전통과 변화 = 312
제10장 카치미르츠 켈레스-크라우츠: 정통주의의 폴란드 대표 = 323
제11장 스타니슬로브 브르조조프스키: 역사적 주관주의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335
1 약력 = 338
2 철학적 발전 = 341
3 노동의 철학 = 347
4 사회주의ㆍ프롤레타리아트ㆍ민족 = 357
5 브르조조프스키의 마르크스주의 = 364
12장 마르크스주의운동에서 칸트주의자들: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ㆍ윤리학적 사회주의 = 371
1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의 개념 = 371
2 칸트주의의 부활 = 376
3 윤리학적 사회주의 = 378
4 마르크스주의 내의 칸트주의 = 381
5 오스트로-마르크스주의자들의 활동 정보 = 390
6 마들러 : 사회과학의 초월적 토대 = 396
7 유물론과 변증법에 대한 아들러의 비판 = 409
8 아들러 : 의식과 사회적 존재 = 414
9 현재상태와 당위적 미래상태 = 416
10 국가ㆍ민주ㆍ독재 = 419
11 종교의 미래 = 427
12 바우어: 민족론 = 431
13 힐퍼딩: 가치론 논쟁 = 438
14 힐퍼딩: 재국주의론 = 447
제13장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시작 = 459
1 니콜라이 1세 지배 기간의 지식인 운동 = 459
2 헤르첸 = 466
3 체르니셰프스키 = 470
4 대중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최초 수용 = 473
제14장 플레하노프와 마르크스주의의 성문화 = 493
1 러시아 정통 마르크스주의의 기원 = 494
2 변증법과 역사유물론 = 502
3 마르크스주의 미학 = 514
4 수정주의에 대한 투쟁 = 518
5 레닌주의와의 갈등 = 521
제15장 볼셰비즘의 부상 이전의 러시아 마르크스주의 = 529
1 레닌: 초기 사설들 = 532
2 스트루베와 '합법적 마르크스주의' = 540
3 레닌의 논점들(1895-1901) = 554
제16장 레닌주의의 등장 = 567
1 레닌주의 논쟁 = 567
2 당과 노동자운동, 의식과 자발성 = 572
3 민족문제 = 589
4 민주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 트로츠키와 '영구혁명' = 598
제17장 볼셰비키운동의 철학과 정치학 = 611
1 1905년 혁명기의 분파투쟁 = 611
2 러시아 지성계의 새로운 동향 = 619
3 경험비판론 = 625
4 보그다노프와 러시아 경험비판론자들 = 635
5 프롤레타리아트 철학 = 648
6 '신의 창조자들(God-builder)' = 654
7 레닌의 철학여행 = 657
8 레닌과 종료 = 672
9 변증법에 관한 레닌의 노트 = 675
제18장 레닌주의의 운명: 국가 이론에서 국가 이데올로기로 = 685
1 볼셰비키와 전쟁 = 685
2 1917년 혁명 = 693
3 사회주의 경제의 시작 = 704
4 프롤레타리아트 독재와 당의 독재 = 709
5 제국주의론과 혁명론 = 717
6 사회주의와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 725
7 독재에 대한 트로츠키의 입장 = 739
8 레닌: 전체주의의 이데올로그 = 744
9 볼셰비키 이데올로기에 대한 마르토프의 입장 = 749
10 논객으로서의 레닌. 레닌의 재능 = 753
참고문헌 = 763
[volume. vol.3]----------
목차
제1장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의 첫 단계 = 31
1 스탈린주의는 무엇이었는가? = 31
2 스탈린주의의 단계들 = 37
3 스탈린의 초기 활동과 권력장악 = 42
4 일국사회주의 = 57
5 부하린과 신경제정책 이데올로기. 1920년대 경제 논쟁 = 61
제2장 1920년대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의 이론논쟁 = 89
1 지성과 정치 환경 = 89
2 철학자로서의 부하린 = 103
3 철학논쟁: 데보린 대 기계론자들 = 112
제3장 소비에트 국가이데올로기로서의 마르크스주의 = 131
1 대숙청의 이데올로기적 의미 = 131
2 스탈린의 마르크스주의 성문화 = 150
3 코민테른과 국제공산주의의 이데올로기적 변형 = 167
제4장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결정화 = 185
1 전시기간 = 185
2 새로운 이데올로기 공세 = 190
3 1947년의 철학논쟁 = 195
4 경제 논쟁 = 202
5 물리학과 우주론에서 마르크스-레닌주의 = 204
6 마르크스-레닌주의 유전학 = 210
7 소비에트 과학에 미친 일반적 영향 = 213
8 언어학과 스탈린 = 215
9 스탈린과 소비에트 경제학 = 218
10 스탈린 말년 소비에트 문화의 일반적 특징 = 219
11 변증법적 유물론의 인식론적 상태 = 229
12 스탈린주의의 뿌리와 의미. '새로운 계급'의 문제 = 237
13 스탈린주의의 마지막 기간의 유럽 마르크스주의 = 248
제5장 트로츠키 = 273
1 망명의 시절 = 273
2 소비에트체제ㆍ관료주의ㆍ'테르미도르'에 대한 트로츠키의 분석 = 282
3 볼셰비즘과 스탈린주의. 소비에트 민주주의 이념 = 287
4 소비에트 경제 및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 = 300
5 파시즘ㆍ민주주의ㆍ전쟁 = 303
6 결론 = 312
제6장 안토니오 그람시 : 공산주의적 수정주의 = 323
1 삶과 작품 = 325
2 역사의 자족성: 역사적 상대주의 = 334
3 '경제주의' 비판. 예견과 의지 = 338
4 유물론 비판 = 345
5 지식인과 계급투쟁. 헤게모니의 개념 = 349
6 조직과 대중운동. 미래 사회 = 354
7 요약 = 360
제7장 지외르지 루카치 : 교조에 봉사하는 이성 = 367
1 삶과 지적 발전. 초기 저작들 = 369
2 전체와 부분: 경험주의 비판 = 382
3 역사의 주체와 객체. 이론과 실천. 존재와 당위. 신-칸트주의와 진화론 비판 = 388
4 '자연변증법' 비판과 반영이론. 사물화 개념 = 393
5 계급의식과 조직 = 402
6 비합리주의 비판 = 407
7 미학 범주: 전체ㆍ매개ㆍ미메시스 = 411
8 리얼리즘ㆍ사회주의 리얼리즘ㆍ전위주의 = 418
9 마르크스주의 신화학의 엑스포 = 424
10 스탈린주의자로서의 루카치와 스탈린주의 비판 = 429
제8장 칼 코르쉬 = 441
1 전기 자료 = 442
2 이론과 실천ㆍ운동과 이데올로기ㆍ역사 상대주의 = 444
3 마르크스주의의 세 단계 = 451
4 카우츠키 비판 = 454
5 레닌주의 비판 = 457
6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새로운 정의 = 459
제9장 루시엥 골드만 = 463
1 삶과 저작들 = 463
2 발생론적 구조주의ㆍ세계관ㆍ계급의식 = 465
3 비극적 세계관 = 471
4 골드만과 루카치. 발생론적 구조주의에 대한 논평 = 478
제10장 프랑크푸르트학파와 '비판이론' = 487
1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역사 및 전기에 관한 노트 = 489
2 비판이론의 원칙들 = 501
3 부정의 변증법 = 508
4 실존주의적 '진정성' 비판 = 523
5 '계몽' 비판 = 528
6 에리히 프롬 = 538
7 비판이론(계속되다): 위르겐 하버마스 = 547
8 결론 = 556
제11장 허버트 마르쿠제: 마르크스주의-신좌파의 전체주의적 유토피아 = 561
1 헤겔과 마르크스/실증주의 = 563
2 현대문명 비판 = 569
3 '일차원적 인간' = 575
4 자유에 반대하는 혁명 = 580
5 논평 = 585
제12장 에른스트 블로흐: 마르크스주의-미래파의 신비적 직관 = 595
1 일생과 저작들 = 596
2 기본 이념 = 602
3 위대하기도 하고 사소하기도 한 백일몽 = 604
4 마르크스주의-'구체적 유토피아' = 609
5. 반유토피아로서의 죽음: 신은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하게 될 것이다 = 616
6 물질과 유물론 = 619
7 자연법 = 622
8 블로흐의 정치적 입장 = 624
9 결론과 논평 = 627
제13장 스탈린 사후 마르크스주의의 발전 = 637
1 '스탈린 격하운동' = 637
2 동유럽의 수정주의 = 645
3 유고슬라비아의 수정주의 = 666
4 프랑스 수정주의와 정통파 = 672
5 마르크스주의와 '신좌파' = 683
6 모택동의 농민 마르크스주의 = 692
에필로그 = 727
에필로그에 부쳐 = 737
참고문헌 = 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