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8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399526 | |
005 | 20100806114147 | |
007 | ta | |
008 | 071017s2007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53471511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1054732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21.8 ▼2 22 |
090 | ▼a 321.8 ▼b 2007b2 | |
100 | 1 | ▼a 채장수 |
245 | 1 0 | ▼a 탈냉전과 진보적 민주주의론 : ▼b "시민사회론"과 "제3의 길" / ▼d 채장수. |
260 |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7. | |
300 | ▼a 268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55-268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07b2 | Accession No. 111438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321.8 2007b2 | Accession No. 1114388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1.8 2007b2 | Accession No. 111438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Stacks(Preservation4)/ | Call Number 321.8 2007b2 | Accession No. 1114388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민사회론’과 ‘제3의 길’, ‘자유’, ‘평등’, ‘국가’ 등 민주주의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어느 정도 정리된 탈냉전 이후 전개되고 있는 민주주의의 ‘현재성’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담은 책.
이 책은 ‘시민사회론’과 ‘제3의 길’, ‘자유’, ‘평등’, ‘국가’ 등 민주주의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어느 정도 정리된 탈냉전 이후 전개되고 있는 민주주의의 ‘현재성’에 대한 필자의 관심과 고민을 담고 있다. 불분명한 문제의식과 깔끔하지 못한 주장이 도처에 포진(?)되어 있음을 잘 알고 있기에, 세상에 내놓기에 앞서 솔직히 마음이 무겁다. 다만 ‘민주주의의 지체’가 도처에서 목격되고 있으며 오히려 이것이 정당화되고 있는, 또한 ‘주몽은 알아도 이한열은 모르는’ 역설의 상황에서, ‘더 많은 민주주의’를 위해서 미력하나마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랄 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들어가며 = 11 Ⅱ 개념과 방법 = 15 1. 민주주의 = 15 1) 개념적 원리 = 15 2) 냉전 시기 민주주의론 = 21 2. 준거점 : '자유'와 '평등' = 44 1) 자유 = 48 2) 평등 = 58 3) 평가기준 = 75 Ⅲ 환경 = 83 1. 이데올로기적 맥락 = 84 1) 현실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 84 2) 신자유주의 = 97 2. 시간-공간적 맥락 = 104 1) 세계화의 의미론 = 104 2) 세계화와 민주주의 = 110 Ⅳ 시민사회론 = 115 1. 이론적 개요 = 116 1) 문제의식 = 116 2) 의미 = 119 3) 이론적 전개 = 123 2. 사회주의적 시민사회론 = 148 1) 하버마스의 현실비판 = 149 2) 사회주의적 시민사회론의 논리 = 155 3. 평가 = 161 1) 평등의 재구성 = 163 2) 시장경제의 제어 = 174 3) 분배자로서 국가 = 185 Ⅴ 제3의 길 = 193 1. 이론적 개요 = 194 1) 사회민주주의의 현대화 전략 = 196 2) 다섯 가지 딜레마 = 198 3) 정치 프로그램 = 203 2. 평가 = 205 1) 평등의 재구성 = 210 2) 시장경제의 제어 = 227 3) 분배자로서 국가 = 236 Ⅵ 결론 = 249 참고문헌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