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평생교육과 청소년
제1절 평생교육의 제 의미 = 11
1. 평생교육의 정의 = 11
2. 청소년 평생교육 = 13
제2절 평생교육과 패다고지 = 15
1. 학교교육과 패다고지 = 15
2. 패다고지 학습의 한계 및 방향 = 17
제3절 평생교육 이념에서의 청소년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18
1. 평생교육 이념에서의 청소년교육의 필요성 = 18
2. 청소년 평생교육의 방향 = 21
제2장 청소년 연구에 대한 조망
제1절 청소년 연구에 대한 역사적 조망 = 26
1. 희랍시대 = 27
2. 중세와 계몽기 = 28
3. '청소년'이란 말의 등장 = 29
제2절 청소년교육의 필요성과 연구 = 33
1. 청소년교육의 필요성 = 33
2. 청소년 연구와 방법론 = 35
제3장 청소년의 이해
제1절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 38
1. 청소년의 개념 및 정의 = 38
2. 청소년의 특성 = 47
제2절 청소년의 발달과정 = 53
1. 생물학적 측면 = 53
2. 심리학적 측면 = 54
3. 사회심리학적 측면 = 60
4. 인지 발달적 측면 = 65
5. 청소년기의 방어기제의 변화 = 73
6. 사회학적 측면 = 76
제4장 청소년지도자
제1절 청소년지도자의 개념과 유형 = 79
1. 청소년지도자의 정의 = 79
2. 청소년지도자의 유형 = 80
제2절 청소년지도사와 상담사 = 82
1. 청소년지도사 양성 = 82
2. 청소년지도사의 직업적 전문성과 구성요인 = 86
3. 청소년상담사의 의미와 현황 = 92
제3절 청소년지도자의 역할과 과제 = 94
1. 청소년지도자의 역할 = 94
2. 청소년지도자의 자질과 과제 = 96
제5장 청소년지도방법
제1절 청소년지도방법의 기초적 이해 = 99
1. 청소년지도방법의 개념 = 99
2. 청소년지도방법의 이론적 기초과정 = 101
3. 청소년지도방법의 원리 = 116
제2절 청소년지도방법 및 기법 = 121
1. 개인 중심의 지도방법 = 121
2. 집단중심의 지도방법 = 123
제6장 청소년문화
제1절 청소년문화에 대한 이해 = 130
1. 청소년문화의 정의 = 130
2. 청소년문화의 특성 = 135
제2절 청소년문화 형태 = 139
1. 대중매체와 청소년문화 = 139
2. 청소년 언어문화 = 141
제3절 청소년문화활동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 = 148
1. 청소년문화 그 관점에 대한 시각전환 = 148
2. 건전한 청소년문화육성을 위한 대안모색 = 151
제7장 청소년문제
제1절 청소년문제와 보호의 이해 = 155
1. 청소년문제의 개념 = 155
2. 청소년문제의 유형 = 157
3. 청소년보호의 개념 = 158
제2절 청소년문제의 이론적 관점 = 158
1. 심리학적 이론 = 158
2. 사회학적 이론 = 159
제3절 청소년문제 영역 = 165
1. 우울과 자살 = 165
2. 가출 = 172
3. 학교폭력 = 176
제4절 성문제 = 180
1. 용어의 이해 = 180
2. 올바른 성의 개념 및 정의 = 182
3. 청소년의 성충동 = 183
4. 성교육의 필요성 = 184
제5절 청소년보호대책 = 186
1. 가정 차원의 보호대책 = 187
2. 학교 차원의 보호대책 = 188
3. 사회 차원의 보호대책 = 190
4. 소년사법제도 = 193
제8장 청소년활동
제1절 청소년활동의 개념과 필요성 = 197
1. 청소년활동의 개념 = 197
2. 청소년활동의 필요성 = 200
3. 청소년활동의 발전 = 207
제2절 청소년수련거리와 시설 설치 = 211
1. 청소년 수련거리 = 211
2. 청소년활동시설 유형과 설치ㆍ운영 = 213
3. 청소년활동정책의 현황과 과제 = 220
제9장 청소년상담
제1절 청소년 상담 개관 = 230
1. 상담 개관 = 230
2. 청소년상담의 특징 = 235
3. 청소년상담자의 자질과 역할 = 237
제2절 청소년상담의 필요성 = 241
제3절 청소년상담의 주요이론 = 243
1. 정신분석적 상담 = 243
2. 내담자중심 상담 = 249
3. 행동주의적 상담 = 254
4. 인지치료 = 258
제4절 청소년상담의 방향 = 261
1. 상담실 이용의 용이성 증대 = 261
2. 문제의 예방과 성장을 위한 상담 = 262
3. 청소년상담 관련 연구와 기초자료 조사 = 263
4. 건전한 사회적 가치관 확립을 위한 노력 = 263
5. 가정의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강조 = 264
6. 학교와의 협력체계 구축 = 265
제10장 청소년교육
제1절 가정과 청소년교육 = 267
1. 가정교육의 중요성 = 267
2.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 = 271
3. 소년의 목적(욕구)과 부모의 지도방법 = 275
제2절 학교에서 청소년교육 = 276
1. 학교교육에 대한 불만족 = 276
2. 청소년기의 학교 교육적 의미와 단절 = 277
제3절 청소년교육 문제점과 발전방안 = 281
1. 청소년 대책을 위한 교육 정책적 대안 = 281
2.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학교교육 개선책 = 282
3. 청소년 문제해결과 학교교육간의 관계 = 283
제11장 청소년 유해환경
제1절 유해환경의 정의 = 288
1. 유해환경의 개념 = 288
2. 유해환경의 특성 = 290
제2절 유해시설 및 장소 = 292
제3절 유해화학물질 = 293
제4절 유해정보환경 = 304
제12장 청소년복지
제1절 청소년복지의 개념 및 특성 = 312
1. 청소년복지의 개념 = 315
2. 청소년복지의 의의 = 317
3. 청소년복지의 특성 = 319
제2절 청소년복지의 필요성과 내용 = 322
1. 청소년복지의 필요성 = 322
2. 청소년복지의 내용 = 331
제13장 청소년육성과 제도
제1절 청소년정책의 범주와 의의 = 334
1. 청소년정책의 범주 = 334
2. 청소년정책의 의의 = 335
제2절 우리나라 청소년정책의 역사 = 337
제3절 청소년육성ㆍ보호 복지정책 = 340
1. 청소년육성정책 = 340
2. 청소년보호정책 = 344
3. 청소년복지정책 = 349
참고문헌 = 363
찾아보기 =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