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第1部 勞使關係와 競爭力:分析의 틀 = 1
第1章 問題의 提起 = 3
第1節 勞使關係에 대한 認識水準 = 3
第2節 1987年度 이후 勞使關係 主體들의 行爲樣式과 評價 = 5
1. 사용자측의 대응과 문제점 = 5
2. 노동조합측의 대응과 문제점 = 11
3. 정부의 대응과 문제점 = 14
第3節 硏究의 目的과 方法 = 15
1. 硏究의 目的 = 15
2. 硏究의 方法 = 16
第2章 勞使關係에 대한 理論的 틀 = 18
第1節 勞使關係環境 = 18
1. 환경변화의 내용과 영향 = 18
2. 노사관계의 쟁점 = 21
第2節 企業의 戰略 = 21
1. 전략변화의 내용 = 21
2. 노사관계에서의 쟁점 = 22
第3節 經營의 性格 = 23
1. 經營의 세가지 메커니즘 = 23
2. 作業遂行 메커니즘과 노사관계 = 26
3. 意思決定 메커니즘과 노사관계 = 29
4. 動機附輿 메커니즘과 노사관계 = 32
第4節 勞動組合의 性格 = 36
1. 노동조합활동의 세가지 차원과 노사관계 = 36
2. 노동조합의 대중성과 노사관계 = 39
3. 노동조합의 전문성과 노사관계 = 41
4. 노동조합의 정합성과 노사관계 = 43
第5節 勞使關係의 方向 = 45
1. 노사관계의 3차원 = 45
2. 작업현장 차원의 노사관계 = 48
3. 교섭 차원의 노사관계 = 49
4. 경영 차원의 노사관계 = 52
第2部 勞使關係와 競爭力에 관한 實態調査 結果 = 55
第1長 實態調査의 性格 = 57
1. 실태조사의 목적 = 57
2. 실태조사의 방법 = 57
3. 표본의 성격 = 58
第2章 競爭力의 變化에 대한 勞使의 認識 = 60
1. 경쟁력의 변화방향 = 60
2. 경쟁력의 변화요인 = 61
第3章 經營戰略의 變化方向 = 66
1. 경쟁력우위의 기반 = 66
2. 투자정책의 방향 = 66
3.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비중 = 68
4. 소프트웨어의 개선방향 = 69
5. 경영관리상의 역점부문 = 69
第4章 經營의 技法 = 71
第1節 企業의 收益性, 成長性, 安定性 = 71
第2節 經營의 背景과 特徵 = 72
1. 기업의 성장과 정부의 지원 = 72
2. 자본의 소유집중 = 73
3. 제품의 다양화 정도 = 73
4. 금융비용의 부담 = 73
5. 경영자들의 자질 = 73
6. 종업원들의 경영이념에 대한 인식 = 74
7. 장기적인 경영전략의 추구 = 74
第3節 勞動의 特徵 = 76
1. 노동강도 = 76
2. 노사분규 = 76
3. 노사간의 신뢰 = 76
4. 근속연수 = 77
5. 학력수준 = 77
6. 인력수준 = 77
第4節 意思決定메커니즘상의 特徵 = 78
1. 소유주의 경영관여 = 78
2. 권한의 집중화현상 = 78
3. 의사결정과정 = 79
4. 조직의 세분화 = 79
5. 중간관리자들의 권한과 책임 = 79
6. 조직 상하좌우간의 의견교환정도:사무관리직과 생산기능직 비교측면에서 = 80
第5節 動機附輿메커니즘상의 特徵 = 81
1. 직장안정 = 81
2. 급여 = 82
3. 승진 = 83
第6節 作業遂行메커니즘상의 特徵 = 85
1. 배치 = 85
2. 교육 = 85
3. 직무내용 = 86
4. 직무설계와 작업조직의 편성 = 86
5. 공정개선 = 88
第5章 勞動組合의 性格 = 89
第1節 勞動組合의 大衆性 = 89
1. 지도부의 선출과 근로자로부터의 신뢰 = 89
2. 집행부의 권한행사 = 89
3. 의사결정 = 90
第2節 勞動組合의 專門性 = 91
1. 관리운영경험의 축적 = 91
2. 사무국 = 92
3. 전문지식 = 92
第3節 勞動組合의 整合性 = 93
1.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 = 93
2. 신축성 = 94
3. 소속되지 않은 근로자와의 관계 = 95
第6章 勞使關係의 發展方向에 대한 勞使의 認識 = 96
第1節 勞使關係의 3次元 = 96
1. 상대적 중요도의 변화 = 96
2. 현재 제기되고 있는 근로자들의 애로사항 = 97
第2節 作業現場 次元의 勞使關係 課題 = 98
1. 중점과제의 변화 = 98
第3節 分任組活動과 生産性向上運動 = 99
1. 分任組活動 = 99
2. 生産性向上運動 = 101
第4節 團體交涉 次元의 勞使關係 課題 = 102
1. 중점과제의 변화 = 102
2. 단위노동조합과 상급노조와의 역할 분담 = 104
第5節 交涉構造의 改善 = 104
1. 교섭구조의 전환과 업종별 협동조합의 역할 = 104
2. 바람직한 노동조합 조직체계 = 106
第6節 企業經營 次元의 勞使關係 課題 = 107
1. 중점과제의 변화 = 107
2. 경영여건에 대한 근로자대표의 이해도 = 108
3. 경영여건 극복에 대한 협조 = 109
4. 경영여건 극복에 대한 비협조적인 이유 = 110
第7節 經營情報의 共有 = 110
1. 공개되어야 할 경영정보 = 110
2. 경영정보 공개의 장애이유 = 111
第8節 社內留保와 配當金 問題 = 112
1. 사내유보와 사용출처 = 112
2. 사내유보와 배당금의 적정여부 = 113
3. 사내유보와 배당금에 대한 근조자들의 인석 = 114
第9節 從業員株主制度 = 115
1. 종업원주주제도의 도입실태 = 115
2. 종업원지분의 비율 = 115
3. 종업원주주들의 주권행사방식 = 116
4. 종업원주주제도의 이점과 문제점 = 116
5. 종업원주주제도의 역할 = 118
第7章 勞使關係發展과 競爭力强化를 위한 政府의 役割 = 119
第1節 政府의 競爭力强化政策에 대한 評價 = 119
第2節 政府의 産業政策 = 120
1. 정부와 시장의 역할 = 120
2. 정부의 금융세제지원 강화와 규제완화 = 121
3. 기업의 도태 = 121
4. 상호지급보증 및 상호출자 = 122
5. 소유와 경영의 분리 = 123
第3節 政府의 勞動政策 = 124
1. 임금결정 = 124
2. 인원정리 = 125
第4節 政府의 社會敎育政策 = 125
1. 사회보장정책 = 125
2. 교육제도의 개편 = 126
第8章 競爭力强化를 위한 經營의 役割과 課題 = 127
第1節 組織管理 = 127
1. 조직관리개선에 있어서 중시되는 계층 = 127
2. 조직관리의 3측면 = 128
3. 인력의 자질개발방향 = 131
第2節 人事管理 = 133
1. 승진관리 = 133
2. 인원관리 = 134
3. 급여관리 = 136
4. 직무관리 = 137
5. 인사관리 각 측면의 상대적 중요도 = 139
第3節 生産管理 = 139
1. 생산기획측면 = 140
2. 생산시설측면 = 142
3. 제조공정측면 = 143
4. 인원관리측면 = 143
5. 품질관리측면 = 148
6. 생산관리 각 측면의 상대적 중요도 = 150
第4節 技術管理 = 151
1. 기술력향상에서 중시되는 부문 = 151
2. 기술수준제고를 위한 노력의 방향 = 151
3. 기술개발투자의 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는 이유 = 152
第5節 資金管理 = 153
第6節 下請管理 = 154
1. 실태조사기업의 하청실태 = 154
2. 하청단가의 조정방식 = 155
3. 인건비상승을 둘러싼 하청회사와 원청회사의 관계 = 156
4. 하청관계의 개선방향 = 157
第9章 勞動組合의 役割과 課題 = 158
第1節 勞動組合活動에 대한 自體評價 = 158
1. 최근의 노동조합활동에 대한 평가 = 158
2. 최근의 노동조합활동의 둔화에 대한 이유 = 158
3. 노동운동의 활성화가 노사협의회에 미친 영향 = 159
第2節 勞動組合의 機能 = 160
1. 정합성 = 160
2. 대중성 = 161
3. 전문성 = 162
4. 대중성·전문성·정합성의 비중 = 162
第3節 勞動組合의 構造:團體交涉을 中心으로 = 164
1. 교섭준비기간 = 164
2. 임금협상준비시 역점사항 = 164
3. 임금협약과 단체협약 = 165
4. 협상위원의 결정 = 166
5. 협상의원의 바람직한 권한 = 166
6. 임금협상시 최초요구안의 수준 = 167
7. 협상스타일 = 167
8. 막후교섭 = 168
9. 협상타결시점 선택 = 169
第4節 勞動組合의 人力 = 169
1. 노동조합간부의 자질개발방향 = 169
2. 노동조합에 대한 근로자들의 자세 = 169
第10章 勞使關係 課題를 둘러싼 勞使의 認識 = 172
第1節 競爭力强化와 勞使關係發展方向의 合致 = 172
1. 경쟁력강화에 있어서 노사관계의 의미 = 172
2.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사측의 노력 = 173
3. 경쟁력제고시 근로자에 대한 보상 = 175
第2節 一線管理監督者의 役割 = 175
1. 일선관리감독자의 지위변화에 대한 인식 = 175
2. 일선관리감독자와 노동조합과의 바람직한 관계 = 176
3. 일선관리감독자의 바람직한 역할 = 178
第3節 勞動組合이 經營에서 차지하는 意味 = 178
1. 노동조합활성화가 기업의 경영에 미친 역할에 대한 인식 = 178
2. 최고경영자의 노동조합에 대한 시각 = 179
3. 노사분규 감소추세에 따른 노사간의 대화 = 180
第4節 人事·經營事項을 둘러싼 紛爭 = 181
1. 인사·경영사항 문제를 둘러싼 분쟁의 정도 = 181
2. 인사·경영사항의 바람직한 분쟁해결방식 = 181
第5節 敎育訓練과 産業安全活動의 强化 = 182
1. 교육훈련활동의 강화에 대한 인식 = 182
2. 산업안전활동의 강화에 대한 인식 = 183
3. 교육훈련과 산업안전활동에 대한 노동조합(노사협의회)의 자세 = 186
第11章 結論 = 187
第1節 理論的 틀의 全體的인 內容과 實態調査結果의 比較 = 187
1. 이론적 틀의 전체적인 내용 = 187
2. 실태조사결과와의 대비 = 188
第2節 理論的 틀의 具體的인 內容에 대한 實態調査結果:勞使의 視角差異 = 190
1. 경쟁력의 변화요인 = 190
2. 경영의 성격 = 191
3. 노동조합의 특성 = 193
4. 노사관계의 발전방향 = 194
第3節 勞·使·政의 役割과 課題에 대한 實態調査結果 = 196
1. 정부의 역할 = 196
2. 경영의 역할 = 197
3. 노동조합의 역할 = 201
4. 노사의 공동과제 = 202
參考文獻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