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소아 비만증 클리닉

소아 비만증 클리닉 (Loan 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서병규 , 역
Corporate Author
일본비만학회 , 편
Title Statement
소아 비만증 클리닉 = Manua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disease in children / 일본비만학회 편 ; 서병규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신흥메드싸이언스 ,   2007.  
Physical Medium
xvii, 150 p. : 삽도 ; 27 cm.
ISBN
978899093362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소아비만 어린이 비만
000 00778camccc200253 k 4500
001 000045397981
005 20100806112208
007 ta
008 070516s2007 ulka b 001c kor
020 ▼a 9788990933621 ▼g 93510: ▼c \35000
035 ▼a (KERIS)BIB000010921960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18.92398 ▼2 22
090 ▼a 618.92398 ▼b 2007
245 0 0 ▼a 소아 비만증 클리닉 = ▼x Manua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disease in children / ▼d 일본비만학회 편 ; ▼e 서병규 옮김.
260 ▼a 서울 : ▼b 신흥메드싸이언스 , ▼c 2007.
300 ▼a xvii, 150 p. : ▼b 삽도 ; ▼c 27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a 소아비만
650 ▼a 어린이 비만
700 1 ▼a 서병규 , ▼e
710 ▼a 일본비만학회 ,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618.92398 2007 Accession No. 1310287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ⅵ
Ⅰ. 소아 비만증의 올바른 이해
 1. 비만을 어떻게 판정ㆍ평가 하는가 = 3
  체중 증가의 판정 = 3
   비만이란 무엇인가 = 4
   비만도(표준체중에 대한 과체중도) = 5
    비만도란 무엇인가 = 5
    표준체중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5
    비만도법의 특징 = 6
    그래프에 의한 간이법 = 6
   BMI(Body Mass lndex) = 9
    BMI란 무엇인가 = 9
    BMI의 특징 = 9
    BMI의 백분위수 = 9
   성장곡선의 응용 = 10
    성장곡선의 의미 = 10
    성장곡선 작성의 실제 = 11
   복부 둘레의 측정과 지방 분포 = 12
    체지방의 분포 = 12
    복부 둘레의 측정법 = 12
  체지방의 양과 분포의 평가 = 14
   신체 조성 평가의 임상적 의의 = 14
   신체 조성 평가방법 = 15
    피하 지방 두께법 = 15
    생체 임피던스 법(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BIA) = 16
    DEXA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17
   각종 측정법에 의한 측정치의 차이 = 18
   체지방률의 기준치 = 18
   체지방 분포, 내장 지방량의 측정 = 18
   초음파법 = 18
   CT스캔 = 19
 2. 소아 비만이 왜 문제인가 = 20
  소아 비만의 증가 = 20
  소아 비만은 건강의 장애 = 21
  비만이 증가하는 생활환경 = 22
   운동 부족 = 22
   야간형 생활 습관의 저연령화 = 23
   아침의 결식 = 23
   고학력 사회 = 24
 3. Life-Stage와 비만 = 27
  소아 비만과 연령 구분 = 27
  소아 비만의 예방과 치료, 예후 = 27
   영아 비만 = 27
   유아 비만 = 28
   학령기 비만 = 28
   사춘기 비만 = 30
   예후 불량인 사춘기 비만의 발생 예방 = 30
 4. 소아 비만증이란 = 32
  비만과 비만증의 정의 = 32
   소아 비만증의 병태와 치료의 의미 = 33
   비만증의 진단 기준 = 34
   복부 둘레, 내장 지방 면적에 의한 진단 지표 = 34
  소아 비만증을 어떻게 판정하는가 = 35
 5. 소아 비만은 왜 발생하는가 = 32
  유전적 요인 = 38
   비만은 유전인가 = 39
   비만의 원인과 유전 = 39
    유전자 이상과 비만 발생 기전의 관련이 명확한 것 = 40
    유전자 다형과 비만의 관련이 지적되고 있는 것 = 40
    유전성 비만 = 41
   생활습관병으로서의 비만과 유전 요인 = 41
  섭식의 조절과 지방 세포의 기능 = 44
   뇌내에서의 식욕 조절 = 44
    식욕의 중추와 섭식 행동의 구조 = 44
    섭식 행동과 비만 = 45
   렙틴의 발견 = 45
    렙틴은 식욕 억제 물질 = 45
    렙틴 저항성과 비만 = 46
    다기능인 지방 세포 = 47
    지방 세포의 기능 = 47
    지방 세포와 아디포사이토카인 = 47
  식사, 운동과 같은 생활 습관 = 50
   영ㆍ유아기의 생활 습관 = 50
   학령기ㆍ사춘기의 생활 습관 = 52
  섭식과 정신적ㆍ심리적 요인 = 53
   정신적ㆍ심리적인 원인과 소아 비만 = 53
   유아기부터 학령기의 비만 = 54
   사춘기의 비만과 정신적ㆍ심리적 특징 = 55
   스트레스와 비만의 발생 = 55
Ⅱ. 소아 비만증의 치료와 관리
 6. 비만증 치료의 방법과 접근법 = 59
  소아 비만의 판정 = 59
  비만 치료를 위한 접근법 = 60
   가족력 = 60
   비만의 발생 시기 = 60
   식사 조사 = 61
   신체 활동의 평가 = 61
   의학적 평가 = 61
  비만 치료에 대한 자각의 확인, 동기 부여 = 61
 7. 식사 요법의 진행 방법 = 64
  소아 비만에 대한 식사 요법의 고려 방법 = 64
  소아 비만에 대한 식사 지도의 실제 = 68
   영아 비만의 식사 = 68
   비만인 유아와 학령기 아동의 식사 = 68
   사춘기 비만의 식사 = 68
 8. 운동 요법의 진행 방법 = 70
  어린이의 신체 활동 현상과 비만증 = 71
  어린이 비만 치료에서 운동 요법의 역할 = 71
  비만아의 운동 능력 = 72
  운동 요법의 실제 = 72
   운동량의 설정 = 73
   운동 강도의 설정 = 74
   운동 종류의 설정 = 75
   운동 지속 시간의 설정 = 77
   운동의 빈도 = 78
  운동 요법을 지속시키기 위한 고안 = 79
 9. 행동 요법의 계획과 실제 = 81
  행동 수정 요법과 인지 행동 요법 = 82
  소아 비만에 있어서 행동 요법의 실제 = 82
   행동 요법의 개요 = 82
   행동 요법의 실천 방법 = 83
 10. 그 밖의 치료와 전망 = 85
  여러 가지 비만 치료법 = 86
   초저에너지 식사 요법(very low calorie diet/VLCD) = 86
   약물 요법 = 87
   외과적 요법 = 88
  앞으로의 전망 = 88
Ⅲ. 소아 비만증과 합병증
 11. 당뇨병과 비만 = 91
  당뇨병이란 = 92
   당뇨병의 구조 = 92
   당뇨병의 분류 = 92
   당뇨병의 역학 = 93
  1형 당뇨병과 비만 = 93
   비만은 1형 당뇨병의 원인인가 = 93
   비만에는 어떤 합병증이 있을까 = 94
   비만을 어떻게 예방할까 = 94
  2형 당뇨병과 비만 = 95
   비만은 2형 당뇨병의 원흉이다 = 95
   비만을 동반하는 2형 당뇨병의 치료 = 95
 12. 고지혈증과 비만 = 96
  고지혈증이란 = 97
   고지혈증의 원인 = 97
   비만에 따르는 지질 이상 = 97
  소아의 고지혈증과 심혈관계 질환 = 97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 97
   고지혈증과 심혈관계 질환 = 98
  고지혈증의 진단 = 98
   성인의 기준치 = 98
   소아의 기준치 = 98
  소아 고지혈증의 치료 = 99
   식사 요법 = 99
   운동 요법 = 100
   약물 요법 = 100
 13. 그 밖의 대사 이상증과 비만-고요산 혈증, 지방간 = 101
  고요산 혈증 = 102
   비만에서 요산치가 상승하는 이유 = 102
   고요산 혈증과 생활습관병 = 102
   고요산 혈증의 기준 = 103
   생활 지도 = 103
  지방간 = 104
   지방간이란 = 104
   비만에 의한 지방간의 원인 = 104
   소아 지방간의 빈도 = 105
   진단 = 105
   감별 진단 = 105
   치료에 대해 = 106
 14. 고혈압ㆍ심장병과 비만 = 107
  비만과 심혈관 질환 = 107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의 관계 = 108
   비만에서 고혈압이 일어나는 이유 = 108
   비만과 소아기의 좌실비대 = 108
   비만과 동맥경화 = 109
  고혈압의 판정 = 109
   혈압의 측정 방법 = 109
   혈압의 기준 = 110
  소아 고혈압의 빈도와 원인 = 110
  고혈압에의 대응과 심장병 예방 = 111
 15. 그 밖의 신체적 이상 = 114
  흑색가시세포증 = 114
  피부 선상과 허벅지 쓸림 등의 피부 소견 = 115
  비만에 기인하는 골절과 관절 장애 = 115
  월경 이상 = 116
  사춘기 조발 경향 = 116
  2차성(증후성) 비만에 수반하는 신체적 이상 = 116
   내분비성 비만 = 116
   유전성 비만(선천 이상 증후군) = 116
   시상하부성 비만 = 117
   약물에 의한 비만 = 117
 16. 비만에 따른 정신ㆍ심리적 문제점 = 118
  등교 거부 = 119
  틱증, 심인성 기침 = 119
   야뇨증, 빈뇨, 유뇨증 = 119
   탈모증 = 120
   소화기계의 이상(심인성 구토, 과민성 대장 증후군) = 120
 17. 섭식 이상증과 비만 = 122
  섭식 이상증과 비만의 관련 = 122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란 = 123
  신경성 과식증이란 = 124
  젊은 여성의 저체중에 대해 = 125
  야윔증과 비만의 치료 = 125
Ⅳ. 소아 비만의 예방
 18. 소아 비만을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 129
  비만 예방의 목적 = 129
   영아기 = 130
   유아기 = 131
   학령기 이후 = 131
  비만 예방 대책 = 132
   1차 예방 대책 = 132
   2차 예방 대책 = 133
   3차 예방 대책 = 133
  소아의 생활 장면에서 본 예방 대책 = 133
   가정에서의 대응 = 133
   유치원, 학교에서의 대응 = 133
   의료 기관에서의 대응 = 134
부표 = 137
찾아보기 = 14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Mellenthin, Clair (2022)
김증임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