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암환자의 대처 / 소향숙
1. 대처의 정의 = 9
2. 대처 양식 = 12
3. 대처 유형이 돌봄에 미치는 영향 = 15
4. 만성 질환자들의 대처 과제 = 18
5. 만성 질환에 대한 대처: 기술적 연구 = 25
6. 대처를 향상시키기 위한 평가와 전략 = 30
7. 암에 대처하기 = 35
8. 대처 측정도구 = 36
제2장 암환자와 사회적 지지 / 서순림
1. 서론 = 51
2. 사회적 지지 자원의 효과 = 52
3. 사회적 지지와 적응과의 관계 = 56
4. 사회적 지지중재 연구 = 58
5. 최근의 연구동향 = 69
6. 결론 = 70
제3장 암환자와 희망 / 태영숙
1. 암과 위기 = 75
2. 암환자의 희망에 대한 오해 = 77
3. 암환자와 희망 = 78
4. 희망연구 경향 = 85
5. 암환자 희망 사정 척도 = 88
6. 희망 중재 = 90
7. 한국 암환자의 희망 중재 = 92
제4장 암환자와 영성 / 오복자
1. 영성 개념 및 연구 = 99
2. 영성 측정과 도구 = 105
3. 영적간호 중재와 연구 = 108
제5장 암환자의 삶의 질 / 오복자
1. 삶의 질 개념 = 111
2. 삶의 질 중재전략 = 112
3.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동향 = 113
제6장 암환자와 유전상담 / 전명희
1. 서론 = 123
2. 유전학의 기본 개념 = 124
3. 유전성 암성 질환 = 128
4. 유전간호의 임상실무 = 129
5. 종양 유전 상담 프로그램 = 132
6. 종양 유전 상담 전문가 교육 = 134
7. 종양 유전 간호의 이슈 및 방향 = 135
제7장 암환자의 보완대체요법 / 김금순
1. 서론 = 141
2. 역사적 배경 = 142
3. 국내 암 환자 연구에서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실태 분석 = 145
4. 암의 보완대체요법 = 149
5. 종양전문가와 보완대체요법 = 154
6. 요약 = 157
제8장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 최은옥
1. 서론 = 161
2.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 162
3.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사정을 위한 측정 도구 = 166
4.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중재 및 효과 측정 도구 = 174
5. 국내 암환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및 중재효과 = 177
6. 결론 = 184
제9장 암환자 가족의 기능 / 이명선
1. 서론 = 191
2. 가족기능의 정의와 측정 = 192
3. 논의 = 200
4. 결론 = 202
제10장 종양간호를 위한 질적 연구 / 이명선
1. 서론 = 209
2.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의 비교 = 211
3. 질적 연구 방법의 종류 = 216
4. 결론 = 218
제11장 질적연구 사례: 유방암 / 전명희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221
2. 연구방법 및 절차 = 223
3. 자료 분석과 결과: 적응단계에 따른 상실감의 변화 = 223
4. 논의 = 237
5. 결론 = 240
제12장 호스피스 / 이원희
1. 호스피스의 역사와 발전 = 243
2. 호스피스의 개념과 철학 = 245
3. 죽음에 대한 고찰 = 247
4. 호스피스 대상자의 주요 건강문제 = 250
5. 좋은 죽음을 위한 돌봄 = 255
6. 간호의 새로운 영역 = 258
7. 한국 호스피스의 해결과제 = 259
제13장 가정 호스피스 간호: 프로토콜개발 사례 / 이원희
1. 서론 = 263
2. 연구 방법 = 265
3. 연구 결과 = 267
4. 논의 = 278
5. 결론 및 제언 = 281
제14장 사별가족 간호 / 이원희
1. 사별 가족 추후 돌봄의 정의 = 283
2. 정상적 슬픔 반응 = 283
3. 위험 예측 요인 = 287
4. 비정상적인 슬픔 반응 = 288
5. 돌봄 = 290
6. 역할, 훈련, 감독 = 293
찾아보기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