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Ⅰ]----------
목차
PROLOG
좋은 유방촬영술(mammography)이란?
좋은 유방촬영술을 얻기 위한 정도 관리
제1장 촬영의 실제와 테크닉
1. 촬영수기의 중요성 = 4
2. 기본촬영방향 = 4
3. 자세잡기에 대한 기본적인 방법 = 5
1) 유선조직의 분포 = 5
2) 유방의 유동성 부위 = 6
3) 유방암의 영역별 분포 = 6
4. Blind area = 7
5. 영상의 합격기준 = 9
6. 자세잡기의 실제 = 10
MLO 촬영법 = 10
CC 촬영법 = 17
7. 자주 실시되는 추가 촬영법 = 23
1) 확대 촬영 = 23
2) Spot촬영 = 24
3) 내외 측방향촬영 = 25
4) 외내 측방향촬영 = 25
5) 외측 중심의 상하방향 촬영 = 26
6) 내측 중심의 상하방향 촬영 = 27
7) 그 밖의 촬영 = 28
8. 압박술기의 중요성 = 29
제2장 환자를 대하는 태도
1. 응대와 사전설명 = 32
2. 유방촬영술에 대한 불안 = 33
3. 검사전(시설환경도 포함) = 34
1) 시설에서 = 34
2) 검사 대기실에서는 = 34
3) 갱의실 = 36
4) 검사용 가운 = 36
4. 촬영시 = 37
1) 촬영실 = 37
2) 촬영시의 대응 = 37
제3장 기기관리의 실제와 신기술에 대한 대응
Ⅰ. 기기관리의 실무
1. 기기관리의 중요성 = 42
1) 유방촬영술의 화질에 대해서 = 42
2) 기기의 일상관리 = 43
2. 유방촬영술에서의 물리적 특성 = 45
1) X선 에너지 스펙트럼(target/필터) = 45
2) 피사체 투과 후의 X선 에너지 = 46
3) 관전압 특성과 피사체 대조도 = 47
4) 높은 대조도를 얻기 위한 조건설정 = 47
5) 반가층 = 48
6) 평균 유선 선량 = 48
3. 촬영장치 = 49
1) 촬영장치의 주된 사양기준 = 49
2) 장치 성능의 차이가 화질에 미치는 영향 = 50
3) 장치도입시의 주의점 = 51
4. 필름 = 54
1) 유방촬영술에 사용되는 필름의 특징 = 54
2) 사진농도 = 55
3) 필름의 사용기한 = 57
5. 증감지ㆍCassette = 58
1) 증감지 선택에 대해서 = 58
2) Cassette = 59
6. 현상처리와 현상관리(디지털하드 카피를 포함) = 62
1) 자동현상기 = 62
2) 현상조건 = 63
3) 현상관리 = 66
4) 현상관리(QC)의 실제 = 70
7. 명암실 = 72
1) 청소 = 72
2) 안전광 = 72
3) 필름장착 방법과 주의점 = 72
4) 필름 상자의 개봉, 보관방법과 주의점 = 73
8. 사진관찰 환경 = 74
1) X선 사진 판독대 = 74
2)사진 판독시의 주의점 = 74
Ⅱ. 디지털 유방촬영술
1. 기본개념 = 76
2. 디지털 시스템의 현상과 전망 = 77
1) 디지털 시스템의 현상 = 77
CR : computed radiography = 77
DR : digital radiography = 79
2) 디지털 시스템의 전망 = 79
3. CAD : computer-aided diagnosis(컴퓨터지원진단) = 79
제4장 방사능 노출
1. 방사선 방어에 대해서 = 82
2. 유방촬영술에서의 방사선 노출 = 82
3. 평균 유선선량 계측의 주의점ㆍ알아 두어야 할 것 = 83
4. 방사선 노출량을 줄이는 방법 = 84
제5장 유방촬영술 진단의 기초지식
Ⅰ. 유방촬영의 기본
1. 유방의 구조 = 88
2. 유방암의 조직발생과 진전 = 89
3. 유방암 검진에서 유방촬영술이 갖는 의의 = 91
4. 유방촬영술의 이상 소견 = 93
Ⅱ. 유방촬영술의 진단
1. 유선종양의 조직학적 분류 = 94
2. 유방촬영술 소견 = 95
3. 소견의 진단용어 = 96
1) 종괴 = 96
2) 석회화 = 96
3) 그 밖의 소견 = 96
4. 판정 = 99
1) 카테고리 분류 = 99
5. 소견의 부위영역과 유방의 구성 = 102
1) 영역 = 102
2) 유방 조직(유선밀도) = 102
제6장 실제증례로 배우는 유방촬영술
좋은 예, 나쁜 예 = 106
1. 종괴 = 110
① 팽창성 종괴음영 = 110
② 침윤성 종괴음영 = 122
2. 국소적 비대칭성 음영 = 134
3. 조직의 변형 = 138
4. 미세석회화 = 146
미세석회화의 원인 = 146
미세석회화의 특징 = 147
① 종괴음영을 동반하는 미세석회화 = 150
② 종괴음영을 동반하지 않는 미세 석회화상 = 158
5. 양성질환 = 168
① 종괴음영 = 168
② 석회화상 = 172
제7장 판독증례집
판독증례 = 178
증례해설 = 186
제8장 증례정리
1. 증례정리 = 192
1) 증례 정리에서 중요한 것 = 192
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증례정리 = 194
3) File Maker Pro를 사용한 증례 데이타베이스의 일례 = 195
색인 = 198
[volume. vol.Ⅱ]----------
목차
Ⅰ. 기초편
1. 유방의 구조 = 2
2. 유선종양의 조직학적 분류 = 3
3. 유방암의 조직발생과 진전 = 5
4. 유방촬영술(mammography)의 이상 소견 = 7
5. 카테고리 분류 = 8
6. 미세석회화의 원인 = 10
7. 유방촬영술 판독을 위한 조건 = 15
참고문헌 = 16
Ⅱ. 증례편
1. 종괴음영 = 18
1) 팽창성 = 18
변연 명료 평활 = 18
미세분엽ㆍ미세톱니모양 = 56
2) 침윤성 = 74
2. 국소적 비대칭성 음영 = 114
3. 유방조직의 변형 = 160
4. 미세석회화상
1) 석회화를 동반하는 종괴음영 = 192
2) 비촉지성 = 206
색인 =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