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자체감사의 본질 = 13
제1절 자체감사의 의의 = 13
1. 자체감사의 개념 = 13
2. 자체감사의 법적 근거 = 14
3. 자체감사의 특징 = 16
4. 자체감사의 필요성 = 17
제2절 자체감사기구의 기능 = 18
1. 자체감사기구의 기능: 일반 이론 = 18
2. 공공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중점 감사 기능 = 20
3. 자체감사책임자의 역할 = 22
제2장 자체감사의 유형 = 27
제1절 여러 기준에 따른 자체감사의 유형 = 27
1. 재무ㆍ합법성감사에서의 검토 초점 = 29
2. 경제성감사에서의 검토 초점 = 29
3. 능률성감사에서의 검토 초점 = 29
4. 효과성감사에서의 검토 초점 = 30
제2절 공공기관 내 감사의 실제에서 중시되는 자체감사의 유형 = 30
제3절 공공기관 내 자체감사기구들의 성과감사에 대한 시각 = 31
1. 성과감사 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 = 31
2. 성과감사를 실시하지 않는 이유와 실시하는 이유 = 33
제4절 재무ㆍ합법성감사와 성과감사의 균형 유지 = 34
1. 행정에서 추구하는 가치의 변화 = 34
2. 국민 관심의 변화 = 35
3. 목표 달성의 중요성 = 35
4. 선진국 감사의 변화 = 35
제3장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 37
제1절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 37
1. 자체감사기구 조직의 의의와 특징 = 37
2. 자체감사기구의 관련 규정 = 38
제2절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유형과 실태 = 40
1.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유형 = 40
2.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실태 = 42
제3절 자체감사기구 조직설계의 방향 = 48
1. 자체감사기구의 조직설계 = 48
2. 자체감사기구의 소속 = 49
제4장 자체감사기구의 인사관리 = 53
제1절 자체감사기구의 인사제도 = 53
1. 자체감사인의 순환보직 = 53
2. 자체감사인의 전보제한 = 56
3. 자체감사인의 다면평가제 = 58
제2절 자체감사인의 인센티브 시스템 = 61
1. 인센티브 시스템의 논의와 관련 법규 = 61
2. 인센티브 시스템의 문제 인식 및 시사점 = 61
3. 인센티브 시스템을 위한 발전 방향 = 63
제3절 인사관리상의 독립성 = 64
1. 독립성 보장의 이론적 배경 및 법ㆍ제도적 장치 = 64
2. 독립성 보장에 관한 인식 = 66
3. 독립성 보장을 위한 발전 방향 = 68
제5장 자체감사기구의 정보관리 = 70
제1절 감사정보관리의 의의 = 70
1. 감사정보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 70
2. 감사정보관리 관련 법규정 = 71
제2절 전자감사 = 72
1. 전자감사의 개념과 목적 = 72
2. 전자감사 시스템의 구축 = 73
제3절 감사정보의 관리 현황 = 77
1. 관리하고 있는 감사정보 = 77
2. 감사정보관리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 78
3. 자체감사 매뉴얼(편람)의 활용 = 79
4. 감사정보 시스템 현황 = 80
제4절 감사정보관리의 바람직한 방향 = 84
제6장 자체감사기구의 독립성 = 86
제1절 자체감사기구 독립성의 의의와 필요성 = 86
1. 자체감사기구 독립성의 의의 = 86
2. 자체감사기구 독립성의 필요성 = 88
제2절 자체감사기구의 독립성 연구 = 90
1. 자체감사기구 독립성 미흡의 지적 사항 = 90
2. 자체감사기구 독립성 확보 방안 연구 = 91
제3절 자체감사기구 독립성의 인식 = 93
제4절 자체감사기구 독립성의 영향 요인 및 유지 방안 = 97
제5절 자체감사기구의 독립성 확보 방안 = 99
제7장 자체감사기구의 전문성 = 103
제1절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 논의 및 법ㆍ제도적 장치 = 103
제2절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 = 105
제3절 외부 전문가 및 자체감사자문위원회의 활용 = 111
1. 외부 전문가의 활용 여부 = 111
2. 자체감사자문위원회의 활용 여부 = 112
제4절 전문성 확보 방안 = 113
1. 충원시 전문인력의 확보 노력 = 113
2. 교육 및 훈련의 강화 = 113
3. 인력 배치의 적합성 고려 = 114
4. 외부 전문가 및 자체감사위원회의 활용 = 114
제8장 자체감사의 기획 = 116
제1절 감사반의 구성 = 116
제2절 감사대상 부서의 선정 = 117
1. 자체감사기구는 본부를 감사 대상으로 하고 있는가? = 118
2. 본부에 대한 감사 실시의 이유 = 120
3. 감사대상기관ㆍ부서에 대한 감사 비중 = 122
제3절 감사 대상(사업이나 업무)의 선정 = 123
1. 감사대상 업무 선정자 = 123
2. 감사대상 업무(정책ㆍ사업) = 124
3. 감사 대상으로서의 감사대상 업무의 측면 = 126
4. 자체감사에서 중시되는 항목 = 130
제4절 예비조사 = 134
1. 감사대상 부서의 이해 = 135
2. 감사대상 정책, 사업 혹은 업무의 이해 = 135
3. 감사 문제의 설정 = 136
제5절 감사사업계획의 수립 = 138
제9장 자체감사 결과의 활용 = 140
제1절 감사 결과의 공개 = 140
1. 개념적 정의 = 140
2. 관련 규정 = 141
3. 해외 사례 = 144
4. 감사 결과의 공개 실태 = 147
5. 감사 결과 공개의 바람직한 방향 = 150
제2절 감사 결과의 사후관리 = 153
1. 개념적 정의 = 153
2. 관련 규정 = 155
3. 국내 사례 = 157
4. 감사 결과의 사후관리 실태 = 159
5. 바람직한 방향 = 162
제10장 외국의 자체감사기구 = 167
제1절 미국의 자체감사기구 = 167
제2절 영국의 자체감사기구 = 170
제3절 캐나다의 자체감사기구 = 172
제11장 자체감사 관련 주요 이슈 = 174
제1절 자체감사인의 윤리 = 174
1. 윤리성 확보의 이론적 배경 및 법ㆍ제도적 장치 = 174
2. 윤리성 확보에 관한 문제 인식의 실태 = 175
3. 윤리성 확보를 위한 발전 방향 = 177
제2절 다른 기관과의 협력: 합동 및 교차감사 = 177
1. 다른 기관과의 협력 필요성 = 177
2. 다른 기관과의 협력 현황 = 179
3. 다른 기관과의 협력의 바람직한 방향 = 185
제3절 예산관리 = 187
1. 예산 확보의 적정성과 집행의 적절성에 관한 논의 = 187
2. 예산 확보의 적정성과 집행의 적절성에 관한 문제 인식의 실태 = 188
3. 예산 확보의 적정성과 집행의 적절성을 위한 발전 방향 = 190
제4절 평가를 통한 감사품질관리 = 191
1. 개념적 정의 = 191
2. 관련 규정 = 193
3. 해외 사례 = 196
4. 감사품질관리 실태 = 200
5. 바람직한 방향 = 205
참고 문헌 = 207
찾아보기 =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