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自序
1부
詩作 = 15
고향 = 16
봄볕 = 18
상여 = 19
복사꽃 = 21
밀밭 길 추억 = 22
해거름 바닷가 = 24
갈등 = 26
네 잎 클로버 = 27
막내 = 28
비음산의 여름 = 30
설악산 = 32
갈바람 = 33
디지털 허수아비 = 34
이끌린 외출 = 35
갯바위에서 = 37
낮달 = 38
출ㆍ퇴근길 = 39
2부
가을비 편지 = 43
시벌노마(施罰勞馬) = 44
산 넘어 산행 = 46
서릿발 = 47
어쭈구리(魚走九里) = 49
까치밥 = 51
경창 상가 = 52
새벽달 = 53
질주 = 54
신호대기 = 55
빈집 = 56
대중목욕탕 = 57
오작교 = 59
석류 = 61
보리 타작하던 날 = 62
쏙 = 63
썰물 = 65
강 하구에서 = 66
3부
구조조정 = 69
한가위 달 = 70
학생밀양박공지묘 = 71
왼손 오른손 = 72
다랭이 마을 = 73
남해대교 = 75
그 겨울 = 76
후회 = 77
그녀의 애견 = 78
과외수업 = 79
아이는 발부터 크는가 = 80
별 = 81
고개 = 82
장마 = 83
야간 응급실 = 84
폭풍우 지나간 뒤 = 85
가을 점묘 = 86
멈출 수 없는 운명 = 87
어머니의 四季 = 88
새벽 숫눈길에 = 90
4부
서울에 간 멧돼지 = 93
바퀴의 꿈 = 94
하귀~애월 = 95
도깨비도로 = 96
무인단속카메라 = 98
미련 = 99
그대 오시니 = 100
형광펜 = 101
마음의 봄 = 102
중년, 어느 봄날에 = 103
아카시아 일생 = 104
구름이 흐르는 것은 = 105
하늘마루에 가면 = 106
바다를 찾아서 = 108
불효 = 109
그리움 = 110
연어 = 111
가을비 내리는 양촌에서 = 112
어쩌다 고향 갔더니 = 113
해설 : 기억과 성찰 그리고 '꿈'의 형식-박용진의 시세계 / 유성호 =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