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일반원리와 논제
제1장 정서의 본질 = 2
정서란 무엇인가? = 3
정서의 측정 = 8
정서 이론 = 18
인지, 느낌, 행동 간의 관계 = 24
요약 = 34
핵심 용어 = 35
생각해 볼 문제 = 35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36
읽을거리 = 36
제2장 정서의 분류 = 37
기본 정서의 기준 = 39
정서의 얼굴 표현 = 43
기본 정서 접근에 대한 대안 = 55
요약 = 60
핵심 용어 = 61
생각해 볼 문제 = 61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61
읽을거리 = 62
제3장 문화와 정서 = 63
문화란 무엇인가? = 64
정서 개념의 문화적 차이 = 65
모든 문화에 동일한 기본 정서가 있는가? = 68
문화와 정서적 평가 = 73
정서 표현의 문화적 차이 = 77
얼굴 표정 해석의 문화적 차이 = 81
정서의 문화적 차이 요약 = 81
문화 연구의 방법론적 문제 = 87
진화적 및 문화적 접근의 통합 = 89
요약 = 92
핵심 용어 = 93
생각해 볼 문제 = 94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94
읽을거리 = 94
제4장 정서의 발달 = 95
정서 경험의 발달 = 96
정서적 의사소통의 발달 : 정서 지각, 정서 공유, 정서 언어 = 106
정서적 유대의 발달 : 애착 = 111
정서 표현의 사회화 = 113
청년기 정서 = 116
성인기 정서 발달 = 117
요약 = 122
핵심 용어 = 123
생각해 볼 문제 = 123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124
읽을거리 = 124
제2부 개별 정서
제5장 공포와 불안 = 126
무엇이 공포를 일으키는가? = 128
공포와 관련된 행동 = 129
공포와 불안의 측정 = 133
공포와 불안의 생물학 = 138
우리는 불안 장애로부터 무엇을 배우는가? = 149
요약 = 156
핵심 용어 = 156
생각해 볼 문제 = 157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157
읽을거리 = 158
제6장 분노 = 159
무엇이 분노를 일으키는가? = 161
분노와 공격의 측정 = 167
분노와 공격의 생물학 = 173
개인차와 상황에 따른 차이 = 177
응용 : 폭력 예방 = 184
품행 장애와 반사회적 성격 장애에서 배우는 것 = 187
요약 = 188
핵심 용어 = 189
생각해 볼 문제 = 190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190
읽을거리 = 190
제7장 슬픔 = 191
슬픔, 우울 그리고 그것들의 배후 = 191
무엇이 슬픔과 우울의 원인이 되는가? = 193
슬픔의 기능 = 194
슬픔의 측정 : 감정, 행동 및 생리적 반응 = 197
슬픈 그리고 우울한 생각 = 206
성향 = 207
슬픔의 제한 및 우울의 방지 = 209
요약 = 210
핵심 용어 = 211
생각해 볼 문제 = 211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211
읽을거리 = 212
제8장 정적 정서 : 행복, 기쁨, 희망, 즐거움 = 213
행복과 기쁨 = 214
행복이나 인생 만족의 측정 = 215
무엇이 사람들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 220
대조 효과로서의 정적 정서 = 230
열광 : 보상의 예상 = 232
희망과 낙관 = 234
웃음과 즐거움 = 236
요약 = 240
핵심 용어 = 241
생각해 볼 문제 = 241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241
읽을거리 = 242
제9장 사랑 = 243
사랑은 정서인가? = 244
Bowlby와 감정적 유대 = 247
옥시토신 : 사랑의 전달물질? = 255
공감 = 257
낭만적 사랑과 결혼 = 258
애착과 우정 = 269
요약 = 270
핵심 용어 = 271
생각해 볼 문제 = 271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272
읽을거리 = 272
제10장 혐오와 경멸 = 273
혐오와 경멸은 무엇인가? = 274
혐오와 경멸의 측정 = 276
혐오의 생리학 = 279
혐오는 과연 정서일까? = 281
혐오의 인지적 측면 = 282
혐오 : 발달과 개인차 = 287
혐오, 두려움, 공포증의 관계 = 288
요약 = 290
핵심 용어 = 290
생각해 볼 문제 = 290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291
읽을거리 = 291
제11장 자의식 정서 :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 자부심 = 292
당혹감, 수치심, 죄책감의 구분 = 293
당혹감 = 295
수치심과 죄책감 = 302
자부심 = 305
요약 = 307
핵심 용어 = 308
생각해 볼 문제 = 309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309
읽을거리 = 309
제3부 심리학의 다른 주제들과의 연결성
제12장 정서와 정보 처리 = 312
정서와 주의 = 312
정서와 기억 = 315
정서, 귀인, 기대 = 321
행복, 슬픔, 추론 = 324
요약 = 332
핵심 용어 = 333
생각해 볼 문제 = 333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334
읽을거리 = 334
제13장 정서적 결정과 정서 지능 = 335
정서와 논리적 추론 = 336
가치에 기반한 선택 = 339
정서와 도덕적 추론 = 345
정서 지능 = 351
정서 지능의 측정 = 352
요약 = 361
핵심 용어 = 362
생각해 볼 문제 = 362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362
읽을거리 = 363
제14장 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364
스트레스와 정서 : 정의와 측정 = 365
스트레스는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373
특정 질병들에서 스트레스의 역할 = 381
요약 = 383
핵심 용어 = 385
생각해 볼 문제 = 385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386
읽을거리 = 386
제15장 정서 조절 : 스트레스 대처 = 387
Freud의 자아 방어 기제 : 대처 방략의 초기 분류법 = 388
정서 조절 과정 모델 = 390
문제 초점적 방략 = 391
평가중심 방략 = 394
정서 조절의 긍정적 재평가 = 395
정서 초점적 방략 = 397
최선의 정서 조절 방략이란 무엇인가? = 401
요약 = 403
핵심 용어 = 404
생각해 볼 문제 = 405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제안 = 405
읽을거리 = 405
에필로그 = 406
정서란 무엇인가? = 406
무엇이 정서를 일으키는가? = 407
참고문헌 = 413
Photo Credits = 460
찾아보기 =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