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정치행정학 연구방법론

정치행정학 연구방법론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명
서명 / 저자사항
정치행정학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 of politics and administration / 김종명 저.
발행사항
서울 :   노벨미디어 ,   2007.  
형태사항
204 p. : 삽도 ; 26 cm.
ISBN
9788990107602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09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396787
005 20100806105722
007 ta
008 071018s2007 ulka b 000c kor
020 ▼a 9788990107602 ▼g 93350: ▼c \18,000
035 ▼a (KERIS)BIB000011061539
040 ▼a 241026 ▼c 241026 ▼d 244002
082 0 4 ▼a 351.072 ▼2 22
090 ▼a 351.072 ▼b 2007z1
100 1 ▼a 김종명
245 1 0 ▼a 정치행정학 연구방법론 = ▼x Research method of politics and administration / ▼d 김종명 저.
260 ▼a 서울 : ▼b 노벨미디어 , ▼c 2007.
300 ▼a 204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114419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114419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51244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114419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1144191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51.072 2007z1 등록번호 1512440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대학에서 행정학이란 학문을 강의하고 연구해 온지 어언 30여년이 가까워 온다. 학문을 시작했던 처음 순간부터 오늘날까지 필자에게 가장 어렵게 느껴지고 정체성 확립이 모호했던 분야는 바로 정치와 행정의 관계설정이다. 즉 정치행정일원론과 이원론, 그리고 정치와 행정간 상호작용의 실체와 한계, 특히 정책학에서의 정치와 행정의 영역 구분 등등의 문제이다. 사회과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그것도 방법론이라는 학문분야에서 보면 이러한 문제로의 접근은 어떤 명쾌하고 분명한 해답과 결론을 도출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모든 학문분야가 통합과 분화작용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고 보면 학자 개인의 관점과 시각, 그리고 가치관에 따라 여러 가지 입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감히「정치행정학 연구방법론」이라는 제목으로 저서의 명칭을 설정하고 정치학, 행정학 분야의 연구방법론을 하나로 통합하여 몇 가지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종명(지은이)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 국제문제조사연구소 연구원,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정치행정학 연구방법의 다양성 = 1
 Ⅰ. 서론 = 3
 Ⅱ. 정치행정학의 이론과 방법 = 5
 Ⅲ. 정치행정학 접근방법의 다양성 = 10
 Ⅳ. 접근방법의 논제와 문제점 = 15
 Ⅴ. 정치학에서 이론의 역할 = 18
제2장 고전적 연구방법론의 변천 = 21
 제1절 규범이론의 재평가 = 23
  Ⅰ. 규범이론과 방법론 = 23
   1. 규범이론의 실체 = 23
   2. 규범이론의 방법론 = 24
  Ⅱ. 규범이론의 주요 입장 = 25
   1. 공리주의 = 25
   2. 의무론적 자유주의 = 27
   3. 공산사회주의 = 29
  Ⅲ. 규범이론의 주요 반대론 = 32
   1. 논리적 실증주의 = 32
   2. 상대주의 = 34
   3. 결정론 = 36
  Ⅳ. 규범이론의 적용 = 38
  Ⅴ. 규범이론의 평가 = 43
  참고문헌 = 46
 제2절 엘리트 이론의 변천과 발전 = 47
  Ⅰ. 서론 = 47
  Ⅱ. 고전적 엘리트이론(Classical Elitism) = 48
  Ⅲ. 민주적 엘리트이론(Democratic Elitism) = 51
  Ⅳ. 현대적 엘리트이론(Modern Elitist Perspectives) = 57
   1. 국가엘리트 권력조직망 연구 = 57
   2. 기업권력논쟁 = 59
   3. 조합주의와 신조합주의 = 61
  Ⅴ. 결론 = 64
  참고문헌 = 65
 제3절 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논쟁 = 67
  Ⅰ. 서론 = 67
  Ⅱ. Antonio Gramsci의 이론 = 67
  Ⅲ. Nicos Poulantzas의 이론 = 71
  Ⅳ. Bob Jessop의 이론 = 75
  Ⅴ. Fred Block과 Theda Skocpol의 이론 = 79
  Ⅵ. 환경론과 여권론의 대두 = 81
  Ⅶ. 결론 = 82
  참고문헌 = 84
제3장 전통적 연구방법론의 발전 = 85
 제1절 수렴론의 재평가 = 87
  Ⅰ. 서론 = 87
  Ⅱ. 수렴론의 형태와 측면 = 89
   1. 구조적 특혜 = 89
   2. 각 행위자들의 역할 = 89
   3. 수가 제한되어있는 특권의 구조적 기초 = 90
   4. 국가통제주의 = 90
   5. 상황론 = 91
   6. 정치의 최우선성 = 91
  Ⅲ. 수렴론의 이론논쟁 = 92
   1. 마르크스주의적 입장 = 92
   2. 다원론적 입장 = 94
   3. 이론 간의 차이점 = 96
  Ⅳ. 제 이론에 대한 수렴론적 평가 = 97
   1. 다원론 = 97
   2. 마르크스주의 이론 = 99
   3. 엘리트이론 = 100
  Ⅴ. 결론 = 101
  참고문헌 = 103
 제2절 포스트 모더니즘을 통한 多元論의 再評價 = 104
  Ⅰ. 序論 = 104
  Ⅱ. 多元論의 特性과 問題點 = 105
   1. 다원론의 특성 = 105
   2. 多元論 分析의 問題點 = 109
  Ⅲ. 多元論의 修正과 發展 = 115
   1. 다원론의 수정 = 115
   2. 신 다원론 = 118
  Ⅳ. 포스트모더니즘과 多元論 = 120
   1. 포스트모더니즘과 정치학 방법론 = 120
   2.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론의 이론적 논쟁 = 124
   3.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론의 재발견 = 127
  Ⅴ. 結論 = 129
  참고문헌 = 130
제4장 연구방법론의 진화 = 133
 제1절 양적 접근방법 모형 = 135
  Ⅰ. 서론 = 135
  Ⅱ. 양적자료 유형 = 135
  Ⅲ. 자료분석과정 모형 = 137
   1. 단변량 모형(Univariate Models) = 138
   2. 양변량 모형(Bivariate Models) = 138
   3. 다변량 모형(Multivariate Models) = 140
   4. 시간연속모형(Time-Series Models) = 142
   5. 다차원 모형(Multi-level Models) = 143
   6. 기타 양적 모형 - 컴퓨터 시뮬레이션 = 143
  Ⅳ. 모형에 대한 평가 = 144
   1. 난해성문제 = 144
   2. 협소성문제 = 146
   3. 타당성 문제 = 146
   4. 의미표현성 문제 = 147
  Ⅴ. 결론 = 148
  참고문헌 = 149
 제2절 질적 접근방법 모형 = 151
  Ⅰ. 서론 = 151
  Ⅱ. 질적 접근방법의 위상과 역할 = 151
  Ⅲ. 질적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 = 155
   1. 자료의 신뢰성 문제 = 155
   2. 자료의 수집 문제 = 157
   3. 자료의 분석과 설명문제 = 158
  Ⅳ. 질적 접근방법의 실증 = 159
   1. Heclo와 Wildacsky의 예산과정 연구 = 160
   2. Devine의 노동자 투표행태연구 = 162
  Ⅴ. 결론 = 164
  참고문헌 = 166
 제3절 담론이론의 실체와 비판적 고찰 = 167
  Ⅰ. 서론 = 167
  Ⅱ. 담론의 출현과 후기 모더니즘 = 167
  Ⅲ. 담론의 성격과 실체 = 170
   1. 담론에서의 의미표출 = 170
   2. 담론의 정치적 분석 = 172
   3. 담론의 반론 = 173
   4. 주체성 논쟁 = 174
   5. 주도권 문제 = 175
  Ⅳ. 담론의 실제 : 대처리즘의 분석 = 175
  Ⅴ. 담론의 비판 = 177
   1. 철학 이론적 비판 = 178
   2. 사회구조의 분파성문제 = 179
   3. 이데올로기의 배제문제 = 180
   4. 사회정치적 기구의 분석 불가능 문제 = 181
  Ⅵ. 결론 = 182
  참고문헌 = 183
 제4절 선택오류의 최소화 방안 = 185
  Ⅰ. 서론 = 185
  Ⅱ. 종속 변수의 선택 과제 = 185
   1. 종속변수의 특성 = 185
   2. 종족변수의 측정 = 186
  Ⅲ. 종속변수와 역사성의 상관관계 = 190
   1. 스콕폴(Skocpol)의 연구 = 190
   2. 종속변수 논쟁 = 194
  Ⅳ. 시계열분석과 사례연구의 선택 오류 = 196
  Ⅴ. 회귀분석의 선택 오류 = 199
  Ⅵ. 결론 = 203
  참고문헌 = 20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