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종교개혁사상

종교개혁사상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Grath, Alister 최재건 , 역
서명 / 저자사항
종교개혁사상 / 앨리스터 맥그래스 지음 ; 최재건 옮김.
발행사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   2006.  
형태사항
486 p. ; 23 cm.
원표제
Reformation thought : an introduction. 3rd ed
ISBN
8934109297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Theology, Doctrinal --History --16th century. Reformation.
000 00873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396575
005 20100806105252
007 ta
008 061020s2006 ulk b 000c kor
020 ▼a 8934109297 ▼g 93230: ▼c \18000
024 3 1 ▼a 9788934109297
035 ▼a (KERIS)BIB000010701263
040 ▼a 211032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270.6 ▼2 22
090 ▼a 270.6 ▼b 2006z1
100 1 ▼a McGrath, Alister
245 1 0 ▼a 종교개혁사상 / ▼d 앨리스터 맥그래스 지음 ; ▼e 최재건 옮김.
246 1 9 ▼a Reformation thought : an introduction. 3rd ed
260 ▼a 서울 : ▼b 기독교문서선교회 , ▼c 2006.
300 ▼a 486 p. ; ▼c 23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수록
650 0 ▼a Theology, Doctrinal ▼x History ▼y 16th century.
650 0 ▼a Reformation.
700 1 ▼a 최재건 , ▼e
900 1 ▼a 맥그래스, 앨리스터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6 2006z1 등록번호 151243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알리스터 맥그래스(지은이)

제임스 패커와 존 스토트를 잇는 21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신학자 알리스터 맥그래스는 1953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명민하고 수학과 물리, 화학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을 전공하여 22세 때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년 후 같은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는 놀라운 학업적 성취를 이루었다. 한때 자유주의에 심취하기도 했으나, 결국에는 복음주의가 진리임을 깨닫고 리처드 백스터, 존 오웬, 조나단 에드워즈 등의 영향을 받은 복음주의 신학자가 되었다. 제임스 패커의 수제자로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리전트칼리지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고, 옥스퍼드대 위클리프홀의 학장으로 있으면서 조직신학과 역사신학을 가르쳤다. 옥스퍼드대 안드레아스 이드레오스(Andreas Idreos) 과학과 종교 석좌교수이며, 옥스퍼드기독교변증센터 소장이다. 지성과 영성을 겸비한 세계적인 신학자로, 다양한 학문을 섭렵한 이력을 토대로 기독교 신학의 현대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총정리하여 균형 잡힌 시각에서 기독교를 논증한다. 기독교 지성의 선봉장으로서 리처드 도킨스로 대표되는 무신론적 변증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박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 번역된 그의 저서로는 『이신칭의』, 『십자가로 돌아가라』, 『한 권으로 읽는 기독교』, 『지성적 회심』, 『교리의 기원』, 『역사신학』(이상 생명의말씀사),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국제제자훈련원) 등이 있다. 그의 저서 가운데 『The Unknown God: Searching for Spiritual Fulfillment』(Eerdmans)는 2000년 Christianity Today Book Awards 영성 부문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최재건(옮긴이)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Yale University의 Graduate School과 Divinity School, Harvard University의 The Graduate School of Arts & Science(문학박사)에서 수학하였고, 본 연구소 전문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언더우드의 대학설립』과 『한국교회사론』을 비롯한 다수의 국·영문 저서 및 역서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3 증보판 저자 서문 = 5
역자 서문 = 9
이 책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18
제1장 서론 = 23
 1. 개혁에의 호소 = 24
 2. '종교개혁'의 개념 = 29
  1) 루터파 종교개혁 = 31
  2) 개혁파 교회 = 32
  3) 급진적 종교개혁(재세례파) = 35
  4) 가톨릭 종교개혁 = 37
 3. 인쇄술의 중요성 = 38
 4. 종교개혁의 사회적 상황 = 43
 5. 개혁자들의 종교사상 = 50
 6. 종교사상의 사회적 역할: 독일과 영국 = 52
제2장 중세 후기의 기독교 = 59
 1. 대중 신앙의 성장 = 59
 2. 반성직자주의의 부상 = 61
 3. 교리적 다원주의의 부상 = 66
 4. 권위의 위기 = 69
 5. 영국의 사례 연구: 롤라디 = 73
제3장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 77
 1. '르네상스'의 개념 = 78
 2. '인문주의'의 개념 = 80
  1) 고전학문과 언어학 = 81
  2) 르네상스의 새로운 철학 = 82
  3) 인문주의에 대한 크리스텔러의 견해 = 84
 3. Ad fontes-근원으로 돌아가기 = 85
 4. 북유럽의 인문주의 = 87
  1) 북유럽의 이탈리아 르네상스 수용 = 87
  2) 북유럽 인문주의의 이상 = 88
  3) 스위스 동부의 인무주의 = 89
  4) 프랑스의 법률적 인문주의 = 90
  5) 영국의 인문주의 = 92
 5.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 95
 6. 인문주의와 종교개혁-평가 = 102
  1) 인무주의와 스위스 종교개혁 = 103
  2) 인문주의와 비텐베르크의 종교개혁 = 105
  3) 종교개혁과 인문주의 사이의 긴장 = 107
제4장 스콜라주의와 종교개혁 = 115
 1. '스콜라주의'의 정의 = 116
 2. 스콜라주의와 대학 = 119
 3. 스콜라주의의 유형들 = 121
  1) 실재론 대 유명론 = 121
  2) '펠라기우스주의'와 '어거스틴주의' = 124
  3) 비아 모데르나('유명론') = 127
  4) 신어거스틴학파('어거스틴주의') = 130
 4. 중세 스콜라주의가 종교개혁에 미친 영향 = 132
  1) 루터와 후기 스콜라주의의 관계 = 132
  2) 칼빈과 중세후기 스콜라주의의 관계 = 135
 5. 스콜라주의의 사회적 상황 = 139
제5장 종교개혁자들: 인물설명 = 143
 1. 마틴 루터 = 144
 2. 훌드리히 쯔빙글리 = 150
 3. 필립 멜란히톤 = 153
 4. 마틴 부써 = 155
 5. 존 칼빈 = 157
제6장 이신칭의론 = 165
 1. 기본 주제: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 = 165
 2. 은혜 개념 = 167
 3. 마틴 루터의 신학적 돌파 = 169
 4. 칭의론 = 169
 5. 루터의 초기 견해 = 171
 6. 루터의 하나님의 의 발견 = 173
 7. 이신칭의론의 본질 = 179
 8. 루터의 칭의론의 원인과 결과 = 184
 9. 법정적 '칭의' 개념 = 190
 10. 칭의 문제와 개혁자들의 분화 = 195
  1) 칭의와 스위스 종교개혁 = 195
  2) 후기의 발전: 부써와 칼빈의 칭의론 = 198
 11. 가톨릭교회의 반응: 트렌트 공의회의 칭의론 = 200
  1) 칭의의 본질 = 201
  2) 의롭게 하는 의의 본질 = 203
  3) 의롭게 하는 믿음의 본질 = 205
  4) 구원의 보증 = 206
제7장 예정론 = 211
 1. 쯔빙글리의 하나님 주권사상 = 212
 2. 칼빈의 예정론 = 216
 3. 후기 칼빈주의 예정론 = 223
 4. 은혜론과 종교개혁 = 227
제8장 성경으로의 복귀 = 231
 1. 중세시대의 성경 = 232
  1) '전통'의 개념 = 232
  2) 성경의 불가타 번역본 = 234
  3) 중세 불가타 성경의 번역본 = 235
 2. 인문주의자와 성경 = 236
 3. 성경과 종교개혁 = 239
  1) 성경의 정경성 = 239
  2) 성경의 권위 = 241
  3) 전통의 역할 = 244
  4) 성경해석법 = 248
  5) 성경해석의 권리 = 253
 4. 가톨릭의 대응: 트렌트 공의회의 성경관 = 259
제9장 성례론 = 265
 1. 성례와 하나님의 약속 = 268
 2. 루터의 성례론 = 273
  1) 루터의 성례론 형성 = 273
  2) 루터의 실제적 임재설 = 278
 3. 쯔빙글리의 성례론 = 281
  1) 실제적 임재설에 대한 쯔빙글리의 견해 = 283
  2) 쯔빙글리의 유아세례관 = 289
 4. 루터 대 쯔빙글리: 요약과 평가 = 292
 5. 칼빈의 성례론 = 295
 6. 가톨릭의 대응: 트렌트 공의회의 성례론 = 302
제10장 교회론 = 305
 1. 종교개혁 논쟁의 배경: 도나투스 논쟁 = 307
 2. 종교개혁의 상황과 교회관 형성 = 310
 3. 교회의 본질에 대한 루터의 견해 = 312
 4. 급진파의 교회론 = 315
 5. 루터의 교회론 내부의 긴장 = 317
 6. 칼빈의 교회론 = 320
  1) 교회의 두 표지 = 320
  2) 교회와 당회에 대한 칼빈의 견해 = 324
  3) 교회의 역할에 대한 칼빈의 견해 = 327
 7. 교회의 보편성에 대한 논쟁 = 329
제11장 종교개혁의 정치사상 = 337
 1. 급진적 종교개혁과 세속 권위 = 337
 2. 루터의 두 왕국론 = 341
 3. 쯔빙글리의 국가관과 정부관 = 349
 4. 부써의 정부관과 목회관 = 353
 5. 칼빈의 정부관과 목회관 = 354
제12장 종교개혁 사상의 확산 = 359
 1. 확산의 물리적 수단 = 359
  1) 자국어 = 360
  2) 책들 = 361
  3) 사람들의 이동 = 362
 2. 교리문답 = 365
 3. 신앙고백 = 368
 4. 칼빈의 「기독교강요」 = 372
제13장 영국의 종교개혁 사상 = 379
 1. 영국 종교개혁의 기원: 헨리 8세 = 379
 2. 영국 종교개혁의 강화: 에드워드 6세와 엘리자베스 1세 = 384
 3. 영국 종교개혁과 이신칭의론 = 386
 4. 영국 종교개혁과 실제적 임재설 = 389
제14장 종교개혁 사상이 역사에 끼친 영향 = 397
 1. 세상을 향한 긍정적인 태도 = 400
 2. 프로테스탄트 노동윤리 = 404
 3. 종교개혁 사상과 자본주의의 기원 = 407
 4. 인권 개념과 폭군처형의 정당화 = 411
 5. 종교개혁 사상과 자연과학의 부상 = 414
 6. 결론 = 420
부록 = 423
 부록1. 신학 및 역사학 용어 해설 = 425
 부록2. 주요 일차 자료 영어번역서 = 436
 부록3. 주요 저널 및 자료의 표준 약어표 = 440
 부록4. 주요 일차 자료 참조법 = 444
 부록5. 16세기 시편 표기법 = 449
 부록6. 종교개혁 참고문헌 최신 목록 = 452
 부록7. 정치사 및 지성사 연대기 = 457
각주 = 463
선별 참고문헌 = 47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