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통역 업무 : 통역의 역사 = 13
1.1. 일반 개요 = 13
1.2. 고대 시대 = 16
1.3. 중세 시대 = 20
1.3.1. 이베리아 반도 번역학교의 통역 기술 = 20
1.3.2. 현대 외교 통역의 기원 : 통역사 = 23
1.4. 현대 = 25
1.4.1. 발견의 시대 = 25
1.4.1.1. 15세기 포르투갈인들의 여행 = 27
1.4.1.2. 신 세계의 발견과 군사적 정복 = 31
1.4.1.3. 신 세계의 영적 정복 = 39
1.4.2. 공인 번역사와 법률 통역사의 기원 = 40
1.5. 근대 시대 = 41
1.5.1. 외교, 정치 분야의 통역 = 41
1.5.2. 회의 통역의 시초 = 42
1.6. 결론 = 47
제2장 통역의 개념, 기술, 방식 = 54
2.1. 도입 = 54
2.2. 언어간 그리고 이(異)문화간 의사소통 모델 = 58
2.3. 통역 = 60
2.4. 통역 기술 = 62
2.4.1. 양방향 통역 = 62
2.4.2. 순차 통역 = 64
2.4.3. 동시 통역 = 65
2.5. 방식 = 67
2.5.1. 국제회의 통역 = 67
2.5.2. 법정 통역 = 68
2.5.3. 연락 통역 = 69
2.5.4. 사회 통역 = 69
2.6. 결론 = 70
제3장 양방향 통역 : 그 특징과 의사소통적 상황 및 방식 = 77
3.1. 도입 = 77
3.2. 양방향 통역의 구체적인 특징 = 78
3.2.1. 통역사와 연사들 간의 직접적인 만남과 공간 공유 = 78
3.2.1.1. 통역사의 가시성 = 79
3.2.1.2. 1인칭으로 통역할 것인가, 3인칭으로 통역할 것인가 = 80
3.2.1.3. 연사에게 질문할 수 있는 가능성 = 81
3.2.2. 양방향성 = 82
3.2.3. 다양한 상황적 맥락 = 82
3.2.4. 예측 불가능성과 주제의 다양성 = 82
3.2.5. 노트 테이킹 : 불가능한 상황에서부터 권장하고 싶지 않은 상황까지 = 83
3.2.6. 대화의 자동화 = 83
3.2.7. 자연스런 언어 = 84
3.2.8. 언어의 다양한 스타일과 어역 = 84
3.2.9. 연사간 문화적 차이 = 85
3.3. 양방향 통역에서의 의사소통 상황 = 85
3.4. 양방향 통역의 방식 = 88
3.4.1. 연락 통역 = 88
3.4.1.1. 무역 분야 = 88
3.4.1.2. 관광 분야 = 88
3.4.1.3. 국내 분야 : 소유주 모임 = 88
3.4.1.4. 전문 분야 = 89
3.4.2. 사회 통역 = 89
3.5. 결론 = 90
제4장 양방향 통역의 이론적 토대 = 94
4.1. 언어간 중재의 이론적 근거 = 94
4.2. 통역의 이론적 근거 = 96
4.3. 양방향 통역과 양방향 통역의 방식에 관한 연구의 관점 = 98
4.4. 양방향 통역의 방법론 = 100
제5장 양방향 통역 교육에 적합한 노력 모델 = 111
5.1. 도입 = 111
5.2. 해당 노력에 따른 통역 전 단계의 연습 = 113
5.2.1. 듣기와 분석하기 노력 = 113
5.2.2. 기억 노력 = 121
5.2.3. 노트 테이킹 노력 = 124
5.2.4. 재구성 노력 = 129
5.2.5. 양방향 노력 = 134
5.2.6. 이문화 노력 = 138
5.3. 결론 = 139
제6장 양방향 통역의 구체적인 교수법 = 144
6.1. 도입 = 144
6.2. 일반 목표 = 146
6.2.1. 양방향 통역 기술의 전문적 측면에 대한 인식 = 146
6.2.2. 양방향 통역 교수법 원칙 체득하기(asimilar) = 146
6.2.3.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식에서 양방향 통역 기술 통달하기 = 147
6.3. 목표에 따른 다양한 활동 = 147
6.4. 결론 = 153
부록 1 양방향 통역에 필요한 관용적ㆍ관례적 표현 : 대화 표현의 자동화 = 155
부록 2 양방향 통역의 일반적인 교육적 틀 : 그라나다 통역번역대학교 학위 연구 계획 = 191
참고문헌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