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양방향 통역 입문

양방향 통역 입문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ollados Ais, Angela Fernandez Snachez, Maria Manuela, 공저 한원덕, 역 김상미, 역
서명 / 저자사항
양방향 통역 입문 / Angela Collados Ais, Maria Manuela Fernandez Sanchez [공]지음 ; 한원덕, 김상미 [공]옮김
발행사항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7  
형태사항
211 p. ; 23 cm
원표제
Manual de interpretacion bilateral.
ISBN
9788974644437
일반주기
부록: '1. 양방향 통역에 필요한 관용적관례적 표현 : 대화 표현의 자동화, 2. 양방향 통역의 일반적인 교육적 틀 : 그라나다 통역번역대학교 학위 연구 계획' 수록  
서지주기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일반주제명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000 01164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394885
005 20100915055346
007 ta
008 070418s2007 ulk b AU 000c kor
020 ▼a 9788974644437 ▼g 93770 : ▼c \12,000
035 ▼a (KERIS)BIB000010874661
040 ▼a 211032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a spa ▼h spa
082 0 4 ▼a 418.02 ▼2 22
090 ▼a 418.02 ▼b 2007a1
100 1 ▼a Collados Ais, Angela
245 1 0 ▼a 양방향 통역 입문 / ▼d Angela Collados Ais, ▼e Maria Manuela Fernandez Sanchez [공]지음 ; ▼e 한원덕, ▼e 김상미 [공]옮김
246 1 9 ▼a Manual de interpretacion bilateral.
260 ▼a 서울 : ▼b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c 2007
300 ▼a 211 p. ; ▼c 23 cm
500 ▼a 부록: '1. 양방향 통역에 필요한 관용적관례적 표현 : 대화 표현의 자동화, 2. 양방향 통역의 일반적인 교육적 틀 : 그라나다 통역번역대학교 학위 연구 계획' 수록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책은 2005학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두뇌한국 BK21 사업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650 0 ▼a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700 1 ▼a Fernandez Snachez, Maria Manuela, ▼e 공저
700 1 ▼a 한원덕, ▼e
700 1 ▼a 김상미,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8.02 2007a1 등록번호 1512420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양방향통역은 다문화 교류가 발달된 선진 여러 나라에서 이미 제도화되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풍부한 실제 통역경험과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집필된 본서는 국내의 통역연구가와 교육자 학습자 모두에게 양방향통역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하고 실질적인 매뉴얼이 되어준다.

순차통역과 동시통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통역의 이해와 연구의 지평을 양방향통역 또는 대화통역으로 까지 확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원덕(옮긴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스페인어과 졸업 스페인 국립 마드리드 대학교 응용언어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스페인어과 주임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센터 센터장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부원장 2013 박근혜 대통령 취임식 동시통역 2011 핵안보정상회의 칠레 공식 통역 2010 G20 정상회의 동시통역(비즈니스 서밋) 1995-2012 스페인어권 18개국 정상통역 한-콜롬비아 FTA 협정 번역문 감수위원 한-페루 FTA 협정 번역문 감수위원 국가고시 출제위원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재 스페인어판 집필위원 네이버 스페인어 사전 감수위원 논문 “스페인어 형사법정통역인 교육자료 분석과 고찰” “스페인어-한국어 동시통역 학습전략 고찰” “한국어 스페인어 동시통역 환경에서의 스페인어 교육” “스페인어 순차통역 정보저장과 재생산에 관한 연구” 저서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재 스페인어판 말하기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재 스페인어판 쓰기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재 스페인어판 읽기 국립국어원 한국어 교재 스페인어판 듣기 EBS 스페인어 회화 고등학교 스페인어 독해 II 역서 양방향통역입문 독도의 진실 희망의 얼굴 온라인 콘텐츠 네이버 글로벌회화(스페인어)

김상미(옮긴이)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통역 업무 : 통역의 역사 = 13
 1.1. 일반 개요 = 13
 1.2. 고대 시대 = 16
 1.3. 중세 시대 = 20
  1.3.1. 이베리아 반도 번역학교의 통역 기술 = 20
  1.3.2. 현대 외교 통역의 기원 : 통역사 = 23
 1.4. 현대 = 25
  1.4.1. 발견의 시대 = 25
   1.4.1.1. 15세기 포르투갈인들의 여행 = 27
   1.4.1.2. 신 세계의 발견과 군사적 정복 = 31
   1.4.1.3. 신 세계의 영적 정복 = 39
  1.4.2. 공인 번역사와 법률 통역사의 기원 = 40
 1.5. 근대 시대 = 41
  1.5.1. 외교, 정치 분야의 통역 = 41
  1.5.2. 회의 통역의 시초 = 42
 1.6. 결론 = 47
제2장 통역의 개념, 기술, 방식 = 54
 2.1. 도입 = 54
 2.2. 언어간 그리고 이(異)문화간 의사소통 모델 = 58
 2.3. 통역 = 60
 2.4. 통역 기술 = 62
  2.4.1. 양방향 통역 = 62
  2.4.2. 순차 통역 = 64
  2.4.3. 동시 통역 = 65
 2.5. 방식 = 67
  2.5.1. 국제회의 통역 = 67
  2.5.2. 법정 통역 = 68
  2.5.3. 연락 통역 = 69
  2.5.4. 사회 통역 = 69
 2.6. 결론 = 70
제3장 양방향 통역 : 그 특징과 의사소통적 상황 및 방식 = 77
 3.1. 도입 = 77
 3.2. 양방향 통역의 구체적인 특징 = 78
  3.2.1. 통역사와 연사들 간의 직접적인 만남과 공간 공유 = 78
   3.2.1.1. 통역사의 가시성 = 79
   3.2.1.2. 1인칭으로 통역할 것인가, 3인칭으로 통역할 것인가 = 80
   3.2.1.3. 연사에게 질문할 수 있는 가능성 = 81
  3.2.2. 양방향성 = 82
  3.2.3. 다양한 상황적 맥락 = 82
  3.2.4. 예측 불가능성과 주제의 다양성 = 82
  3.2.5. 노트 테이킹 : 불가능한 상황에서부터 권장하고 싶지 않은 상황까지 = 83
  3.2.6. 대화의 자동화 = 83
  3.2.7. 자연스런 언어 = 84
  3.2.8. 언어의 다양한 스타일과 어역 = 84
  3.2.9. 연사간 문화적 차이 = 85
 3.3. 양방향 통역에서의 의사소통 상황 = 85
 3.4. 양방향 통역의 방식 = 88
  3.4.1. 연락 통역 = 88
   3.4.1.1. 무역 분야 = 88
   3.4.1.2. 관광 분야 = 88
   3.4.1.3. 국내 분야 : 소유주 모임 = 88
   3.4.1.4. 전문 분야 = 89
  3.4.2. 사회 통역 = 89
 3.5. 결론 = 90
제4장 양방향 통역의 이론적 토대 = 94
 4.1. 언어간 중재의 이론적 근거 = 94
 4.2. 통역의 이론적 근거 = 96
 4.3. 양방향 통역과 양방향 통역의 방식에 관한 연구의 관점 = 98
 4.4. 양방향 통역의 방법론 = 100
제5장 양방향 통역 교육에 적합한 노력 모델 = 111
 5.1. 도입 = 111
 5.2. 해당 노력에 따른 통역 전 단계의 연습 = 113
  5.2.1. 듣기와 분석하기 노력 = 113
  5.2.2. 기억 노력 = 121
  5.2.3. 노트 테이킹 노력 = 124
  5.2.4. 재구성 노력 = 129
  5.2.5. 양방향 노력 = 134
  5.2.6. 이문화 노력 = 138
 5.3. 결론 = 139
제6장 양방향 통역의 구체적인 교수법 = 144
 6.1. 도입 = 144
 6.2. 일반 목표 = 146
  6.2.1. 양방향 통역 기술의 전문적 측면에 대한 인식 = 146
  6.2.2. 양방향 통역 교수법 원칙 체득하기(asimilar) = 146
  6.2.3.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식에서 양방향 통역 기술 통달하기 = 147
 6.3. 목표에 따른 다양한 활동 = 147
 6.4. 결론 = 153
부록 1 양방향 통역에 필요한 관용적ㆍ관례적 표현 : 대화 표현의 자동화 = 155
부록 2 양방향 통역의 일반적인 교육적 틀 : 그라나다 통역번역대학교 학위 연구 계획 = 191
참고문헌 = 20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