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용촉진훈련의 취업기여도 연구

고용촉진훈련의 취업기여도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재량
단체저자명
한국노동연구원
서명 / 저자사항
고용촉진훈련의 취업기여도 연구 / 남재량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국노동연구원,   2004.  
형태사항
iv, 104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정책연구 ;2004-10.
ISBN
8973564854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88-90
000 00000cam c2200205 k 4500
001 000045392869
005 20230215111737
007 ta
008 040908s2004 ulka b 000c kor
020 ▼a 8973564854 ▼g 93330
035 ▼a (KERIS)BIB000009482538
040 ▼a 247011 ▼d 247011 ▼d 211009 ▼c 211009
082 0 4 ▼a 331.2592 ▼2 22
090 ▼a 331.2592 ▼b 2004
100 1 ▼a 남재량 ▼0 AUTH(211009)85688
245 1 0 ▼a 고용촉진훈련의 취업기여도 연구 / ▼d 남재량 지음.
260 ▼a 서울 : ▼b 한국노동연구원, ▼c 2004.
300 ▼a iv, 104 p. : ▼b 삽도 ; ▼c 24 cm.
490 1 0 ▼a 정책연구 ; ▼v 2004-10.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p. 88-90
710 ▼a 한국노동연구원 ▼0 AUTH(211009)37715
830 0 ▼a 정책연구(한국노동연구원) ; ▼v 2004-10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31.2592 2004 등록번호 1114381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남재량(지은이)

<고용촉진훈련의 취업기여도 연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요약 = i
제1장 서론 = 1
제2장 고용촉진훈련의 연혁과 훈련 대상의 변화 = 4
제3장 고용촉진훈련의 실시 현황 및 문제점 = 8
 제1절 훈련 실시 현황 = 8
 제2절 고용촉진훈련의 문제점 = 15
  1. 전체적인 훈련 성과의 문제 = 15
  2. 세부집단별 훈련 성과의 문제 = 18
제4장 훈련 성과 평가를 위한 이론 배경과 실증모형 및 기존연구 = 24
 제1절 이론적 배경 = 24
  1. 인적자본이론 = 24
  2. 신호발송과 선별이론 및 인적자본이론의 반박 = 26
  3. 분절노동시장이론 = 27
  4. 종합 = 28
 제2절 실증분석 모형 = 28
  1. 훈련 성과의 평가와 문제점 = 29
  2. 실험적 평가방법 = 30 
  3. 비실험적 평가방법 = 31
  4. 재취업 해저드 모형 = 34
  5. 취업 여부 결정요인 분석모형 : 이항 로짓모형 = 35
  6. 1계 마코프 모형 = 36
 제3절 기존 연구 = 36
제5장 훈련 성과 분석 : 타훈련들과 비교분석 = 39
 제1절 자료(data) : HRD-Net과 고용보험 DB 자료의 결합 = 39
 제2절 기초통계 = 42
 제3절 실증분석(Ⅰ) : 고용촉진훈련과 타훈련의 성과 비교 = 44
  1. 실증분석 방향 = 44
  2. 훈련의 전반적인 성과 비교분석 = 45
  3. 세부집단별 비교분석 = 47
 제4절 실증분석(Ⅱ) : 해저드 모형 = 51
제6장 훈련의 성과 분석 : 훈련 참가자 추적조사를 통한 실증분석 = 56
 제1절 추적조사 개관 = 56
 제2절 기초통계 = 59
  1. 인적 특성 = 59
  2. 훈련의 성과 = 61
  3. 훈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64
 제3절 실증분석(Ⅰ) = 71
  1. Markov 연쇄 모형 = 71
  2. 이행확률 분석 = 72
 제4절 실증분석(Ⅱ) : 훈련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5
  1. 취업 여부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6
  2. 자격취득 여부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8
  3. 수료 여부 결정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80
  4. 종합 = 82
제7장 결론 = 84
참고문헌 = 88
부록 : 고용촉진훈련 참가자 설문조사 = 91


관련분야 신착자료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