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 = i
제1장 서론 = 1
제2장 고용촉진훈련의 연혁과 훈련 대상의 변화 = 4
제3장 고용촉진훈련의 실시 현황 및 문제점 = 8
제1절 훈련 실시 현황 = 8
제2절 고용촉진훈련의 문제점 = 15
1. 전체적인 훈련 성과의 문제 = 15
2. 세부집단별 훈련 성과의 문제 = 18
제4장 훈련 성과 평가를 위한 이론 배경과 실증모형 및 기존연구 = 24
제1절 이론적 배경 = 24
1. 인적자본이론 = 24
2. 신호발송과 선별이론 및 인적자본이론의 반박 = 26
3. 분절노동시장이론 = 27
4. 종합 = 28
제2절 실증분석 모형 = 28
1. 훈련 성과의 평가와 문제점 = 29
2. 실험적 평가방법 = 30
3. 비실험적 평가방법 = 31
4. 재취업 해저드 모형 = 34
5. 취업 여부 결정요인 분석모형 : 이항 로짓모형 = 35
6. 1계 마코프 모형 = 36
제3절 기존 연구 = 36
제5장 훈련 성과 분석 : 타훈련들과 비교분석 = 39
제1절 자료(data) : HRD-Net과 고용보험 DB 자료의 결합 = 39
제2절 기초통계 = 42
제3절 실증분석(Ⅰ) : 고용촉진훈련과 타훈련의 성과 비교 = 44
1. 실증분석 방향 = 44
2. 훈련의 전반적인 성과 비교분석 = 45
3. 세부집단별 비교분석 = 47
제4절 실증분석(Ⅱ) : 해저드 모형 = 51
제6장 훈련의 성과 분석 : 훈련 참가자 추적조사를 통한 실증분석 = 56
제1절 추적조사 개관 = 56
제2절 기초통계 = 59
1. 인적 특성 = 59
2. 훈련의 성과 = 61
3. 훈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64
제3절 실증분석(Ⅰ) = 71
1. Markov 연쇄 모형 = 71
2. 이행확률 분석 = 72
제4절 실증분석(Ⅱ) : 훈련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5
1. 취업 여부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6
2. 자격취득 여부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78
3. 수료 여부 결정에 대한 이항 로짓분석 = 80
4. 종합 = 82
제7장 결론 = 84
참고문헌 = 88
부록 : 고용촉진훈련 참가자 설문조사 =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