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의 이해
1. 교육의 개념 = 13
1) 교육의 어원 = 13
2) 교육에 대한 정의 = 14
2. 교육의 필요성 = 17
1) 프랑스의 야생 소년 = 18
2) 인도의 늑대 소녀 = 19
3.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 20
1) 교육의 가능성 = 20
2) 교육의 한계성 = 22
4. 교육의 성립과 형태 = 26
1) 교육성립의 기본 요소 = 26
2) 교육의 형태 = 29
제2장 교육의 역사적 기초
1. 한국교육사 = 35
1) 삼국시대 교육 = 35
2) 고려시대 교육 = 37
3) 조선시대 교육 = 40
2. 서양교육사 = 42
1) 그리스의 교육 = 42
2) 로마의 교육 = 46
3) 중세의 교육 = 47
4) 근대의 교육 = 52
제3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1. 철학과 교육철학 = 63
2. 교육철학의 기능 = 65
1) 분석적 기능 = 65
2) 평가적 기능 = 66
3) 사변적 기능 = 66
4) 종합적 기능 = 67
3. 전통적 교육철학 = 68
1) 관념론적 교육철학 = 68
2) 실재론적 교육철학 = 69
3) 실용주의적 교육철학 = 70
4. 현대의 교육철학 = 71
1) 진보주의 교육철학 = 71
2) 본질주의 교육철학 = 75
3) 항존주의 교육철학 = 77
4) 재건주의 교육철학 = 79
5) 실존주의 교육철학 = 81
제4장 교육의 심리적 기초
1. 교육심리학의 개념 = 89
2. 인간발달과 교육 = 90
1) 발달의 정의 = 90
2) 발달의 원리 = 91
3) 발달의 이론 = 93
3. 학습자의 개인차 = 112
1)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 112
2)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 115
4. 생활지도 = 121
1) 생활지도의 정의 = 121
2) 생활지도의 필요성 = 122
3) 생활지도의 목표 = 123
4) 생활지도의 원리 = 124
5) 생활지도의 영역 및 활동 = 125
제5장 교육의 사회적 기초
1. 교육사회학의 개념 = 133
2. 교육사회학의 이론 = 134
1) 기능이론 = 135
2) 갈등이론 = 135
3. 사회화와 교육 = 138
1) 사회화와 교육의 관계 = 138
2) 사회화의 대행자 = 139
3) 사회화의 방법 = 140
4) 교육의 사회적 기능 = 142
4. 사회계층과 교육 = 146
1) 사회계층의 개념과 결정요인 = 146
2) 사회계층의 특징 = 147
3) 사회계층의 형태 = 147
4) 사회계층과 교육과의 관계 = 148
제6장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개념 = 153
1) 교육과정의 어원적 의미 = 153
2) 교육과정의 개념 = 153
2. 교육과정의 유형 = 156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156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158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159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161
3. 교육과정의 구성 = 163
1) 교육목표의 설정 = 163
2) 교육내용의 선정 = 164
3) 교육내용의 조직 = 167
4) 단원의 계획 = 168
제7장 수업과 교육공학
1. 수업의 개념 = 175
2. 교수와 학습 = 176
3. 교수체제모형 = 178
1) 글레이저의 교수모형 = 178
2) 캐롤의 교수모형 = 181
3) 브루너의 교수이론 = 184
4) 가네와 브릭스의 교수모형 = 188
5)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 190
4. 교육공학 = 193
1) 교육공학의 의미 = 193
2) 교육공학의 영역 = 194
3) 교육공학의 필요성 = 197
제8장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개념 = 203
1) 검사·측정·사정 = 204
2) 평가의 기능 = 205
2. 교육평가의 유형 = 207
1) 교수·학습과정에 따른 분류 = 208
2)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212
3) 행동목표에 따른 분류 = 216
3. 평가도구의 기준 = 217
1) 타당도 = 217
2) 신뢰도 = 219
3) 객관도 = 221
4) 실용도 = 222
4. 교육평가의 실제 = 222
1) 이원분류표 작성 = 223
2) 인지적 평가 = 225
3) 정의적 평가 = 232
제9장 교육행정과 교육제도
1. 교육행정의 개념 = 241
1) 수단적 봉사활동 = 241
2) 지원체제의 효율적 운용 = 242
3) 협동적 집단행동 = 242
2. 교육행정의 영역 = 243
3. 교육행정의 원리 = 245
1) 법제적 측면 = 245
2) 운영적 측면 = 247
4. 교육행정의 조직 = 249
1) 중앙교육행정조직 = 249
2) 지방교육행정조직 = 251
5. 교육제도 = 253
1) 학교제도 = 253
2) 기간학제 = 255
3) 취학전 교육 = 257
4) 초등교육 = 258
5) 중등교육 = 259
6) 고등교육 = 261
제10장 교직과 교사
1. 교직의 의미 = 265
1) 교직의 개념 = 267
2) 교직과 교직관 = 270
2. 교사의 역할 = 270
1) 교사의 역할 분류 = 270
2) 교사의 기본적 역할 = 272
3) 교사가 갖추어야 할 특성 = 273
3. 교사양성교육 = 278
1) 교사양성교육의 필요성 = 278
2) 교사양성제도 = 279
4. 교원의 윤리 = 283
1) 사도헌장 = 283
2) 사도강령 = 284
참고문헌 = 290
사항색인 = 297
인명색인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