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49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45392182 | |
005 | 20100806094007 | |
007 | ta | |
008 | 071008s2007 ulkad 001c kor | |
020 | ▼a 9788987671772 ▼g 03340 | |
035 | ▼a (KERIS)BIB000011043477 | |
040 | ▼d 21102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20.12 ▼2 22 |
090 | ▼a 320.12 ▼b 2007z1 | |
100 | 1 | ▼a Flint, Colin ▼q (Colin Robert) ▼0 AUTH(211009)2394 |
245 | 1 0 | ▼a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 ▼d 콜린 플린트 지음; ▼e 한국지정학연구회 옮김. |
246 | 1 9 | ▼a Introduction to geopolitics |
260 | ▼a 서울 : ▼b 길 , ▼c 2007. | |
300 | ▼a 351 p. : ▼b 삽도, 도표 ; ▼c 23 cm. | |
500 | ▼a 공역자: 김명섭, 김용복, 박상남, 오경택, 이성형, 이혜정, 장원석, 정하용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Geopolitics ▼v Textbooks. |
710 | ▼a 한국지정학연구회 , ▼e 역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12 2007z1 | 등록번호 11143800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2-06-17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12 2007z1 | 등록번호 1114380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리노이 대학 지리학과 부교수인 콜린 프린트 교수가 7년간 펜 주립대학교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가르쳤던 수업의 결과물들을 묶어 지정학을 소개하고 있는 책. 현재의 국제정세와 사건들을 보다 큰 그림 속에 위치지어 큰 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정학이라는 이론적인 틀을 제공하고 있다.
지정학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도무여 "실제 세계(Real-world)의 사건과 전개과정을 이론적 시각과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지정학이 지정학 행위자와 구조 사이의 상호작용임을 이해하도록 도우며 정치와 공간의 밀접한 연계로 현대지리학을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이 책에는 20세기와 21세기에 일어난 다양한 국제 문제가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20세기 세계사를 ‘지정학적’ 사고로 읽는다는 의미도 갖는다. 코소보 사태, 카슈미르 영토분쟁, 한국전쟁 등등이 사례들로 나온다.
이 책은 비록 저자가 대학 강의를 통해 얻은 결과물을 펴낸 것이지만, 21세기 들어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는 ‘지정학 입문서’로서는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즉 일반 교양인들이 읽어도 그 내용을 십분이해할 수 있다. 특히나 우리에게 지정학적 사고는 반드시 요구된다고 본다.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냉전적 분단체제가 아직도 우리를 둘러싼 한반도에서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남한의 국제관계는 어떤 한 요소로만 보기에는 분석틀이 너무 단순하며, ‘지정학적’ 사고 틀이 요구되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지금껏 우리가 미국이나 유럽이 그려준 세계지도를 통해 ‘세계’를 인식해왔다면, 이제 21세기 지정학은 ‘우리’의 눈으로 세계를 볼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저자가 책 말미에 쓴 것은 시사하는 바 크다. 즉 “예를 들어 서구의 정부들에게, 이란이나 북한 정부의 결정들은 비합리적이고 불필요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지정학 행위자로서 이란이나 북한을 지구적ㆍ지역적, 그리고 국가간 경쟁의 구조의 틀에서 이해하는 것은 당신의 몫이다. 전직 미 국방부장관 맥나마라가 그의 일생의 경험을 다룬 「전쟁의 불확실성」이란 다큐멘터리 필름에서 지적하듯이, 외교정책의 가장 중요한 교훈은 적의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다. 다른 지정학 행위자들이 처한 구조적 맥락은 그들의 공포와 관심, 그리고 목적을 이해하는 열쇠이다.” 그것은 또한 궁극적으로 ‘평화’를 지향함은 물론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옮긴이의 말 21세기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 지정학 = 5 서문 이 책의 내용은 무엇이며, 독서 후에는 무엇을 얻게 되는가 = 15 제1장 지정학의 이해를 위한 기본틀 = 19 지정학: 인문지리학의 하나 = 19 장소와 정치학 = 24 규모의 정치학 = 35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 38 지정학 약사 = 44 지정학적 행위자들 : 지정학 만들기와 지정학 하기 = 56 구조와 행위자 : 가능성, 제약, 그리고 지정학적 선택 = 58 지정학, 권력, 그리고 지리학 = 60 더 읽을 거리 = 64 제2장 지정학적 맥락 속의 세계 = 67 지구적 지정학 구조를 정의하기 : 모델스키의 세계 리더십 모델을 이용하고 질문하기 = 69 세계 지도국의 등장과 하락의 지정학 : 현단계 지정학의 맥락? = 81 유산, 변화, 세계 지도력 : 모델스키 모델의 피드백 시스템 = 91 모델스키 모델에 대한 찬반양론 = 93 요약 및 계속 읽기 = 98 더 읽을 거리 = 99 제3장 지정학 코드 : 자신의 지정학적 견해를 규정하는 행위자 = 101 지정학 코드 = 102 지정학 코드와 세계 리더십의 동학 = 115 세계 지도국에 대한 도전의 지정학 코드 = 124 지정학 코드로서 테러와의 전쟁 = 127 요약 및 계속 읽기 = 133 더 읽을 거리 = 134 제4장 지정학적 코드의 표상 = 137 전쟁! 무엇을 위한 것인가 = 138 문화적 전쟁 = 141 오리엔탈리즘 : 지정학적 세계관의 기초 = 154 사례 4.1 : 1991년 걸프전을 정당화하기 위한 사담 후세인의 아랍 민족주의와 이슬람의 활용 = 160 사례 4.2 :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한 미국의 표상화 = 168 요약 및 계속 읽기 = 171 더 읽을 거리 = 173 제5장 국민 정체성의 지정학 = 175 (오용된) 용어 개념 정의 = 175 국민주의 지정학1 : 국민 정체성의 형성 = 177 (극단적 형태의) 국민주의 지정학2: '민족청소'의 과정 = 181 사례 5.1 : 체체니아 = 186 젠더, 국민주의 그리고 지정학 코드 = 197 국민주의 신화의 유형과 지정학 코드 = 207 요약 및 계속 읽기 = 212 더 읽을 거리 = 213 제6장 경계의 지정학 : 세계 정치지도의 흔들리는 기반들 = 217 정의 = 218 지정학 코드와 경계갈등 = 222 사례 6.1: 이스라엘-팔레스타인 = 228 평화적인 경계 만들기의 지정학 = 241 사례 6.2: 지구 지정학 코드와 남한-북한의 경계 확립 = 245 경계와 지정학 코드 = 252 요약 및 계속 읽기 = 254 더 읽을 거리 = 255 제7장 지정학적 메타지리: 테러리스트 네트워크와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 = 257 지정학적 세계화 : 새로운 메타지리 = 258 테러리즘의 정의 = 264 현대 테러리즘의 역사 : 테러리즘의 물결과 그것들의 지리 = 272 테러리즘의 메타지리 = 281 사례 7.1 : 알카에다, 그 역사와 메타지리 = 286 부조화를 이루는 지리? = 294 세계 리더십과 테러와의 전쟁 = 298 요약 및 계속 읽기 = 302 더 읽을 거리 = 303 제8장 무질서한 지정학 : 행위자와 구조들 = 305 나는 누구이며, 누구와 왜 싸우고 있는가 = 306 사례 8.1: 잠무와 카슈미르의 끝없는 갈등 = 318 무질서와 구조 = 336 결론과 서론 = 339 더 읽을 거리 = 343 찾아보기 = 344 옮긴이 소개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