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서문 = 4
제1장 공자의 '온고지신'의 교사관 = 11
Ⅰ. 스승의 자질 = 11
Ⅱ. 공자의 교육적 삶 = 12
Ⅲ. 온고지신의 참된 의미 = 18
Ⅳ. 온고지신의 교사 = 24
참고문헌 = 32
제2장 맹자의 '부동심'의 교육적 의미 = 37
Ⅰ. 성숙한 인격 = 37
Ⅱ. 부동심의 의미 = 39
Ⅲ. 부동심의 사람 : 대장부 = 44
Ⅳ. 부동심의 교육방안 = 48
Ⅴ. 인성교육 = 52
참고문헌 = 54
제3장 순자의 군자관과 그 교육방안 = 57
Ⅰ. 큰사람 = 57
Ⅱ. 군자관 = 59
Ⅲ. 군자교육의 방안 = 68
Ⅳ. 교육과 학문의 길 = 78
참고문헌 = 80
제4장 왕양명의 아동교육관 = 83
Ⅰ. 교육적 법고창신 = 83
Ⅱ. 학문적 삶 = 85
Ⅲ. 아동관과 교육이념 = 93
Ⅳ. 아동교육의 길 = 104
Ⅴ. 교육적 함의 = 111
참고문헌 = 114
제5장 원효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 119
Ⅰ. 교육적 염원 = 119
Ⅱ. 원효의 삶과 무애행 = 122
Ⅲ. 무애행의 정당화 논리 = 129
Ⅳ. 무애행의 교육적 함의 = 137
Ⅴ. 교육적 시사점 = 143
참고문헌 = 145
제6장 퇴계의 삶에서 본 교사상 = 149
Ⅰ. 존경받는 선생 = 149
Ⅱ. 생애 = 151
Ⅲ. 교육자로서 퇴계 = 157
Ⅳ. 교학상장 = 172
참고문헌 = 174
제7장 율곡의 '소아수지'에 반영된 아동교육관 = 179
Ⅰ. 율곡과 「소아수지」 = 179
Ⅱ. 「소아수지」의 내용 구성 = 181
Ⅲ. 아동관의 인성론적 토대 = 184
Ⅳ. 기질교정의 아동교육관 = 192
Ⅴ. 아동교육에의 실천적 지침 = 198
참고문헌 = 200
제8장 아정의 아동관과 그 교육방안 = 205
Ⅰ. 아정의 사람됨 = 205
Ⅱ. 아동관과 교육이념 = 207
Ⅲ. 아동교육의 방안 = 213
Ⅳ. 아정의 아동교육관의 검토 = 221
참고문헌 = 224
제9장 다산의 목민정신과 그 교육방안 = 227
Ⅰ. 교육의 내재적 가치 = 227
Ⅱ. 목민철학의 구조 = 229
Ⅲ. 목민교육의 방안 = 244
Ⅳ. 교육관의 특색 및 장·단점 = 259
참고문헌 = 262
제10장 추사의 '실사구시설'의 교육철학적 논의 = 267
Ⅰ. 교육적 용어의 명료화 = 267
Ⅱ. 추사의 생애 = 268
Ⅲ. 「실사구시설」의 구성논리 = 272
Ⅳ. 실사구시의 교육철학적 검토 = 283
Ⅴ. 백년대계로서 교육 = 291
참고문헌 = 293
제11장 소파의 아동교육관의 교육철학적 검토 = 299
Ⅰ. 아동교육의 현주소 = 299
Ⅱ. 생애와 활동 = 301
Ⅲ. 아동 이해 = 308
Ⅳ. 아동교육관 = 317
Ⅴ. 독자적 교육 패러다임 = 325
참고문헌 = 328
찾아보기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