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호흡기의 해부 및 생리(Respiratory Anatomy and Physiology) = 1
제1장 호흡기의 해부 생리(Anatomy and Physiology of Respiratory System) / 김경옥 = 3
1. 상기도(upper airway) = 4
1) 비강(鼻腔, nasal cavity) = 4
2) 부비동(副鼻洞, paranasal sinus) = 7
3) 인두(larynx) = 7
4) 후두(喉頭, larynx) = 8
2. 하기도(lower airway) = 10
1) 기관(氣管, trachea) = 10
2) 기관지와 폐포(bronchi and alveoli) = 10
3) 폐(肺, lung) = 12
제2장 소아호흡기의 해부생리학적 특징(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espiratory System) / 김희수 = 15
1. 성인과 어린이의 해부학적 차이 = 16
2. 호흡의 특징 = 20
3. 신생아의 동맥혈 가스분석 = 22
제3장 폐환기, 폐순환 및 환기/관류비(Ventilation, Pulmonary Circulation and Ventilation/Perfusion Ratio) / 김종성 = 25
1. 폐환기 = 26
1) 폐용적(volume)과 폐용량(capacity) = 27
2) 탄성(elastic recoil), 유순도(complianco), 저항(resistance) 및 시간 상수(time constant) = 28
3) 호흡양상(breathing pattern) = 38
4) 폐포 환기(alveolar ventilation, $$V_A$$ = 39
5) 사강(dead space) = 41
6) 환기의 분포 = 43
2. 폐순환 = 45
1) 출생 후 폐순환의 적응 = 45
2) 폐순환과 전신 순환의 차이 = 45
3) 폐혈류의 분포 = 48
4) 저산소성 폐혈관 수축(HPV) = 50
3. 환기/관류비 = 53
1) 불균등한 폐환기 분포 = 53
2) 불균등한 폐혈류 분포 = 56
3) 환기/관류비($$\dot V$$/$$\dot Q$$) = 56
4) 불균등한 환기/관류비에 대한 생리적 반응 = 58
제4장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Transport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 오아영 = 63
1. 산소의 운반 = 64
1) 폐에서의 산소섭취 = 64
2) 혈액 내에서의 산소의 운반 = 66
2. 이산화탄소(CO₂)의 운반 = 70
제5장 폐에서의 수분 이동과 Starling의 공식(Fluid Transfer in the Lung and Starling's Equation) / 김성덕 = 73
1. Starling 공식 = 74
2. 수분이동에 관여하는 Starling 공식의 주요 인자들 = 75
1) 폐모세혈관압(Pc) = 75
2) 폐간질내 수압(Pt) = 76
3) 혈장교질 삼투압($$π_c$$) = 76
4) 간질교질 삼투압($$π_t$$) = 78
5) 여과계수(Kf) = 78
3. 폐에서의 수분이동 = 78
4. 항수종 안전인자 = 81
제6장 산 염기 평형(Acid Base Balance) / 박재현 = 85
1. 산 염기 평형의 기초 물리화학 = 86
2. 혈장내 중탄산(HCO₃-) 완충작용 = 88
3. 전혈(whole blood)의 완충작용 = 90
4. 동맥혈 가스분석 소견의 판정 = 91
1) 환기상태(호흡성 산증 혹은 알칼리증) 판정 = 91
2) 대사성 산증 혹은 알칼리증 판정 = 93
3) 염기과다(BE) 혹은 염기결손(BD)의 계산 = 94
4) 저산소 혈증(hypoxemia)의 판정 = 95
5) 조직 저산소증(tissue hypoxia)의 판정 = 96
5. 혈장 음이온 결손(anion gap)과 대사성 산증 = 96
6. 대사성 알칼리증 = 99
7. 호흡성 산증 = 100
8. 호흡성 알칼리증 = 102
9. 증례 토론 = 103
제7장 저산소성 폐혈관 수축(Hypoxic Pulmonary Vasoconstriction) / 김성덕 = 107
1. 저산소성 폐혈관 수축(HPV) = 108
2. HPV를 변화시키는 요소들 = 112
3. 마취제가 HPV에 미치는 영향 = 113
4. HPV의 임상적 의의 = 114
Ⅱ. 기계적 환기법과 인공호흡기(Mechanical Ventilation and Ventilators) = 117
제8장 기계적 환기법의 종류 및 인공호흡기의 분류(Principles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lassification of Ventilators) / 김성덕 = 119
1. 인공호흡기의 작동 동력 = 120
2. 인공호흡기의 분류 = 120
1) 조절 변수(control variables)에 따른 분류 = 121
2) 호흡상 혹은 주기 변수(phase variables)에 따른 분류 = 121
3) 조건변수(conditional variables) = 124
3. 기계적 환기법 도중의 호흡 양상 = 124
4. 기계적 환기법의 환기 양상(ventilator mode) = 125
1) 기계적 조절 환기(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CMV) = 125
2) 보조/조절 환기법(assist/control ventilation, A/C) = 126
3) 기계적 보조환기(assistedmechanical ventilation, AMV) = 127
4) 간헐적 강제호흡법(IMV)과 동시성 간헐적 강제호흡법(SIMV) = 127
5) 지속적 기도 양압(continuous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 127
6) 압조절 환기법(pressure-controlled ventilation, PCV) = 129
7) 압지지 환기법(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 = 130
8) 양 지지형 환기법(volume support ventilation, VSV)과 양확정 압지지형 환기법(volume-assured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VAPSV) = 130
9) 강제적 분시 환기법(mandatory minute ventilation, MMV)과 압조절형 양조절 환기법(pressure-regulated volume control ventilation, PRVCV) = 131
10) 양수준압 보조 환기법(Bilevel pressure assist ventilation) = 131
11) 점진적 보조 환기법(proportional assist ventilation, PAV) = 131
12) 기도압 누출 환기법(airway pressure release ventilation, APRV) = 132
5. 기계적 환기법 시의 가스 유량과 압력파형 = 132
1) 유량, 압력 및 용적 파형간의 상관 관계 = 132
2) 흡식 유량 파형(inspiratory wave form)의 임상적 유용성 = 134
3) 흡기 : 호기율 (I:E ratio) = 134
6. 호흡회로의 압축 용적 = 136
7. 가습, 인공코 및 분무 = 137
1) 가습(humidification) 및 가습기(humidifier) = 137
2) 인공코(artificial nose) = 139
3) 분무(nebulization) 및 분무기(nebulizer) = 141
Ⅲ. 기계적 환기법의 생리적 영향, 적응증 및 합병증(Physiologic Effects,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Mechanical Ventilation) = 145
제9장 기계적 환기법의 생리적 영향(Physiologic Effects of Mechanical Ventilation) / 최덕환 = 147
1. 평균기도압에 미치는 영향 = 149
2. 폐계통에 미치는 영향 = 150
1) 션트(shunt) = 150
2) 환기(ventilation) = 152
3) 무기폐(atelectasis) = 154
4) 압손상(barotrauma) = 155
5) 인공호흡기유발 폐손상(ventilator-induced lung injury) = 155
6) 폐렴(pneumonia) = 156
7) 환기과다와 환기저하(hyperventilation and hypoventilation) = 156
8) 산소중독증(oxygen toxicity) = 157
3.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 157
1) 흉곽내압(intrathoracic pressure)의 상승 = 158
2) 폐혈관저항(pulmonary vascular resistance)의 상승 = 158
3) 좌심실 후부하의 감소 = 158
4. 기타 장기에 미치는 영향 = 158
1) 신장에 미치는 영향 = 158
2) 위장에 미치는 영향 = 159
3) 영양에 미치는 효과 = 159
4) 신경계통에 미치는 효과 = 159
5) 간과 내장에 미치는 영향 = 160
6) 기도에 미치는 영향 = 160
7) 수면에 미치는 영향 = 160
5. 인공호흡기 사용 시 문제점 = 160
1) 환자-호흡기 비동시성(asynchrony) = 160
2) 기계적 결함 = 161
제10장 기계적 환기법의 적응증과 합병증(부작용)(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of Mechanical Ventilation) / 임승운 = 165
1. 적응증 = 166
1) 인공호흡기의 초기 부착(initial setting) = 166
2) 기계적 환기법의 이탈(weaning) = 168
3) 산소화와 환기의 적응지표(indices of oxygenation and ventilation) = 174
2. 합병증(부작용) = 176
1) 기도손상(airway injury) = 176
2) 압손상(barotrauma) = 178
3) 산소중독증 = 178
4) 용적손상(volutrauma) = 178
5) 무기손상(atelectrauma) = 179
6) 생체손상(biotrauma) = 179
7) 심혈관계에 미치는 부작용 = 179
8) 기타 부작용 = 180
Ⅳ. 기계적 환기시의 각종 치료요법(Therapeutic Procedures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 185
제11장 산소요법과 산소중독증(Oxygen Therapy and Toxicity) / 김성덕 = 187
1. 산소요법 = 188
1) 산소화(oxygenation) = 188
2) 산소요법 = 191
3) 산소요법의 평가 = 196
2. 산소요법의 합병중과 산소중독중 = 198
1) 산소요법의 합병증 = 198
2) 산소중독증(oxygen toxicity) = 201
3) 산소중독에 대한 생체 효소계의 방어기전 = 204
제12장 흉부물리요법과 폐내 진동 환기법(IPV)(Chest Physiotherapy and Intrapulmonary Percussive Ventilation(IPV) / 김성덕 = 209
1. 흉부 물리요법 = 210
1) 흉부 물리요법의 목표, 종류 및 적응증 = 210
2) 체위성 거담법 = 210
3) 흉부타격법 = 216
4) 흉부진동법 = 217
5) 기침 유발과 분비물 흡인 = 217
2. 폐내진동 환기법(IPV) = 219
1) 기도폐쇄의 세 가지 원인 = 219
2) IPV의 임상적 효용성 = 219
3) IPV의 작용기전 = 221
4) IPV의 적응증 = 222
5) IPV의 작동 = 223
6) IPV 치료시 주의 사항 = 224
7) IPV의 장점 = 224
제13장 수액, 수혈 및 전해질 요법(Fluid, Transfusion and Electrolyte Therapy) / 도상환 = 227
1. 체액구성과 신기능 = 228
1) 체액구성 = 228
2) 신기능 = 229
2. 소아 저혈량증의 원인 = 229
3. 탈수의 진단 및 치료 = 230
4. 전해질 이상의 진단 및 치료 = 233
1) 대사성 산증 및 알칼리증 = 233
2) 혈중 소디움(sodium, N$$a^+$$) 이상 = 234
3) 혈중 포타슘(potassium, $$K^+$$) 이상 = 234
5. 혈장손실의 진단과 치료 = 236
6. 혈액손실의 진단과 치료 = 237
1) 농축적혈구 = 238
2) 방사선조사 농축적혈구 = 238
3) 세척적혈구 = 239
제14장 체외막형산소섭취(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ECMO)) / 이국현 = 243
1. 신생아 심폐기능의 발달과 병태생리 : ECMO로 치료 가능한 질환 = 246
1) 태아순환(fetal circulation) = 246
2) 호흡부전을 유발하는 질환 = 247
2. ECMO의 가스교환 기전 = 251
3. 정맥-동맥(venoarterial, VA)ECMO와 정맥-정맥(venovenous, VV)ECMO = 253
4. ECMO 장비 = 254
1) ECMO pump = 256
2) 막형 산화기(membrane oxygenator) = 256
5. ECMO도중 혈액응고 조절 = 256
6. ECMO의 적응증 = 258
7. ECMO의 합병증 = 259
제15장 원만한 기계적 환기법을 위한 약물요법(Pharmacology for Ventilator Maintenance) / 정익수 ; 백희정 = 263
1. 진정의 평가 = 265
1) 직접적인 관찰 = 266
2) 진정점수 득점방식 = 266
3) 진정의 물리적 측정 = 269
2. 근육이완제 = 271
1) 근육이완제의 종류 = 272
2) 신경근 차단의 측정 = 274
3) 임상 적용 양상 = 276
4) 근육이완제 사용시 문제점 = 278
3. 진정진통제 = 281
1) 아편양제제 = 281
2) Benzodiazepines = 286
4. 기타 약제 = 289
1) 마취유도제 = 289
2) 흡입마취제 = 294
5. 맺는 말 = 296
Ⅴ. 수술후 및 각종 질환 호흡관리(Postoperative Respiratory care) = 299
제16장 수술후의 호흡관리(Postoperative Respiratory Care) / 김성덕 = 301
1. 수술환자의 폐 병태생리 = 302
1) 수술에 대한 폐의 반응 = 302
2) 수술에 의한 폐기능 변화 = 305
3) 수술 후 폐 합병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자들 = 306
2. 수술후 폐 합병증의 예방 = 308
1) 무기폐(atelectasis)의 예방 = 308
2) 폐수종(edema)의 예방 = 311
3) 폐색전증(embolism)의 예방 = 311
4) 흡인(aspiration) 예방 = 312
5) 내독소 혈증(endotoxemia) 예방 = 312
3. 수술후의 호흡 부전 = 313
1) 환기능(ventilation) 유지 부전 = 313
2) 산소화(oxygenation) 유지 부전 = 315
3) 상기도 기능 부전 = 318
4. 수술후의 호흡관리 = 318
1) 자발적인 심호흡과 유발 폐활량 측정법(incentive spirometry) = 318
2) 간헐적 양압호흡법(IPPV) = 319
3) 흉부 물리요법(chest physiotherapy) = 319
4) 분무(aerosol) 요법 = 319
제17장 소아 개심술 환자의 호흡 관리(Respiratory Management of Pediatric Open Heart Sugery Patients) / 한성희 ; 윤태균 ; 박혜진 = 323
1. 소아의 폐기능 = 324
2. 심장 수술전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325
1) 기도이상 = 325
2) 폐질환 유무 = 325
3) 심질환의 영향 = 326
4) 영양상태 = 326
3. 심장 수술 중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327
1) 심폐기 가동 전 시기 = 327
2) 심폐기의 가동 = 327
3) 심폐기 이탈 후 시기 = 328
4. 심장 수술후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328
1) 통증 = 328
2) 마취제 잔류 효과 = 328
3) 기타 인자들 = 329
5. 호흡기 이탈과 조기 발관 = 329
1) Fast tracking = 329
2) 조기 발관 기준(extubation criteria) = 332
6. 기계적 환기법(mechanical ventilation) = 333
1) 조절 변수(control variable) = 334
2) 압력/유량 양상(pressure/flow pattern) = 334
3) 호흡상 혹은 주기 변수(phase variable) = 335
7. 기계 환기의 분류 = 336
1) 강제 또는 조절 환기(mandatory or controlled ventilation) = 337
2) 보조환기(assisted ventilation) = 337
3) 지지 환기(supported ventilation) = 338
8. 비통상적인 환기법(nonconventional mode of ventilation) = 339
1) 고빈도 환기(high frequency ventilation, HFV) = 339
2) 음압 환기(negative pressure ventilation, NPV) = 340
3) 비침습적 양압 보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support) = 340
9. 심폐 상호작용(cardiopulmonary interaction) = 340
1) 우심실에 대한 환기 효과(effect of ventilation on the right ventricle) = 341
2) 좌심실에 대한 환기 효과(effect of ventilation on the left ventricle) = 343
10. 심장 질환을 가진 환아의 호흡 보조 = 344
1) 양압 환기의 시작 = 344
11. 특별한 상황에서의 치료 = 346
1) 우심부전 = 346
2) 좌심부전 = 347
3) 폐동맥 고혈압 = 347
12. 인공호흡기로부터의 이탈 실패 = 348
1) 부적절한 산소화 = 348
2) 심박출량의 저하 = 350
3) 부적절한 환기 = 351
4) 환기 요구량의 증가 = 352
13. 보조 환기로부터 이탈의 기준 = 353
결론 = 354
제18장 다발성 손상 환자, 흉부 외상 및 두부 외상 환자(Patients with Multiple, Chest and Head Trauma) / 정해정 ; 김지희 = 357
1. 다발성 손상 환자 = 358
1) 호흡기계에 대한 응급처치 = 358
2) 순환계에 대한 응급처치 = 361
3) 통증관리 = 363
4) 항생제 투여 = 363
5) 외상후 호흡부전증시 고빈도 환기법(HFV) = 363
2. 흉부 외상 환자 = 364
1) 흉부 외상의 종류 = 365
2) 흉부 외상에 의한 손상들 = 366
3) 흉부 외상 환자의 환기보조요법 = 369
3. 두부 외상 환자 = 370
1) 두부 외상시의 중추적 호흡기능 장애 = 371
2) 두부 외상시의 말초적 호흡기능 장애 = 371
3) 두부 외상 환자의 호흡관리 = 371
제19장 급성 호흡부전증(ARF)과 급성 환기부전증(AVF)(Acute Respiratory Failure and Acute Ventilatory Failure) / 정용보 = 375
1. 급성 호흡 부전증의 정의 = 376
2. 원인과 분류 = 377
1) 소아 호흡부전증의 해부학적 분류 = 377
2) 급성 저산소혈증 호흡부전의 원인(병태생리학적 분류) = 378
3) 급성 저산소혈증 호흡부전의 구조적 분류 = 380
4) 급성 과탄산 호흡부전의 원인 = 380
5) 과탄산 호흡부전의 임상적 분류 = 381
3. 진단 = 382
1) 병력과 이학적 검사 = 382
2) 검사실 검사 = 383
4. 치료 = 383
제20장 폐수종과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Pulmonary Edem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 김성덕 ; 김지연 = 387
1. 폐수종(pulmonary edema) = 388
1) 병태생리 = 388
2) 폐수종의 원인 = 389
3) 폐수종의 단계 = 392
4) 폐수종의 진단 = 392
5) 폐수종의 치료 = 393
2. 급성 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 394
1) ARDS의 정의와 진단 = 394
2) ARDS의 원인과 병태 생리 = 394
3) ARDS의 단계 = 396
4) ARDS의 진단 = 397
5) ARDS의 치료 = 398
6) ARDS의 합병증 = 401
제21장 소아의 폐쇄성 기도질환(Obstructive Diseases of Children) / 안원식 = 405
1. 기도폐쇄의 병태 생리 = 406
2. 상기도 폐쇄 = 409
1) 선천성 질환 = 409
2) 후천성 질환 = 413
3. 하기도 폐쇄 = 417
1) 천식(asthma) = 417
2)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 422
제22장 소아중환자의 통증관리(Pain Manage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 이상철 ; 김용철 ; 이평복 = 427
1. 서론 = 428
2. 통증의 생리 = 429
1) 발달생물학적인 고려사항 = 429
2) 인지발달 단계의 고려사항 = 430
3. 통증의 평가 = 432
1) 자가 통증 평가법(self-reported measures) = 432
2) 행동 평가법(behavioral pain measures) = 433
3) 생리학적 평가법(physiologic pain measures) = 434
4. 약물치료 = 434
1) 비마약성 진통제 = 435
2) 마약성 진통제 = 436
3) 보조적 치료제 = 437
5. 급ㆍ만성 통증 조절 = 437
1) 술 후 통증의 치료 = 437
2) 통증을 동반하는 치료에서의 통증치료 = 438
3) 암성 통증의 치료 = 439
4) 소아에서 흔한 만성 및 양성 통증의 치료 = 439
6. 결론 = 441
Ⅵ. 중증도지표 및 중환자 간호관리(Severity Index and Critical Care Nursing) = 445
제23장 환자의 중증도 지표(Severity Index) / 김명애 = 447
1. APACHE - Ⅲ = 450
2. TISS = 454
3. 생리적 안정지수(physiologic stability index, PSI) = 458
4. 한국 병원중환자간호사회 중환자 분류도구 = 461
제24장 소아 중환자 간호관리(Critical Care Nursing) / 송경자 = 475
1. 소아중환자 간호의 목표 및 기능 = 477
2. 소아중환자실의 일반적인 관리 = 478
1) 입실, 퇴실의 기준 = 478
2) 감염관리 = 479
3) 안전관리 = 481
4) 간호 기록 = 483
3. 소아중환자실의 환아, 가족 그리고 간호사 = 484
1) 위기상태의 환아 = 484
2) 위기상태의 가족 = 485
3) 간호부서의 조직 = 486
4) 소아중환자실의 간호사 = 486
4. 중환자실에서의 간호과정 적용 = 487
1) 간호과정과 간호진단 = 487
2) 상호의존적인 간호 실무 = 488
3) 독자적인 간호 실무 = 490
4) 간호 연구 = 493
5) 간호과정의 적용 = 494
5. 소아중환자실에서의 팀접근법(team approach) = 495
1) 역할 갈등 = 496
2) 해결책 = 497
Ⅶ. 증례토론(문제해결식)(Case Discussion) / 김성덕 ; 김희수 = 501 ·
Ⅷ. 부록(Appendix) / 노영진 ; 노지윤 = 537
1. 호흡생리 및 호흡관리에서 사용되는 약어 및 공식 = 540
2. 중환자 호흡관리시 사용되는 약제들과 용량 = 554
3. 심폐혈관계의 혈역학적 정상치 = 560
4. 물리적 수치들의 상관관계 = 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