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ⅶ
서문 = ⅸ
머리말 = xi
사용자 가이드 = xv
감사의 글 = xix
감수 = xxi
1부 에너지: 인간 움직임의 기초 = 1
단원 1. 운동 생체에너지론: 에너지 생성
1장 운동생리학의 소개 = 2
운동의 미래적 관점 = 2
운동생리학이란 무엇인가? = 5
의학에서 운동의 역사 = 16
2장 신체활동을 위한 영양소 = 21
영양소: 에너지 구축 = 22
탄수화물 = 22
지방 = 27
단백질 = 31
비타민 = 34
미네랄 = 38
수분 = 40
식사가이드라인 = 43
3장 에너지 공급원과 생성 = 49
에너지 정의 = 49
에너지 형태 = 51
인산화 에너지 = 54
산화-환원 반응 = 56
근세포질 이화작용 = 58
미토콘드리아 이화작용 = 68
4장 운동 중 대사 전이 = 77
안정시에서 운동시로의 전이 = 77
운동시 에너지 공급 유지 = 91
운동으로부터의 회복: 연료의 재합성 = 96
5장 일량 측정법과 열량 측정법: 일과 에너지의 측정 = 100
일량 측정법: 일량의 측정 = 100
열량 측정법: 에너지의 측정 = 108
에너지소비 = 115
효율성과 경제성 = 119
신체활동의 에너지 값 = 125
단원 2. 심장과 폐: 에너지 전달
6장 호흡 운동생리학 = 129
폐포-모세혈관 경계면에서의 호흡가스교환 = 130
폐환기 = 136
호흡수 = 141
환기/관류적합 = 143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수송 = 146
호흡의 조절 = 153
7장 심혈관 운동생리학 = 163
심장과 순환 = 163
말초혈류 조절 = 176
심장과 순환 역학 = 179
급성 및 만성적인 운동에 대한 심혈관계 조절 = 187
8장 항온조절: 운동 중 체온조절 = 197
운동 중 체온균형 = 197
더운 황경에서의 체온조절 = 203
추운 환경에서의 체온조절 = 211
단원 3. 근육: 에너지 소비
9장 움직임의 신경해부학과 신경근조절 = 217
신경계의 조직 = 218
뉴런 = 218
시냅스 전달 = 221
중추신경계 = 225
말초신경계 = 233
자율신경계 = 235
체성 운동신경계 = 237
운동 계획 = 243
10장 골격근의 구조와 기능 = 247
골격근의 구조 = 247
근수축 = 253
근섬유의 형태 = 258
근섬유 형태의 생리적 특성 = 259
근섬유의 가소성 = 262
11장 활동 중의 근역학 = 268
운동단위 = 268
근역학 = 271
근력 = 275
2부 응용 운동생리학 = 285
단원 1. 건강, 체력 및 운동수행을 위한 생리학
12장 영양과 운동수행 = 286
탄수화물 섭취와 운동수행력 = 286
고지방 식이 = 290
고단백 식이 = 294
유행하는 다이어트와 체중 감소 = 294
운동수행력과 비타민/미네랄 보충 = 296
운동수행력과 수분 섭취 = 303
13장 신체구성 진단 = 306
이상체중 = 306
신체구성 진단 방법 = 309
아동의 신체구성 진단 = 322
14장 체력과 스포츠를 위한 트레이닝 = 330
트레이닝의 원리 = 330
근체력을 위한 트레이닝 = 339
유산소성 지구력을 위한 트레이닝 = 348
단원 2. 특정 집단을 위한 운동수행
15장 소아 운동생리학 = 357
성장, 발달, 그리고 성숙 = 357
아동의 체력 및 신체활동 평가 = 361
신체활동과 운동 트레이닝에 대한 아동기 반응 = 374
아동을 위한 운동처방, 지침, 그리고 권고사항 = 381
16장 노인 운동생리학 = 383
노화 = 383
노화, 신체활동부족, 장애 = 387
노화에 따른 운동생리적 변화 = 390
고령자를 위한 운동트레이닝 = 396
17장 여성 관련 특이점 = 401
남녀 간 비교 = 401
부인과적 고려사항 = 407
영양적 이슈 = 413
3부 임상집단을 위한 운동생리학 = 423
단원 1. 임상적 기초
18장 기초약물학과 병태생리학 소개 = 424
기초약물학 = 424
임상운동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직면하는 약물들 = 429
심혈관 병태생리 개요 = 438
폐의 병태생리 개요 = 444
대사의 병태생리 개요 = 449
19장 장애와 운동처방 = 452
장애의 개념화 = 452
장애 모델 = 4s6
장애와 운동처방 = 459
운동처방 중재의 3요소 = 462
20장 임상운동검사 = 467
심폐지구력 측정 = 467
운동검사의 원칙 = 471
운동검사 프로토콜의 선택 = 476
운동 심전도 = 481
점진적 운동검사 = 495
단원 2. 운동재활과 특수장애
21장 심폐계 질환을 위한 운동 = 503
심혈관계 지구성 능력, 신체활동과 건강 = 503
운동처방 = 507
심폐계 재활 = 509
22장 비만과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 = 519
비만관련 과제 = 519
비만의 병인 = 522
비만의 심리적 양상 = 528
체중조절을 위한 장애 = 532
체중조절에 있어 운동의 효과 = 533
운동처방 = 538
재발의 방지 = 539
23장 종양과 신경근골격 질환을 위한 운동 = 543
뇌와 신경의 질환 = 543
암 = 554
뼈와 관절 장애 = 560
4부 운동생리학에서의 경험 = 565
실험실습 1: 운동생리학에서 사용되는 실험과 측정 = 566
실험실습 2: 식이 분석 = 567
실험실습 3: 운동 중의 체온조절 = 569
실험실습 4: 휴식에서 운동시까지 대사변화 측정 = 570
실험실습 5: 순환효율의 측정 = 572
실험실습 6: 환기역치 = 573
실험실습 7: 등척성 수축과 심혈관계 기능 = 574
실험실습 8: 고온 및 저온에서의 운동시 심혈관계 조절 = 576
실험실습 9: 신경의 전도속도 = 578
실험실습 10: 근육길이와 장력과의 관계 = 579
실험실습 11: 식이보충을 평가하기 위한 SOAP 노트 만들기 = 580
실험실습 12: 신체구성 = 582
실험실습 13: 체력검사와 신체활동 측정 = 585
실험실습 14: 성별에 따른 체력평가의 비교 = 587
실험실습 15: 흉부통증의 다양한 진단에 대한 토론 = 590
실험실습 16: 휠체어 운동시 산소소비량과 심박수 사이의 관계 = 592
실험실습 17: 평균 QRS 축의 벡터 분석 = 593
실험실습 18: 과체중 환자의 평가 = 595
부록
부록 A
요약 이해 해답 = 597
용어 정리 = 610
색인 = 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