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08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390140 | |
005 | 20100806091328 | |
007 | ta | |
008 | 071011s2007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90106469 ▼g 04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24.2519 ▼2 22 |
085 | ▼a 324.253 ▼2 DDCK | |
090 | ▼a 324.253 ▼b 2007b | |
100 | 1 | ▼a 정태영 ▼g 鄭太榮 , ▼d 1931- ▼0 AUTH(211009)5433 |
245 | 1 0 | ▼a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역사적 기원 / ▼d 정태영 지음. |
260 | ▼a 서울 : ▼b 후마니타스 , ▼c 2007. | |
300 | ▼a 429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03-416) 및 색인수록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1143586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114358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410713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211589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211589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512651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1143586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1143586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410713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211589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211589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4.253 2007b | Accession No. 1512651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봉암과 함께 진보당 사건으로 함께 재판을 받았던 지은이가 한국 현대사 속에서, 민주적이고 민족적 관점을 견지했던 사회주의자(박헌영, 김일성 노선과 다른 실천을 한 중간 좌파 세력)들의 정치적 실천을 기술한 책.
이 책에서 거론되는 인문들은 해방 직후 지도급 인사만 273명일 정도로 다양하며, 여운형과 조봉암을 중심으로 안재홍과 김규식, 김구까지를 포함하는 당시 중간파 전체의 역사를 매우 광범하게 서술하고 있었다.당시의 역사를 직접 살았던 지은이(1931년생)는 매우 분명한 사회민주주의자로서의 관점을 역사 서술의 시각이자 해석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사를 자신의 육성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조봉암과 함께 진보당 사건으로 함께 재판을 받았던 저자가 한국 현대사 속에서, 민주적이고 민족적 관점을 견지했던 사회주의자(박헌영, 김일성 노선과 다른 실천을 한 중간 좌파 세력)들의 정치적 실천을 기술한 책이다. 이 책에서 거론되는 해방 직후 지도급 인사만 273명이다. 여운형과 조봉암이 중심이 되지만, 안재홍과 김규식, 김구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당시 중간파 전체의 역사가 매우 광범하게 서술되고 있다. 당시의 역사를 직접 살았던 저자(1931년생)는 매우 분명한 사회민주주의자로서의 관점을 역사 서술의 시각이자 해석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사를 자신의 육성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정태영(지은이)
1931년 출생. 해방 후 서울대 문리대를 다녔으며 스물 여섯 살에 조봉암의 진보당 조직에 가담하여 동양통신 외신부 기자로 활동하며 '동화'라는 가명으로 진보당 청년 조직을 확대하는 일을 했다. 진보당사건에서 "북한에서 교육받은 당 이론가"로 몰려 조봉암과 나란히 재판을 받았다. 3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4.19 이후에는 사회대중당, 통일사회당, 3선개헌반대특위, 신민당 등에서 활동했다. 쉰아홉 살에 고려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에 입학해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이듬해 건국대에서 '한국 사회민주주의 정당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9 제1부 문제와 관점 01 왜 사회민주주의 정당인가 = 19 02 논의의 초점 : 이데올로기 분화와 권력 갈등 = 24 03 한국 사회민주주의 리더십의 유형과 한계 1. 여운형과 조봉암, 사회민주주의 정치 리더십의 두 중심 = 31 2. 여운형과 조봉암 리더십의 차이 = 33 3. 김구·김규식 등 중간파 노선의 무기력한 좌절 = 37 제2부 해방과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등장 04 여운형과 좌파 연합의 건국준비위원회 1. 일본의 패전과 건국준비위원회 = 47 2. 건준의 해산과 급조된 조선인민공화국 = 54 3. 이북에서의 건준 = 58 4. 박헌영·공산당의 좌익 연합 내 패권 추구 = 61 05 이승만·김구의 환국과 신탁통치 정국 1. 대한반도 정책을 둘러싼 미·소의 의도 = 67 2. 이승만과 신탁관리안의 부상 = 69 3. 이승만의 환국과 정계 대개편 = 72 4. 중경 임시정부 환국 = 74 06 때늦은 사회민주주의 정당의 등장 : 여운형과 조선인민당 1. 해방 정국 정세에 대한 여운형의 오판 = 77 2. 조선인민당 결성 = 82 3. 조선인민당의 이념 = 85 제3부 좌파 연합 내 노선 갈등과 사회민주주의 세력의 분화 07 분단의 서막, 신탁통치와 조선인민당 1. 미·소 주둔군과 국내 정치 세력의 갈등 = 95 2. 신탁관리안을 둘러싼 좌우 분화와 단정 이행 = 99 08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와 좌우합작위원회 1. 민주의원과 민주주의민족전선 = 110 2.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 115 3.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전후의 좌익 탄압 = 119 09 좌익 3당 합당과 사회로동당 1. 과도입법의원의 징검다리 좌우합작 운동 = 126 2. 여운형의 사회로동당과 좌익3당 통합운동 = 136 3. 좌파 연합의 분화와 사회로동당 = 155 제4부 근로인민당과 민족자주연맹 10 좌우합작위원회의 해체와 제2차 미소공위 1. 이승만의 유엔 파견과 사회로동당의 해체 = 171 2. 근로인민당의 결당 = 179 11 중간파 세력의 결집과 민족자주연맹 = 182 12 조선 문제의 유엔 이관과 남북협상 = 200 제5부 진보당의 도전 13 조봉암과 사회민주주의 1. 제3전선 결성 운동 = 223 2. 조봉암의 정치이념 형성 = 233 14 진보적 대중정당 결성을 위한 모색 1. 최초의 진보적 대중정당 조직 시도 = 241 2. 제2차 진보 정당 조직 시도 = 243 15 진보당의 결성과 좌절 1. 제3차 진보 정당 조직 시도 = 254 2. 진보당의 모색 : 광릉 회합 = 260 3. 진보당의 결당에 따른 당내 분파 간의 갈등과 조직 = 271 4. 진보당사건과 그 배경 = 278 제6부 4·19 이후 사회민주주의 세력의 분열과 몰락 16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와 사회민주주의 세력의 분열 1. 보혁 대결의 7·29 총선 = 287 2.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성격 = 293 3. 사회대중당 창당준비위원회의 4당으로의 분열 : 통일사회당 준비위원회·사회대중당·혁신당·사회당 = 296 4. 4당 재통합 운동 : 2대 악법 반대 공동 투쟁과 통일 운동 = 304 17 5·16 쿠데타와 사회민주주의 세력의 붕괴 1. 5·16 쿠데타의 배경 = 316 2. 5·16 이후의 사회민주주의 세력 = 321 제7부 결론 : 한국 현대사와 사회민주주의 부록 ① 건준의 선언과 강령 = 345 ② 한국독립당의 정강·정책 = 347 ③ 조선인민당의 선언·강령 = 349 ④ 3당 합동에 의해 생겨난 사회로동당(준비위원회) 강령 초안 = 351 ⑤ 근민당의 중앙위원과 임원, 부서 및 창립 선언문 = 353 ⑥ 제명된 한독당원 명단 및 3파로 갈라진 한독당 각파의 새 부서 = 355 ⑦ 미소공위가 요구한 자문사항에 대해 협의참가 정당 단체에서 보내온 답신서 대조표 = 357 ⑧ 민족자주연맹계보도 = 359 ⑨ 민주주의독립전선의 발기취지문과 강령 = 361 ⑩ 무소속구락부 소속 의원의 명단과 행동강령 = 362 ⑪ 4·19 전후 혁신계 현황 = 363 주석 = 370 참고문헌 = 403 찾아보기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