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53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390082 | |
005 | 20100806091219 | |
007 | ta | |
008 | 070827s2007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32471266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0993645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27 ▼2 22 |
090 | ▼a 327 ▼b 2007d | |
245 | 0 0 | ▼a 변환의 세계정치 / ▼d 하영선, ▼e 남궁곤 편저. |
246 | 1 1 | ▼a Transformation of world politics |
260 | ▼a 서울 : ▼b 을유문화사 , ▼c 2007. | |
300 | ▼a 388 p.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하영선 , ▼e 편 ▼0 AUTH(211009)144133 |
700 | 1 | ▼a 남궁곤 , ▼e 편 ▼0 AUTH(211009)83316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347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347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568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410670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4106702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22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512506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347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347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114568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410670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4106702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22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27 2007d | 등록번호 1512506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계정치의 역사, 이론, 쟁점을 한국 시각에서 망라한 한국형 국제정치학 교과서.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의 만남, 세계정치 이론의 변환과 한국, 안보, 경제, 문화, 정보화, 지구 거버넌스 등 세계정치의 주요 의제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특히 북한 핵문제, 한국이 각국과 체결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자유무역협정(FTA), IT산업의 현황과 전망 등 오늘날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여러 쟁점들을 상세히 다루고 있다.
한국 시각에서 풀어낸 세계정치의 역사, 이론, 쟁점
국제정치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은 물론 새로운 관점에서 세계정치를 바라보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도 충실한 길잡이가 될 한국형 표준 교과서
세계는 21세기에 들어 급격한 변환의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는 물론 이에 속해 있는 한국도 변환의 파장 속에서 예외일 수 없다. 21세기 세계정치의 기본문제와 현안과제들을 좁은 국제정치가 아닌 넓은 세계정치의 시각에서 다루되, 지구화의 세계사적 의미를 한국의 시각에서 고민하려는 학자들이 뜻을 모아 수년에 걸친 토론과 집필 끝에 완성한 이 책은, 세계정치의 역사와 이론, 주요 쟁점들을 동아시아, 나아가 한국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서장과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서장은 한국 국제정치학의 연구 목적과 대상, 인식방법, 실천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다. 제1부에서는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의 만남을 근대, 냉전, 현대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제2부에서는 세계정치 이론의 변환과 한국을 설명하고 있는데, 구미 국제정치이론의 단순한 소개에 그치지 않고 세계정치현실의 결을 다듬어서 드러내는 이론의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어 현대세계정치의 주요 의제들을 기술하고 있는 제3부에서는, 전통적 의제인 안보, 경제와 더불어 새로운 의제로 떠오르고 있는 문화, 정보화를 다루고 마지막으로 21세기의 새로운 세계정치로서 지구 거버넌스를 검토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하영선(지은이)
국제정치 이론과 역사를 반세기 동안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 국제정치학자다.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이며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1980-2012)로 재직했고 미국 프린스턴 대학 국제문제 연구소와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의 초청 연구원이었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 연구소장, 미국학 연구소장, 한국 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20년 동안 400편의 시론을 썼고, “하영선 칼럼”을 7년 동안 연재했다. 전파연구, 한국외교사, 정보세계 정치, 동아시아연구원의 연구 모임들을 이끌며 한국 국제 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해서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서울대 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서울대학교와 동아시아연구원에서 지난 20년 동안 동아시아 질서 건축사와 한국의 생존전략을 젊은 세대들과 함께 공부하고 현장을 찾아보는 학술답사를 계속하고 있다. 최근 저서 및 편저로는 국제정치이론 분야에서 『사랑의 세계정치: 전쟁과 평화』(2019), 『미중의 아태질서 건축경쟁』(2017), 『복합 세계정치론: 전략과 원리 그리고 새로운 질서』(2012), 『변환의 세계정치』(2012), 한국외교사 분야에서 『한국외교사 바로보기: 전통과 근대』(2019), 『사행의 국제정치: 16-19세기 조천?연행록 분석』(2016), 한국외교정책 분야에서 『1972 한반도와 주변4강 2014』(2015), 『2020 한국외교 10대과제: 복합과 공진』(2013),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2012), 『북한2032: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2010), 『한일 신시대를 위한 제언: 공생을 위한 복합 네트워크의 구축』(2010), 한국개념사연구 분야에서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냉전기 한국 사회과학 개념사』(2018),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1/2』(2009/2012) 등이 있다.
남궁곤(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커네티컷대학교(University of Connecticut)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일보 21세기평화연구소 연구위원과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근대국제질서와 한반도』(공저, 2003),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공저, 2004),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2004),『네오콘 프로젝트』(편저, 2005),『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공편, 2010)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 5 서장 : 세계정치의 변환과 한반도 = 11 1. 머리말 2. 19세기 국제정치의 변환: 천하예의지방에서 국민부강국가로 3. 21세기 주인공의 변환: 네트워크 국가/늑대거미 4. 21세기 세계무대의 변환: 지식기반 복합국가/다보탑 5. 21세기 연기의 변환: 늑대거미 다보탑 쌓기 6. 21세기 한반도의 선택: 매력국가 제1부 세계정치의 역사적 변환과 한국 제1장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한국의 만남 = 35 1. 머리말: 근대 서구국제질서와 동아시아 2. 근대 국제정치질서의 성격과 팽창 3.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전통적 중화질서의 충돌 4. 근대 국제정치질서와 한국의 동요 5. 세계대전과 근대 국제정치질서의 변환 6. 맺음말 제2장 국제냉전질서와 한국의 분단 = 65 1. 머리말: 냉전의 의미 2. 국제냉전질서의 시작: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한국전쟁 3. 국제냉전질서의 전개: 자유-공산 진영 대립과 한ㆍ미동맹 4. 국제냉전질서의 해체: 소련의 붕괴와 한국의 북방정책 5. 맺음말: 냉전의 '긴 평화'와 한반도 평화문제 제3장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의 외교 선택 = 99 1. 머리말: 냉전종식 이후 세계정치의 변환 2.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지구화 흐름 3.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미국 주도질서의 등장 4.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동아시아 5.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한국 6. 맺음말 제2부 세계정치 이론의 변환과 한국 제4장 근대 국제정치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 139 1. 머리말 2.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서구세계와 국제정치이론 3.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세계와 국제정치이론 4. 근대 변환기 동아시아 국제정치관의 전개과정 5. 맺음말 제5장 국제냉전질서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 167 1. 머리말: 세계정치현실과 이론 2.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냉전에 대한 무도덕적 이해와 국제적 갈등 3.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 데탕트와 유럽통합, 그리고 국제협력 4. 마르크스주의 국제정치이론: 세계질서와 경제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 5. 냉전기 국제정치이론의 동아시아 유입 6. 맺음말 제6장 현대세계정치의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 191 1. 머리말 2. 현대세계정치와 주류 국제정치이론의 변환 3. 현대세계정치의 변환과 대안이론: 구성주의와 영국의 국제사회학파 4. 새로운 21세기 국제정치이론의 가능성 5. 현대 국제정치이론과 동아시아 6. 현대 국제정치이론과 한국 7. 맺음말 제3부 현대 세계정치질서의 변환과 한국 제7장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 217 1. 머리말 2. 세계정치 안보질서의 역사적 변환 3. 현대 세계안보질서의 변환과정 4. 현대 미국안보전략의 변환과정 5. 현대 동북 아시아 안보질서의 변환 6. 맺음말 제8장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환과 한국 안보 = 245 1. 머리말: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환과 한국 2. 한국 안보논쟁의 이념적 분기와 문제점 3. 북한 핵문제의 변환과 한국 안보 4. 한ㆍ미동맹의 변환과 한국 안보 5.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의 변환과 한국 안보 6. 맺음말 제9장 세계정치경제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번영 = 273 1. 머리말 2. 세계무역질서의 변환과 한국 3. 세계금융통화질서의 변환과 한국 4. 해외직접투자질서의 변환과 한국 5. 맺음말: 동아시아의 경제협력과 한국 제10장 세계문화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매력 = 299 1. 머리말: 세계문화질서의 변환 2. 현대세계정치에서의 문화의제 3. 생활양식으로서의 세계문화의제: 문명충돌과 종교근본주의 4. 권력자원으로서의 세계문화의제: 소프트 파워, 문화제국주의, 오리엔탈리즘 5. 현대세계문화의 등장? 6. 세계문화질서의 변환과 동아시아 7. 맺음말: 한국의 문화전통과 매력 제11장 정보화의 세계정치: 세계지식질서의 변환과 한국의 IT전략 = 325 1. 머리말 2. 정보화와 세계지식권력의 변환 3. 세계지식질서의 변환과 한국 4. 근대국민국가의 변환과 한국 5. 맺음말 제12장 세계정치 운영방식의 변환과 한국의 참여 = 349 1. 머리말: 현대세계정치의 초국가 성격과 한국 2. 현대세계정치 운영방식의 변환 3. 현대세계정치 운영행위자의 변환 4. 현대세계정치 운영준거의 변환 5. 동아시아 지역정치 운영방식의 변환 6. 현대세계정치 운영과 한국의 참여 사례 7. 맺음말 찾아보기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