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여성농민운동사 : 농민생존권 위기와 여성농민의 조직적 투쟁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엄영애
서명 / 저자사항
한국여성농민운동사 : 농민생존권 위기와 여성농민의 조직적 투쟁 / 엄영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나무와숲 ,   2007.  
형태사항
669 p. : 삽도 ; 26 cm.
ISBN
9788988138861
일반주기
색인수록  
부록: 1, 농민 생존권투쟁 일지(1985∼1989). 2, 여성농민운동 일지. 3, 여성농민대개혁안 외  
000 00755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389900
005 20100806091128
007 ta
008 070907s2007 ulka 001c kor
020 ▼a 9788988138861 ▼g 03330
035 ▼a (KERIS)BIB000011027780
040 ▼a 241026 ▼c 241026 ▼d 211009
082 0 4 ▼a 331.47809519 ▼2 22
085 ▼a 331.4780953 ▼2 DDCK
090 ▼a 331.4780953 ▼b 2007
100 1 ▼a 엄영애 ▼0 AUTH(211009)28762
245 1 0 ▼a 한국여성농민운동사 : ▼b 농민생존권 위기와 여성농민의 조직적 투쟁 / ▼d 엄영애 지음.
260 ▼a 서울 : ▼b 나무와숲 , ▼c 2007.
300 ▼a 669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0 ▼a 부록: 1, 농민 생존권투쟁 일지(1985∼1989). 2, 여성농민운동 일지. 3, 여성농민대개혁안 외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114355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114355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211579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211579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114355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114355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211579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31.4780953 2007 등록번호 12115795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여성농민운동사의 큰 줄기를 정리한 책. 일제 시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여성농민운동을 총정리하였다. 크게 '산업화 이전의 농촌여성', 농민운동', '생존권 위기와 농민대투쟁', '농촌여성의 의식화 교육', '여성농민투쟁' 등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료적인 면과 농민운동사의 면에서 남다른 가치를 지녔다.

한국 여성농민운동사의 큰 줄기를 정리한 뜻깊은 책이 나왔다. 『한국여성농민운동사』가 바로 그것. 각종 농민투쟁의 현장에 여성농민들이 함께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여성농민들의 활동은 정당하게 자리매김되지 못했다. 남성들이 기록하고 작성한 보도와 문서, 자료들 속에서 여성농민들의 활동은 나타나지 않기 일쑤였으며, 소개되더라도 단편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농민운동의 커다란 틀 안에서 정리되지 못했다. 그런 점에서 일제 시대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여성농민운동을 총정리한『한국여성농민운동사』는 사료적 가치는 물론이고 농민운동사의 관점에서도 커다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엄영애(지은이)

서울가톨릭신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남부 마이에른 주 농업실업학교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농촌사회봉사자학교를 졸업했다. 유럽에서 실습하는 기간에 국제가톨릭농촌청년운동에 참여하여 제7차 오타와 총회에서 '아시아평의회 조정자'로 피선되어 아시아 지역 농민운동 조정자로 활동했다. 그 후 귀국해서 한국가톨릭농민회 상임이사, 한국가톨릭농촌여성회 초대 총무, 전국 민통련 여성위원장, 국제가톨릭농민회 협력이사, 전농 국제담당국장과 부회장,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1~4기 중앙위원, 5기 부의장 등을 지내며 농민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전부여성운동연합 2~4기 상임의장으로 여성운동에 참여했다. 현재 전북 부안에서 살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 문규현 신부 = 4
추천사 / 이수금[전 전국농민회총연맹 의장] = 6
책을 내면서 = 8
서론 = 21
1장 산업화 이전의 농촌여성
 1절 일제하의 농촌여성 = 29
  1. 일제의 농업ㆍ농민 수탈 정책 = 29
   1) 토지조사사업 = 29
   2) 산미증식계획과 대일 미곡 수출 = 31
  2. 농촌여성 = 32
   1) 농촌여성의 실태 = 32
   2) 기독교계의 농촌계몽운동 = 35
   3) 사회주의계의 농촌활동 = 37
   4) 여성 농어민 투쟁 = 39
   5) 농촌여성 조직과 활동 = 41
 2절 해방 후 농촌여성 = 42
  1. 여성단체와 농촌여성 = 42
   1) 여성단체의 농촌활동 = 42
   2) 이념 대립이 남긴 고통 = 49
  2. 농촌의 가족 구조와 농촌여성의 활동 = 51
   1) 농촌의 가족 구조 = 51
   2) 농촌여성의 활동 = 52
  3. 관 주도의 부녀회 활동 = 56
   1) 생활개선구락부 = 56
   2) 가족계획어머니회 = 57
   3) 부녀교실 = 59
2장 산업화와 농촌여성
 1절 산업화 과정 = 63
  1.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중공업정책 = 63
  2. 이농과 농업노동력의 노령화ㆍ여성화 = 66
 2절 농촌여성 문제 = 69
  1. 과중한 노동 문제 = 69
  2. 건강 문제 = 72
  3. 교육 문제 = 76
 3절 1970년대 관제 농촌여성 조직 = 80
3장 농민운동
 1절 1980년대 이전의 농민운동 = 87
  1. 해방 전후 농민운동 = 87
   1) 공산주의계와 종교계의 농민 조직화 = 87
   2) 소작인조합운동 = 89
   3) 농민조합운동 = 90
   4) 전국농민조합총연맹 = 92
   5)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 93
   6) 암태도 소작농민투쟁 = 94
  2. 한국가톨릭농민회 = 97
   1) 창립 과정 = 97
   2) 조직화와 주요 활동 = 99
   3) 회칙의 주요 부분 = 101
  3. 전남기독교농민회 = 101
   1) 창립 과정 = 102
   2) 조직화와 주요 활동 = 102
   3) 회칙의 주요 부분 = 103
 2절 1980년대 농민 문제 = 104
  1. 토지 문제 = 105
   1) 소농과 소작농 = 105
   2) 재벌들의 토지 침탈 = 112
   3) 소작 관련 법령 = 115
  2. 적자 쌀농사에 수매가 동결 = 123
  3. 외국 농축산물 수입 = 123
  4. 수입자유화 조치와 농어촌발전종합대책 = 129
   1) 미국의 농산물시장 개방 압력 = 129
   2) 농축산물 수입자유화 조치와 농어촌발전종합대책 = 133
  5. 가트 우루과이라운드 협상 = 137
  6. 반농민적 농업협동조합 문제 = 143
   1) 농업협동조합의 유래 = 143
   2) 한국 농업협동조합의 역사 = 146
   3) 농업협동조합법의 문제점 = 148
   4) 단위농협의 사업 운영과 문제점 = 149
  7. 농지세 문제 = 156
  8. 농지개량조합 문제 = 159
   1) 농지개량조합의 유래 = 159
   2) 농지개량조합의 조직과 기구 = 159
   3) 재정 현황 = 160
   4) 농지개량조합의 문제점 = 161
  9. 농어촌의료보험조합 문제 = 165
   1) 농어촌의료보험제도의 내용 = 167
   2) 농어촌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 = 171
 3절 농민운동 단체의 발전과 농민투쟁 = 174
  1. 농민운동 단체의 발전 = 175
   1) 가톨릭농민회의 조직 강화 = 175
   2) 한국기독교농민회총연합회 창립 = 175
  2. 농민투쟁과 새로운 방향 = 177
   1) 농민투쟁 = 177
   2) 가농의 새로운 운동 방향 = 181
   3) 기농의 대중농민운동 방향 = 182
4장 생존권 위기와 농민대투쟁
 1절 1984년 농민투쟁 = 187
  1. 농민운동의 흐름 = 188
   1) 수매가 동결의 충격 = 188
   2) 외국 농축산물 수입 = 189
   3) 소값 폭락 = 190
   4) 부당한 수세 = 191
   5) 농가 부채와 농민의 자살 = 192
  2. 함평ㆍ무안 농민대회 = 194
  3. 농지개량조합 개혁 투쟁 = 197
   1) 충북 음성 농지개량조합의 개혁 투쟁 = 197
   2) 경남 진양 수세 현물 자진납부투쟁 = 201
  4. 가농 추수감사제 및 농민대회 = 206
   1) 전북 농민대회 = 206
   2) 중부 지역 농민대회 = 208
   3) 경남 농민대회 = 208
   4) 충남 농민대회 = 209
   5)경북 농민대회 = 209
   6) 충북 농민대회 = 210
   7) 전남 농민대회 = 210
  5. 기농 농민대회 = 211
   1) 충북 농민대회 = 211
   2) 충남 농민대회 = 212
  6. 농가부채해결운동 = 212
  7. 쌀 생산비 보장운동 = 213
 2절 1985년 농민투쟁 = 217
  1. 농민운동의 흐름 = 217
   1) 소작농 증가 = 217
   2) 외국 농축산물 수입 = 218
   3) 소값 폭락 = 218
  2. 소작료 인하 요구 및 토지 양도 투쟁 = 218
   1) 서산 금은농장 토지투쟁 = 219
   2) 고창 삼양사 소작답 양도 투쟁 = 222
  3. 외국 농축산물 수입중단요구투쟁 = 225
   1) 미국 농축산물 수입규탄대회, 미국대사관 점거 농성 = 225
   2) 농축산물 수입개방 압력 즉각 중단 요구, 광주 미문화원 점거농성 = 228
   3) 해외 교포의 농축산물 수입반대운동 = 228
  4. 소값 폭락 항의 소몰이 시위 = 229
   1) 소몰이 시위의 의의 = 229
   2) 각 지역의 소몰이 시위 = 232
  5. 가농 1985년 추수감사제 및 농민대회 = 250
 3절 1986년 농민투쟁 = 252
  1. 1986년 농민운동의 흐름 = 252
   1) 농민운동 조직 노선의 혼란 = 252
   2) 농민운동의 정치적 노선 확립 = 254
   3) 선전 활동의 성과 = 255
  2. 지역 농민투쟁 = 258
  3. 전국적 농민투쟁 = 263
 4절 1987년 농민투쟁 = 265
  1. 농민운동의 흐름 = 265
   1) 농민투쟁의 폭발 = 265
   2) 종교단체-가농ㆍ기농ㆍ가여농 = 266
  2. 주요 투쟁 = 271
   1) 토지 투쟁 = 271
   2) 농가부채 상환거부투쟁 = 275
   3) 민주헌법쟁취투쟁 = 277
   4) 농협민주화투쟁 = 282
  3. 탈종교적 자주농민조직의 확산 = 285
  4. 전국농민협회 창립 = 287
 5절 1988년 전국적 농민대투쟁 = 290
  1. 농민운동의 흐름 = 290
  2. 전국적 농민 단일 조직 결성 준비 = 293
   1) 전국농민단체협의회 결성 = 293
   2) 전국농민운동연합 결성 준비 = 293
   3) 전국농민운동협의체 결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불참한 전국농민협회의 입장 = 295
  3. 주요 투쟁 = 299
   1) 고추ㆍ농산물 제값받기투쟁 = 299
   2) 농축산물수입개방저지투쟁 = 302
   3) 수세폐지투쟁 = 303
   4) 의료보험제도 시정투쟁 = 304
   5) 토지, 농민 권익, 농협민주화, 농가부채해결투쟁 = 305
 6절 1989년 농민투쟁과 조직 대통일 = 310
  1. 농민운동의 흐름 = 310
  2. 전국농민운동연합 창립 = 312
   1) 전국농민운동연합 결성식 = 312
   2) 각 도농민운동연합 조직 현황 = 315
   3) 전국농민운동연합 제2차 대의원 총회 = 315
  3. 전국농민조직 대통일 = 316
   1) 전국농민협회의 주장 = 316
   2) 전농련과 협회, 독자농모임의 농민운동론ㆍ조직론 = 317
   3) 조직통일 준비 과정 = 318
   4) 전국농민회총연맹 창립 = 319
   5) 전국농민운동연합 해산총회 = 321
  4. 주요 투쟁 = 323
   1) 수세폐지 및 고추 전량수매 쟁취를 위한 전국농민대회 = 323
   2) 농민생존권 확보를 위한 영농발대식 = 324
   3) 농민ㆍ학생 연대활동 = 325
   4) 쌀값보장 및 전량수매쟁취 전국대회 = 332
5장 농촌여성의 의식화 교육
 1절 1970년대 = 337
  1. 한국가톨릭농촌여성회 = 338
  2. 한국가톨릭농민회 = 340
  3. 크리스찬아카데미 = 341
   1) 교육 내용과 강사 = 342
   2) 농촌여성 교육 = 342
 2절 1980년대 = 346
  1. 한국가톨릭농촌여성회 = 346
  2. 한국가톨릭농민회 여성위원회 = 348
   1) 여성 기초 교육의 목표와 주요 내용 = 348
   2) 장기전문과정 = 350
  3. 한국기독교농민회총연합회 여성위원회 = 351
  4. 한국교회여성연합회 = 352
  5. 기타 기관의 여성농민 교육 = 353
   1) 기독교농촌개발원 = 353
   2) 여성농민을 위한 모금위원회 = 354
   3) 그 밖의 기관 = 354
6장 여성농민투쟁
 1절 여성농민의 농민투쟁 참여 = 357
  1. 일제하 암태도 소작쟁의 = 357
  2. 1980년대 여성농민투쟁 = 359
   1) 전남 무안 올류농지세 시정 투쟁 = 360
   2) 소몰이 시위 = 360
   3) 전북 장수 장계지서 점거투쟁 = 367
   4) 전북 김제 여성어민들의 생존권투쟁 = 368
   5) 수세폐지 전남ㆍ북 농민대회 = 368
   6) 전남 나주 수세ㆍ고추ㆍ쌀 투쟁= 369
   7) 토지투쟁 = 371
   8) 전북 임실 고추투쟁 = 372
   9) 전북 부안 노곡 수몰민 대토보상투쟁 = 373
   10) 전남여성농민위원회의 '2ㆍ13 여의도대회' 후속 투쟁 = 375
 2절 여성농민의 독자적 투쟁 = 378
  1. 충남 부여 내곡리 경지정리피해보상투쟁 = 378
  2. 전남 무안 의료보험료시정투쟁 = 380
  3. 전남 무안 고추제값받기투쟁 = 381
  4. 제주도 해녀들의 어장피해보상투쟁 = 382
 3절 여성농민투쟁과 가부장제적 억압 = 383
7장 여성농민운동론
 1절 여성농민운동 이론화 단계 = 387
  1) 김주숙(이화여자대학교 여성자원개발연구소, 1977. 1) = 388
  2) 김영자(가톨릭농촌여성회 초대 회장, 1979. 1) = 389
  3) 가톨릭농촌여성회(1982. 10) = 390
  4) 조형(이화여대 교수, 1984. 7) = 391
  5) 이미경(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연구간사, 1984. 9) = 393
  6) 이우재(농업문제 연구가, 1984. 10) = 394
  7) 각 여성농민운동론 비교 = 396
 2절 여성농민운동론 = 397
  1. 여성농민운동론 시론을 위한 전남 지역 토론회 = 398
  2. 자주적 여성농민운동론 = 400
   1) 자주적 여성농민운동의 건설을 위하여 = 400
   2) 자주적 여성농민운동의 일보 전진을 위하여 = 403
  3. 여성농민 대중운동론 = 404
  4. 분파주의 논쟁 = 410
   1) 기독교농민회 내부 토론 = 411
   2) 가농 여성부 = 413
 3절 1990년대 남녀 농민운동조직의 통합 모색 = 415
  1. 전여농의 내부 토론 = 415
   1) 토론 자료 = 416
   2) 전남여농준비위의 조직 논의 = 418
  2. 전여농위, 전농에 통합 방법 제안과 실천 시도 = 422
   1) 전국농민회총연맹 결성에 즈음한 전국여성농민위원회의 제안(1990. 4. 2) = 422
   2) 전국농민회총연맹 결성에 즈음한 전국여성농민위원회의 제안(1990. 4. 10 수정 제안문) = 423
   3) 여성농민운동의 자주성과 통일성을 위한 제언 = 425
   4) 전여농, 전농에 단체가입 제안 = 426
   5) 전여농의 전농과의 결합을 위한 실천 내용 = 428
  3. 전농의 전여농과의 결합을 위한 움직임 = 429
   1) 전농 제1기 제4차 중집위 결정 = 429
   2) 전농 제1기 제5차 중집위 결정 = 431
   3) 전농의 여농 관련 활동 = 432
   4) 전여농의 단체가입 제안에 대하여 = 432
   5) 전농의 여성농민 관련 규약ㆍ규정 = 433
   6) 전여농과 전농의 통합 방안 비교 = 435
8장 여성농민 조직화
 1절 한국가톨릭농촌여성회 = 439
  1. 창립 과정 = 439
   1) 창립총회 = 439
   2) 창립 초기의 가여농 = 440
   3) 조직 = 442
  2. 활동 = 444
   1) 마을 협동 활동 = 445
   2) 권익실천 활동 = 448
   3) 조사ㆍ연구 출판 활동 = 449
   4) 홍보ㆍ선전 활동 = 451
   5) 연대 활동 = 453
   6) 회칙의 주요 부분 = 455
   7) 명칭 변경과 해소 총회 = 456
   8) 전국여성농민위원회에 합류한 조직 = 456
 2절 농민운동단체의 여성농민 조직화 = 457
  1. 한국가톨릭농민회 = 457
   1) 가농 부녀부 설치 = 457
   2) 부녀부(여성부) 조직 = 458
   3) 여성부 활동 = 460
   4) 여성농민 소식지 = 465
   5) 전국여성농민위원회에 합류한 조직 = 465
  2. 한국기독교농민회총연합회 = 465
   1) 기농여성위원회 발족 준비 과정 = 465
   2) 활동 = 466
   3) 조직화 = 469
   4) 전국여성농민위원회에 합류한 조직 = 470
 3절 독자적 여성농민 조직화 = 471
  1. 경기 지역 = 471
   1) 조직화 과정 = 471
   2) 각 군별 여성농민 활동 = 472
  2. 강원 지역 = 473
  3. 충남 지역 = 473
   1) 충남 여성농민운동의 태동 = 473
   2) 충남 여성농민조직 활성화 모임 결성 = 473
  4. 충북 지역 = 475
  5. 경남 지역 = 475
  6. 경북 지역 = 476
   1) 조직화 과정 = 476
   2) 각군별 여성농민 조직화 = 476
  7. 전북 지역 = 477
   1) 전북여성농민회 창립 준비 = 477
   2) 전북여성농민회 준비위원회 결성 = 478
   3) 전북여성농민회연합 창립 = 478
   4) 각 군별 여성농민 조직화 = 478
  8. 전남 지역 = 480
   1) 전남여성농민회준비위원회 결성까지 = 486
   2) 여성농민투쟁에서 조직화로 = 489
   3) 전남여성농민회준비위원회 결성과 주요 활동 = 490
   4) 전남여성농민회 결성대회 = 496
   5) 각 군별 여성농민 조직화 = 498
  9. 제주 지역 = 511
 4절 전국여성농민조직 활성화를 위한 위원회 = 512
  1. 결성 배경 = 512
  2. 제1차 여성농민활동가 간담회 = 513
  3. 제2차 여성농민활동가 간담회 = 517
  4. 전국여성농민위원회 결성 = 519
  5. 전국여성농민조직 활성화를 위한 위원회의 성과 = 520
  6. 조활위 규약의 주요 부분 = 521
9장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1절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창립 = 525
  1. 창립 과정 = 525
  2. 창립총회 = 526
  3. 창립의 의미 = 529
 2절 조직 = 531
  1. 조직의 형태 = 532
  2. 조직 체계 = 533
  3. 조직화 추진 = 533
   1) 결성 당시 조직 현황 = 533
   2) 초기 전여농의 조직 현황 = 534
   3) 조직화 추진 = 535
   4) 1992년 전여농 조직 상황 개요 = 539
   5) 학생 농촌활동과 여성농민 조직화 = 542
 3절 조직강화특별위원회 = 548
  1.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구성 제안서 = 549
  2. 조강특위의 활동 목표와 성과 = 550
  3. 조강특위의 활동 일지 = 551
 4절 전여농 연도별 목표와 주요 활동 = 552
  1. 1990년도 목표와 주요 활동 = 553
   1) 목표 = 553
   2) 주요 활동 = 553
   3) 투쟁 활동 = 553
   4) 투쟁 평가 = 555
  2. 1991년도 목표와 주요 투쟁 = 560
   1) 목표 = 560
   2) 투쟁 방향 = 560
   3) 주요 활동 = 561
   4) 투쟁 활동 = 562
   5) 투쟁 평가 = 562
  3. 1992년도 목표와 주요 투쟁 = 563
   1) 목표 = 563
   2) 투쟁 방향 = 563
   3) 주요 활동 = 564
   4) 투쟁 활동 = 565
   5) 투쟁 평가 = 565
  4. 1993년도 활동 목표와 주요 활동 = 566
   1) 목표 = 566
   2) 투쟁 방향 = 566
   3) 주요 활동 = 567
   4) 투쟁 활동 = 569
   5) 투쟁 평가 = 569
 5절 임원 및 대의원 명단 = 570
  1) 역대 회장단 명단 = 570
  2) 1991년도 전여농 대의원 명단 = 572
10장 땅을 사랑한 여성들
 1절 교회 여성단체들의 농촌여성 지원 = 575
  1) 한국교회여성연합회 = 576
  2) 수원교구가톨릭여성연합회 = 577
 2절 여성농민 후원 활동 = 579
  1) 여성농민을 위한 모금위원회 = 579
  2) 땅의 사람들 = 582  3) 한몫회 = 586
  4) 해외 여성들의 모금 활동 = 588
  5) 테레데솜(terre des hommes, 인간의 대지) = 590
 3절 농촌탁아운동 = 593
  1. 농촌 아동 보육 실태 = 593
   1) 1980년대 농촌 아동의 보육 실태 = 593
   2) 농번기 탁아소 운영 실태 = 594
  2. 농촌탁아운동 = 595
   1) 농촌의 유아 보육 문제 = 595
   2) 여성농민의 탁아운동 = 595
   3) 전국농촌탁아대책위원회 = 599
부록
 1. 농민 생존권투쟁 일지(1985~1989) = 607
  1) 1985년 농민투쟁 일지 = 607
  2) 1986년 농민투쟁 일지 = 609
  3) 1987년 농민투쟁 일지 = 612
  4) 1988년 농민투쟁 일지 = 618
  5) 1989년 농민투쟁 일지 = 634
 2. 여성농민운동 일지 = 637
  1) 조활위 활동 일지 = 637
  2)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활동 일지 = 638
  3) 기여농 활동 일지 = 650
  4) 전북여성농민회준비위원회 1989년 활동 일지 = 652
 3. 여성농민대개혁안 = 654
  1) 배경 = 654
  2) 여성농민개혁안 요지 = 655
 4. 전여농 규약 = 660
  1) 전여농 규약 = 660
  2) 전남여성농민회 규약(안) = 662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