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영유아 창의성 교육의 이론적 배경
제1장 창의성의 개념 및 정의 = 13
1. 창의성의 개념 = 13
2. 창의성의 구성요소 = 15
3. 뇌와 창의성 = 18
4. 영재와 창의성 = 21
제2장 영유아 창의성 연구의 흐름 = 23
1. 국내 영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 23
1) 언어교육을 통한 창의성 프로그램 연구 = 24
2) 과학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연구 = 26
3) 음악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연구 = 26
4)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연구 = 27
5) 컴퓨터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연구 = 27
6) 기타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연구 = 28
2. 국외 영유아 창의성 프로그램 = 30
1) 창의성 관련 연구의 동향 = 30
2) 창의성 프로그램 = 32
제3장 창의성 평가 = 39
1. 국내 창의성 평가 = 39
1) 유아 창의성 검사-유아용 = 39
2) 유아 창의성 검사-저학년용 = 39
3) 칠교판 검사 = 40
4) 종합 창의성 검사 = 40
5) 한국적 유아용 수행평가 도구 = 41
2. 국외 창의성 평가 = 42
1) 확산적 사고 검사(SOI 검사) = 42
2) Creative Training = 42
3) 창의적 사고 검사(TTCT 검사) = 43
4) CPS(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Adjective Check List) = 43
5) CAT(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 43
6) GIFT 검사(Group Inventory for Finding (Creative) Talent) = 44
7) 그림 창의성 검사(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 TCT-DP) = 44
8) 프로젝트 스펙트럼(Project Spectrum) = 44
9) CPSS(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 45
제4장 창의적 천재 = 47
1. 국내 창의적 천재 = 47
2. 국외 창의적 천재 = 49
1) 언어의 창의적 천재 = 50
2) 논리ㆍ수학의 창의적 천재 = 50
3) 신체ㆍ운동의 창의적 천재 = 51
4) 공간의 창의적 천재 = 51
5) 음악의 창의적 천재 = 51
6) 대인관계의 창의적 천재 = 52
7) 개인이해의 창의적 천재 = 53
제5장 창의성과 영유아교육 = 55
1. 창의성 개발과 부모의 역할 = 55
1) 창의적인 영유아의 부모와 창의적이지 못한 영유아의 부모 차이 = 55
2) 자녀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부모의 역할 = 56
2. 창의성 교육과 교사의 역할 = 59
1) 창의성을 촉진시키는 교사 = 59
2) 영유아의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 60
1부 참고문헌 = 67
제2부 영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제
제1장 나와 친구 = 75
주제 선정의 이유 = 76
목적 = 76
주제조직망 = 77
영역별 활동조직망 = 78
영역별 활동 방법 = 79
1) 건강 및 안전생활영역 = 80
2) 신체운동조절영역 = 90
3) 사회정서영역 = 102
4) 일상생활영역 = 117
5) 상징 및 표현영역 = 124
6) 언어활동영역 = 133
7) 감각 및 탐색영역 = 144
제2장 동물 = 157
주제 선정의 이유 = 158
목적 = 158
주제조직망 = 159
영역별 활동조직망 = 160
영역별 활동 방법 = 161
1) 건강 및 안전생활영역 = 162
2) 신체운동조절영역 = 170
3) 사회정서영역 = 178
4) 일상생활영역 = 186
5) 상징 및 표현영역 = 188
6) 언어활동영역 = 198
7) 감각 및 탐색영역 = 204
제3장 음식 = 221
주제 선정의 이유 = 222
목적 = 222
주제조직망 = 223
영역별 활동조직망 = 224
영역별 활동 방법 = 225
1) 건강 및 안전생활영역 = 226
2) 신체운동조절영역 = 234
3) 사회정서영역 = 240
4) 일상생활영역 = 250
5) 상징 및 표현영역 = 260
6) 언어활동영역 = 268
7) 감각 및 탐색영역 = 272
제4장 교통기관 = 293
주제 선정의 이유 = 294
목적 = 294
주제조직망 = 295
영역별 활동조직망 = 296
영역별 활동 방법 = 297
1) 건강 및 안전생활영역 = 298
2) 신체운동조절영역 = 308
3) 사회정서영역 = 324
4) 일상생활영역 = 334
5) 상징 및 표현영역 = 342
6) 언어활동영역 = 348
7) 감각 및 탐색영역 = 354
2부 참고문헌 = 358
찾아보기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