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387338 | |
005 | 20170530115213 | |
007 | ta | |
008 | 070917s2007 ulka s 001c kor | |
020 | ▼a 9788983259004 ▼g 93560 | |
035 | ▼a (KERIS)BIB000011025495 | |
040 | ▼a 245011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004.22 ▼2 22 |
085 | ▼a 004.22 ▼2 DDCK | |
090 | ▼a 004.22 ▼b 2007a | |
100 | 1 | ▼a 강안구 |
245 | 1 0 | ▼a 전자계산기 구조 / ▼d 강안구 , ▼e 임석구 , ▼e 최지영 저 |
260 | ▼a 서울 : ▼b 한올출판사, ▼c 2007 | |
300 | ▼a x, 320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임석구, ▼e 저 |
700 | 1 | ▼a 최지영,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22 2007a | Accession No. 1211551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22 2007a | Accession No. 12115512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강안구(지은이)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석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박사 현) 주성대학 디지털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임석구(지은이)
한국항공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했습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LG 중앙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근무했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에서 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는 백석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주요 저서 및 공저로 한빛아카데미에서 출간한 『IT CookBook, 손에 잡히는 데이터 통신』 , 『IT CookBook, 최신 컴퓨터 구조』 , 『IT CookBook, 디지털 논리회로(초판/개정판/개정3판/개정4판)』, 『IT CookBook, 처음 만나는 디지털 논리회로』, 『IT CookBook, C 언어로 배우는 8051 마이크로프로세서』, 『IT CookBook, 어셈블러로 배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와 『순서도 for C』 (정익사, 2013), 『공업수학』(대영사, 2006), 『고등학교 디지털 논리회로』(서울교과서, 2018) 등이 있습니다. 관심 연구 분야는 정보 통신 네트워크, 이동통신 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 등입니다. 주요 강의 과목은 논리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 통신, 센서 공학, 자동제어, IoT 응용제어 등입니다.
최지영(지은이)
세명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이학사 세명대학교 대학원 전산정보학고 이학석사 청주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현) 한국폴리텍1 서울정수대학 모바일정보통신학과 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컴퓨터 구조 일반 = 1 1.1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 2 1.2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 3 1.2.1 소프트웨어(software) = 4 1.2.2 하드웨어(hardware) = 6 1.3 컴퓨터의 특성과 분류 = 8 1.3.1 컴퓨터의 특성 = 8 1.3.2 컴퓨터의 분류 = 9 용어정의 = 12 기출문제 = 14 제2장 디지털 논리 회로 = 17 2.1 논리 게이트와 불 대수 = 18 2.1.1 논리 게이트 = 18 2.1.2 불 대수 = 22 2.1.3 불 대수의 간략화 = 26 2.2 조함 논리 회로 = 29 2.2.1 반가산기(half adder) = 29 2.2.2 전가산기(full adder) = 29 2.2.3 비교기(comparator) = 32 2.2.4 디코더(decoder) = 32 2.2.5 인코더(encoder) = 34 2.2.6 멀티플렉서(multiplexer) = 34 2.2.7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 35 2.3 순서 논리 회로 = 36 2.3.1 기본적인 플립블롭(S-R 래치) = 37 2.3.2 S-R 플립플롭 = 37 2.3.3 D 플립플롭 = 37 2.3.4 J-K 플립플롭 = 40 2.3.5 T 플립플롭 = 41 2.3.6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 = 42 2.4 래지스터 = 43 2.4.1 병렬 입력-병렬 출력 레지스터 = 43 2.4.2 직렬 입력-직렬 출력 레지스터 = 44 2.4.3 직렬 입력-병렬 출력 레지스터 = 44 2.4.4 병렬 입력-직렬 출력 레지스터 = 45 2.5 카운터 = 46 용어정의 = 47 기출문제 = 48 제3장 자료의 표현 = 57 3.1 자료 표면의 개요 = 58 3.2 수의 표현 = 58 3.2.1 10진수 체계 = 58 3.2.2 2진수 체계 = 59 3.2.3 8진수 체계 = 59 3.2.4 16진수 체계 = 59 3.3 진수의 변환 = 59 3.3.1 10진수를 2진수, 8진수, 16진수로 변환하는 경우 = 60 3.3.2 2진수, 8진수, 16진수의 상호 변환 = 62 3.4 수치 자료의 표현 = 64 3.4.1 고정 소수점 표현 방식 = 64 3.4.2 부동 소수점 표현 방식 = 69 3.5 비수치 자료의 표현 = 71 3.5.1 6비트 BCD 코드 = 71 3.5.2 ASCII 코드 = 72 3.5.3 EBCDIC 코드 = 72 3.5.4 가중치를 갖는 코드 = 73 3.5.5 가중치를 갖지 않는 코드 = 74 3.5.6 에러 검출 코드 = 75 3.6 자료의 내부적 표현 = 77 3.6.1 선형 구조(linear structure) = 77 3.6.2 축차 구조(sequential structure) = 77 3.6.3 접속 구조(linked structure) = 78 용어정의 = 79 기출문제 = 82 제4장 자료의 연산 = 99 4.1 자료 연산의 개요 = 100 4.2 논리적 연산(비수치적 연산) = 101 4.3.1 unary(단항) 연산 = 101 4.3.2 binary(2진) 연산 = 103 4.3 산술적 연산(수치적 연산) = 104 4.3.1 산술적 이동(shift) = 105 4.3.2 10진수 연산 = 106 4.3.3 2진수 연산 = 106 4.3.4 8진수, 10진수 연산 = 111 기출문제 = 113 제5장 중앙 처리 장치 = 121 5.1 중앙 처리 장치의 구성 = 122 5.2 연산 논리 장치 = 124 5.3 중앙 처리 장치의 내부 버스 = 125 5.3.1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 126 5.3.2 데이터 버스(data bus) = 126 5.3.3 제어 버스(control bus) = 127 5.4 레지스터(register)부 = 127 5.4.1 범용 레지스터 = 128 5.4.2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 = 129 5.4.3 프로그램 카운터(PC ; program counter) = 129 5.4.4 스택 포인터(SP ; stack pointer) = 129 5.4.5 명령 레지스터(IR ; instruction register) = 130 5.5 명령어 형식 = 130 5.5.1 명령어의 구성 = 130 5.5.2 명령어 종류 = 132 5.5.3 명령어의 주소 형식 = 133 5.6 주소 지정 방식 = 135 5.6.1 주소의 표현 = 135 5.6.2 주소 지정 방식 = 136 용어정의 = 141 기출문제 = 143 제6장 제어 장치 = 157 6.1 제어 장치의 구성 = 158 6.1.1 제어 장치의 구조 = 158 6.1.2 제어 장치의 구성 요소 = 159 6.2 마이크로오퍼레이션과 마이크로사이클 = 160 6.2.1 마이크로오퍼레이션 = 160 6.2.2 마이크로사이클 타임 = 162 6.3 메이저 상태와 제어 = 162 6.3.1 메이저 상태(major state) = 163 6.3.2 제어기(CLU ; control logic unit) = 165 6.3.3 접근 시간과 사이클 타임의 관계 = 167 6.4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론 사이클 타이밍 = 167 6.4.1 기본 사이클과 기계 사이클(machine cycle) = 167 6.4.2 명령 사이클(instruction cycle) = 168 용어정의 = 170 기출문제 = 172 제7장 기억 장치 = 183 7.1 기억 장치의 개요 = 184 7.2 기억 장치의 종류 = 185 7.2.1 주기억 장치(main memory) = 185 7.2.2 보조 기억 장치(auxiliary memory) = 188 7.3 주기억 장치의 구성(1KB RAM의 경우) = 191 7.4 기억 장치의 기능 = 192 7.4.1 접근 시간 및 사이클 시간 = 192 7 4.2 기억 장치의 접근 방식 = 193 7.4.3 기억 용량 = 194 7.5 특수 기억 장치 = 196 7.5.1 캐시 기억 장치(cache memory) = 196 7.5.2 어소시에이티브 기억 장치(associative memory) = 197 7.5.3 가상 기억 장치(virtual memory) = 197 용어정의 = 199 기출문제 = 201 제8장 입출력 장치 = 219 8.1 입출력 장치의 개요 = 220 8.1.1 입출력 장치의 분류 = 220 8.1.2 입출력 장치 특성 = 223 8.2 입출력 시스템 구성 = 224 8.2.1 입출력(I/O) 인터페이스 = 224 8.2.2 입출력 프로세서 = 226 8.3 입출력 제어 방식 = 228 8.3.1 직접 제어 방식 = 228 8.3.2 직접 기억 장치 접근 제어 방식 = 230 8.3.3 채널(channel) 방식 = 231 8.4 입출력 채널 = 232 8.4.1 입출력 채널의 역할 = 232 8.4.2 채널의 명령 형식 = 233 8.4.3 채널의 종류 = 235 8.5 단말 장치 = 236 8.5.1 단말 장치의 역할 = 236 8.5.2 단말 장치의 종류 = 237 8.6 온라인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스템 = 238 8.6.1 온라인 시스템(On Line System) = 238 8.6.2 오프라인 시스템(Off Line System) = 238 용어정의 = 239 기출문제 = 242 제9장 인터럽트 = 253 9.1 인터럽트 개요 = 254 9.2 인터럽트 동작 = 255 9.3 인터럽트 체계 = 257 9.3.1 인터럽트 체계 구성 = 257 9.3.2 소프트웨어(software) 방법 = 258 9.3.3 하드웨어(hardware) 방법 = 259 9.4 인터럽트 우선 순위 = 260 9.4.1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 = 261 9.4.2 인터럽트의 우선 순위 부여 방법 = 261 용어정의 = 263 기출문제 = 265 제10장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 281 10.1 운영 체제의 개념 = 282 10.1.1 운영 체제의 정의 = 282 10.1.2 운영 체제의 종류 및 발전 = 282 10.2 운영 체제의 목적 = 283 10.2.1 처리 능력의 향상 = 284 10.2.2 응답 시간의 단축 = 284 10.2.3 RAS의 향상 = 285 10.2.4 기타 = 286 10.3 운영 체제의 구성과 동작 = 286 10.3.1 운영 체제의 구성 = 286 10.3.2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 = 287 10.4 운영 체제의 데이터 처리 = 289 10.4.1 데이터 처리의 타이밍과 목적에 따른 방식 = 289 10.4.2 단말과 컴퓨터간의 관계에 따른 처리 방식 = 290 10.4.3 컴퓨터 시스템의 위치에 따른 처리 방식 = 290 10.4.4 컴퓨터간의 접속에 딱른 처리방식 = 291 10.5 운연 체제의 기법 = 291 10.5.1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 291 10.5.2 다중 프로세싱(multi-processing) = 292 10.6 프로그래밍 언어 = 293 10.6.1 프로그램 언어의 종류 = 293 10.6.2 대표적 언어의 특징 = 293 10.7 언어 처리 프로그램 = 296 10.7.1 프로그램 언어의 컴퓨터 처리 = 297 10.7.2 언어 처리 프로그램의 종류 = 298 용어정의 = 302 기출문제 = 305 찾아보기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