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2
역자 서문 = 4
질환별 분류 목차 = 11
이 책에 대하여ㆍ이 책을 보는 방법 = 14
서론 : 응급의료에서의 영상판독 = 20
제1장 두부
A) 두부 CT
01) 급성 경막외혈종(보존적) = 26
02) 급성 경막외혈종(개두 혈종제거술) = 28
03) 급성 경막하혈종(단순형) = 30
04) 뇌좌상 = 32
05) 외상성 지주막하출혈 = 34
06) 만성 경막하혈종 = 36
07) 양쪽 뇌좌상(중증) = 38
08) 함몰 골절 = 40
09) 뇌실내출혈 = 42
10) 뇌농양(배액술) = 44
11) 골형성 = 46
12) 전이성 뇌종양 = 48
13) 수막종 = 50
14) 뇌경색 = 52
15) 지주막하출혈(동맥류) = 54
16) 미상핵 출혈 = 56
17) 피각출혈(뇌수술) = 58
18) 시상출혈 = 60
19) 소뇌출혈 = 62
20) 교출혈(pontine hemorrhage) = 64
21) 피질하출혈(아밀로이드혈관병증) = 66
22) 급성 수두증(일반적) = 68
23) 수두증(악화된 사례) = 70
24) 소뇌경색 = 72
25) 뇌저온요법(외상) = 74
26) 일산화탄소 중독 = 76
27) 뇌내혈종을 동반한 지주막하출혈 = 78
B) 두부 MIR
28) 미만성 축색손상(DAI) = 80
29) 저혈당에 의한 대사성 뇌증 = 82
30) 단순 헤르페스 뇌염 = 84
31) 뇌간경색 = 86
32) 해면상 혈관종 = 88
C) 두부혈관조영
33) 뇌동맥류(개두술) = 90
34) 뇌동맥류(코일) = 92
35) 두개저골절(상악동맥 색전술) = 94
36) 뇌경색(스텐트) = 96
D) 3D CT혈관조영
37) 뇌동맥류(전교통동맥류) = 98
제2장 흉부
A) 흉부 CT
01) 혈기흉, 외상성 폐낭포 = 102
02) 특발성 식도파열 = 104
03) 농흉 = 106
04) 심장압전 = 108
05) 대동맥류 파열 = 110
06) 폐색전증 = 112
07) 외상성 대동맥 손상 = 114
08) 횡격막 파열 = 116
09) 총상 = 118
10) 하대정맥 필터 삽입 = 120
B) 흉부 X선
11) 기흉(중심정맥천자술의 합병증) = 122
12) 기흉(악화된 사례) = 124
13) 긴장성 기흉 = 126
14) 혈흉(일반적) = 128
15) 흉수(배액술) = 130
16) 흡인성 폐렴 = 132
17) 무기폐(일반적) = 134
18) 총상 = 136
19) 횡격막 파열 = 138
20) 급성 호산구성 폐렴 = 140
21) 폐포 출혈(PCPS) = 142
22) 급성 폐부종 = 144
23) 재팽창성 폐부종 = 146
24) 간질성 폐렴 = 148
25) 폐아스페르길루스증 = 150
26) 폐동맥 카테터 = 152
27) Pace maker 삽입 = 154
28) ICD 이식 = 156
C) 흉부혈관조영
29) 심근경색 = 158
30) 심도자절제술(catheter ablation) = 160
D) 심장초음파
31) 심장압전 = 162
32) 폐색전증 = 164
E) 기관지내시경
33) 기도화상 = 166
제3장 복부
A) 복부 CT
01) 간파열 = 170
02) 비장파열 = 172
03) 신장파열 = 174
04) 신장경색 = 176
05) 장간막 손상 = 178
06) 급성 췌장염 = 180
07) 소화관 천공 = 182
08) 신농양 = 184
09) 간농양 = 186
10) 복부대동맥류 파열 = 188
11) 상장간막동맥 혈전증 = 190
12) 난소낭종 = 192
13) 범발성 복막염 = 194
14) 복강내출혈(IABO 사용) = 196
15) 간세포암 파열 = 198
B) 복부 X선
16) 장폐색 = 200
17) 소화관 천공 = 202
18) 소화관 조영(가스트로그라핀) = 204
C) 복부혈관조영
19) 간파열 = 206
20) 비장파열 = 208
21) 신장파열 = 210
D) 복부초음
22) 복강내 출혈 = 212
23) 급성 담낭염 = 214
24) 급성 충수염 = 216
25) 급성 췌장염 = 218
E) 소화기내시경
26) 위궤양 = 220
27) 십이지장 궤양 = 222
28) 식도정맥류 = 224
29) 위루조형술(gastrostomy tube) = 226
30) 산ㆍ알카리 복용 = 228
31) 상부소화관 이물 = 230
32) 하부소화관 이물 = 232
제4장 척추ㆍ골반
A) 척추 X선
01) 치아돌기 골절 = 236
02) 중하위 경추손상 = 238
03) 제1요추와 제3요추 파열골절 = 240
04) 제2요추 파열골절 = 242
B) 골반ㆍ사지 X선
05) 골반고리 골절ㆍ관골구 골절 = 244
06) 천장관절 탈구골절 = 246
07) 대퇴골 골절 1 = 248
08) 대퇴골 골절 2 = 250
09) 대퇴골 골절 3 = 252
10) 경골과 비골의 골간부 골절 = 254
11) 상완골 골간부 골절 1 = 256
12) 상완골 골간부 골절 2 = 258
13) 요골 및 척골 골간부 골절 = 260
C) 골반혈관조영
14) 골반골절 = 262
부록 : 중요용어 해설 = 266
색인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