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제환경책임법론

국제환경책임법론 (3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병도
서명 / 저자사항
국제환경책임법론 / 박병도.
발행사항
파주 :   집문당 ,   2007.  
형태사항
335 p. ; 23 cm.
총서사항
아산재단 연구총서 ; 제233집
ISBN
8930313167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607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85717
005 20100806081816
007 ta
008 070817s2007 ggk b 001c kor
020 ▼a 8930313167 ▼g 93360
035 ▼a (KERIS)BIB000010974191
040 ▼a 243001 ▼c 243001 ▼d 243001 ▼d 211009
082 0 4 ▼a 344.046 ▼2 22
090 ▼a 344.046 ▼b 2007a
100 1 ▼a 박병도 ▼0 AUTH(211009)142740
245 1 0 ▼a 국제환경책임법론 / ▼d 박병도.
260 ▼a 파주 : ▼b 집문당 , ▼c 2007.
300 ▼a 335 p. ; ▼c 23 cm.
440 0 0 ▼a 아산재단 연구총서 ; ▼v 제233집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31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31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44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512380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31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31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114344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청구기호 344.046 2007a 등록번호 1512380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병도(지은이)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변호사시험 출제위원 (3회, 6회, 8회) 사법시험,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출제위원 역임 국제법평론회 회장 역임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접근
 1. 환경문제의 전지구성과 국제환경법의 등장 = 15
 2. 지구환경보호와 국제법 = 18
  1)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 = 18
  2) 지구환경보호와 국제법의 역할 = 19
 3. 국제환경법상 국가책임 = 20
  1) 국가책임과 관련한 국제환경법의 현상황 = 20
  2)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의 기능 = 250
  3)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의 접근방식 = 26
  4) 환경오염에 대한 구가책임의 여원 = 27
  5)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의 법전화 작업 = 29
제2장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의 국제책임
 1. 국가책임일반론 = 35
  1) 국가책임의 유형 = 35
  2) 국가책임 기본원칙 = 36
 2. 국경을 넘는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불법행위책임 = 39
  1)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 39
  2) 과실의 국가책임 성립요건 여부 = 56
  3) 손해의 발생 = 69
 3. 해로운 결과에 대한 국제책임 = 72
제3장 지구환경보호와 강행법규: 환경오염은 강행법규위반인가?
 1. 국제법상 강행법규 = 77
 2. 국제공동체이익과 지구한경보호 = 80
  1) 국제공동체이익의 개념 = 80
  2) 국제공동체이익의 본보기로서 지구환경보호 = 83
 3. 국제환경법상 강행법규의 내용 = 85
  1) 의의 = 85
  2) 국제공동체를 위협하는 대량적인 환경오염 금지 = 88
제4장 국제관습법상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1. 국제환경법의 법원으로서 국제관습법 = 95
  1) 일반조약상이 관행 = 96
  2) 국제판례의 태도 = 98
  3) 국제사회의 관행 = 103
 2. 국제관습법상 책임원칙의 존재를 부인하는 주장 = 110
  1) Harmon주의 = 110
  2) 국제관습법상 책임원칙의 존재를 부인하는 근거 = 112
  3) Rest의 견해 = 114
 3. 국제관습법상 책임원칙의 존재를 인정하는 주장 = 115
  1) 의의 = 115
  2) 국경을 넘는 환경오염에 대한 국제관습법상의 기본원칙 = 116
  3) 국제관습법상 기본원칙의 효력 = 121
 4. 국제관습법의 적용에 관한 비판적 검토 = 122
제5장 조약상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
 1. 의의 = 131
 2. 국제환경협약에 규정된 책임조항들 = 133
 3. 조약의 목적에 책임원칙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 136
  1)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조약들에 포함된 책임규정 = 136
  2)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조약들에 포함된 책임규정 = 139
  3) UN해양법협약상 책임규정 = 142
  4) 기타 = 145
 4. 고도로 위험한 활동분야에서 국가책임을 다루고 있는 조약 = 146
 5. 민사법상 책임원칙을 포함하고 있는 조약 = 148
제6장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국가책임이행의 한계
 1. 의의 = 155
 2. 국제재판관할건에 내재된 한계 = 156
 3. 환경문제의 특수성으로 인한 한계 = 161
 4.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배상책임의 한계 = 165
  1) 의의 = 165
  2) 사실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배상책임이행의 장애요인 = 167
  3) 환경책임의 법적 성질로부터 발생하는 장애요인 = 172
  4) 개인 희생자의 피해 구제문제 = 174
제7장 지구공유공간의 환경오염에 대한 제3국에 대한 구제
 1. 지구공유공간의 법적 지위 = 179
  1) 하나의 사례: 선박 Bahia Paraiso호의 파선사고 = 179
  2) 지구공유공간의 법적 지위와 관련문제 = 180
 2. 국제법상 제3국에 의한 구제허용의 법적 근거 = 183
  1)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 = 184
  2) 인권의 국제적 보호를 위한 국제인권조약 = 185
  3) 보편관할권을 인정하고 있는 UN해양법협약 = 186
  4) ICJ 규정과 판례 = 187
  5) ILC의 국가책임법의 입법작업 = 189
  6) 미국의 대외관계법 = 195
 3. 국제환경법규상 제3국에 의한 구제 = 196
  1) 지구환경보호를 위한 일반적 국제환경법규 = 197
  2) 특별히 제3국 구제가 적용 가능한 국제환경법규 = 201
 4. 제3국에 의한 구제의 한계 = 206
  1) 국제법적 구제의 성질상의 한계 = 207
  2) 제3국에 의한 구제를 집단적 조치로 제한하는 경우 = 209
  3) 제3국에 의한 구제를 국제공동체의 이익에 대한 침해로 제한하는 경우 = 210
제8장 환경오염에 대한 국가책임체제의 개선방안
 1. 의의 = 213
 2. 무과실책임의 도입과 입증책임의 전환 = 214
 3. 국내적 구제완료와 외교적 보호권 행사의 보완 = 217
 4. 사인이 피해구제 강화 = 219
 5. 국제재판관할권의 확대 = 224
제9장 환경오염예방을 위한 절차적 의무
 1. 절차적 의무와 등장 = 229
 2. 환경영향평가의무 = 234
  1) 환경영향평가의 개념 및 특징 = 235
  2) 환경영향평가의 국제적 발전 = 236
  3) 환경영향평가의무에 대한 법적 평가 = 259
 3. 통지 및 정보제공의 의무 = 263
  1) 환경정보의 중요성 = 263
  2) 국제적 동향 = 264
  3) 통지 및 정보제공의무에 대한 법적 평가 = 268
 4. 협의의무 = 273
 5. 절차적 의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77
제10장 국제환경협약의 실효성을 위한 비당사국에 대한 무역규제
 1. 국제환경협약상 무역규제 = 283
 2.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에 관한 논쟁 = 284
  1)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논쟁 = 284
  2) 자유무역주의와 환경보호주의의 대립 = 287
 3. 비당사국에 대한 유인방법과 무역규제의 방식 = 289
  1) 비당사국을 협약으로 유인하는 방법 = 289
  2) 당근과 채찍정책 = 291
  3) 환경보호를 위한 무역규제의 방식 = 292
 4. 무역규제조치의 법적 근거 = 295
 5. 무역규제조항을 포함하고 있는 국제환경협약 = 299
  1) CITES = 299
  2) Montreal의정서 = 301
  3) Basel협약 = 302
  4) 생물다양성협약 = 304
  5) 기후변화협약 = 306
제11장 국제환경책임을 지원하는 제도의 강화
 1. 국제환경기준의 설정 = 311
 2. 국제적인 보상 및 배상기금의 확보 = 312
 3. 오염자부담원칙의 확립 = 315
약어표(abbrevlation) = 319
참고문헌 = 320
찾아보기 = 333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형배 (2023)
지역보건연구회 (2023)
한국.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2022)
Prütting, Dorothea (2022)
토담출판사 (2022)
Rodi, Michael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