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07camccc200361 k 4500 | |
001 | 000045385564 | |
005 | 20100806081531 | |
007 | ta | |
008 | 070403s2007 ulkad b 001c kor | |
020 | ▼a 8956541647 ▼g 93690: ▼c \22000 | |
024 | 3 1 | ▼a 9788956541648 |
035 | ▼a (KERIS)BIB000010857113 | |
040 | ▼a 211062 ▼c 211062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2.044 ▼2 22 |
090 | ▼a 612.044 ▼b 2007a | |
100 | 1 | ▼a Viru, Atko |
245 | 1 0 | ▼a 스포츠 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 / ▼d Atko Viru, ▼e Mehis Viru 공저 ; ▼e 조성봉 [외]역. |
246 | 1 9 | ▼a Biochemical Monitoring of Sport Training. |
260 | ▼a 서울 : ▼b 대한미디어 , ▼c 2007. | |
300 | ▼a 312 p. : ▼b 삽도, 도표 ; ▼c 29 cm. | |
500 | ▼a 공역자: 김기진, 이상욱, 김선영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Sports ▼x Physiological aspects |
650 | 0 | ▼a Exercise ▼x Physiological aspects |
650 | 0 | ▼a Biochemistry |
650 | 0 | ▼a Clinical biochemistry |
700 | 1 | ▼a Viru, Mehis , ▼e 저 |
700 | 1 | ▼a 조성봉 , ▼e 역 |
700 | 1 | ▼a 김기진 , ▼e 역 |
700 | 1 | ▼a 이상욱 , ▼e 역 |
700 | 1 | ▼a 김선영 ,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044 2007a | 등록번호 1512380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 | 청구기호 612.044 2007a | 등록번호 15123808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트레이닝의 모니터링을 위한 총체적 지침서
이 책의 목적은 코치, 스포츠전문의, 연구원, 대학원생들에게 트레이닝 과정에서 생화학적 방법에 의한 모니터링을 위한 과학적 원리와 관력된 지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방법은 요구되는 결과의 적절한 생화학적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의 전달을 활성화시키고, 생화학적 연구의 결과에 대한 과대평가를 피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는 데 있어서 어떤 방법이 중요한가 또는 모순되는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스포츠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방법론적 문제점을 다루게 된다.
언제, 어떻게 스포츠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을 이용할 것인가가 이 책의 주된 초점이며, 생화학적 분야의 연구에 관한 방법론과 그 타당성, 제한성 및 잘못된 근거 등이 다루어진다. 주된 내용은 모니터링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정보와 과학적으로 체계화된 이론적 배경의 윤곽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의 목적, 필요성 및 주된 역할 등을 다룬다. 두 번째 부분은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방법들의 일반적인 분석을 다룬다. 주된 초점은 대사변인 및 기질, 호르몬 등과 같은 모니터링의 도구에 관한 것이다. 세 번째 부분은 트레이닝에 의한 여러 가지 변화의 평가, 트레이닝 단계에서 주어진 부하의 평가(트레이닝에 의한 효과의 평가도 포함), 단기주기 트레이닝의 영향에 관한 통제, 최고 경기력의 평가, 적응에 대한 인간의 능력의 모니터링, 오버트레이닝을 나타내는 것에 대한 적절한 시기의 평가 등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이용과정에 대한여 분석한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저자 서문 = 3 역자 서문 = 5 Credits = 6 제1부 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의 목적 Chapter 1 서론 : 필요성과 기회 역사적인 고찰 = 14 트레이닝 모니터링의 원리 및 계획 = 17 요약 = 21 Chapter 2 트레이닝의 대사적 적응 트레이닝에 의한 변화에서 세포수준의 적응이 가지는 역할 = 24 적응된 단백질 합성 = 26 대사적 조절 = 31 단시간 혹은 장기간의 적응 = 33 대사조절기능의 향상 = 38 요약 = 39 제2부 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 Chapter 3 대사성 물질과 기질 근생검 = 46 혈중 대사기질 = 51 혈중의 산화성 기질 = 69 마이크로다이알리시스(미세투석법) = 76 중점 사항 = 77 요약 = 79 Chapter 4 호르몬 연구의 방법론 일반 방법론적 고찰 = 82 결과 해석 = 86 요약 = 93 Chapter 5 트레이닝 모니터링을 위한 호르몬 교감신경 부신수질계 = 96 뇌하수체 부신피질계 = 101 췌장 호르몬 = 112 성장 호르몬과 성장요인 = 117 갑상선 호르몬 = 121 수분과 전해질 균형 조절 호르몬 = 121 성호르몬 = 126 Endogenous opioid peptides = 132 요약 = 134 Chapter 6 혈액학적, 면역학적 지표와 수분-전해질 균형 혈액학적인 지표 = 138 면역학적 지표 = 155 수분과 전해질 평형 = 158 요약 = 162 제2부의 결론 = 163 제3부 트레이닝의 생화학적 모니터링에 대한 실용화 Chapter 7 트레이닝으로 유도된 효과들로부터의 반응 근 에너지학과 운동 분류 = 169 무산소 에너지학 = 170 유산소 에너지학 = 177 에너지 생산 메카니즘 모니터링 = 189 다른 트레이닝 효과 평가하기 = 195 요약 = 197 Chapter 8 트레이닝 운동 부하 평가 트레이닝 단계의 운동량 = 200 트레이닝 단기주기 = 209 요약 = 221 Chapter 9 트레이닝 전략을 적정화 하기 위한 적응력 변화에 대한 평가 트레이닝에 있어서의 적응력의 변화 = 224 트레이닝 기간 중에 호르몬 및 대사의 변화 = 230 트레이닝 기간 중 면역 활동의 변화 = 240 최고수준 스포츠의 특별한 현상 = 242 요약 = 251 제3부의 결론 = 252 결론 = 253 참고문헌 = 255 찾아보기 = 309 저자/역자소개 =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