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의 기초
제1장 거시경제학의 주요 관심사 = 3
1-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3
1-2 거시경제학의 주요 관심사 = 4
(1) 경제성장 = 4
(2) 경기변동 = 5
(3) 실업 = 5
(4) 인플레이션 = 6
(5) 이자율 = 6
(6) 국제수지 = 7
(7) 환율 = 7
1-3 거시경제모형의 특징 = 8
1-4 우리나라 거시경제의 주요 문제들 = 9
제2장 거시경제의 측정 Ⅰ : 국민소득 = 12
2-1 국내총생산(GDP) = 12
2-2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생산(GNP)과 국민순생산(NNP) = 15
2-3 명목 GDP와 실질 GDP = 16
2-4 실질 GNI : 새로운 소득지표 = 17
2-5 GDP 갭 = 19
제3장 거시경제의 측정 Ⅱ : 인플레이션과 실업 = 21
3-1 물가지수 = 22
(1) GDP 디플레이터 = 22
(2) 물가지수의 계산방법 = 22
(3) 소비자물가지수 = 24
(4) 근원인플레이션 = 24
3-2 실업률 = 26
(1) 고용통계의 작성 = 26
(2) 우리나라 실업률 통계의 특징 = 27
제4장 국민소득의 생산과 분배 = 29
4-1 재화와 용역의 생산 = 29
4-2 소득의 분배 = 32
부록 : 생산함수와 관계된 주요 거시경제변수 = 37
제5장 지출 측면의 국민소득 = 40
5-1 소비 = 40
5-2 투자 = 44
5-3 정부지출 = 47
5-4 순수출 = 49
5-5 국민경제의 순환 = 50
(1) 저축 = 50
(2) 국민경제의 순환 = 52
부록 : 개방경제의 순환과정 = 52
연습문제 = 57
제2편 국민소득 결정이론 : 단순 모형
제6장 고전학파 모형 = 65
6-1 총공급과 총수요 = 66
(1) 총공급 = 66
(2) 총수요 = 68
6-2 거시경제의 균형 = 69
(1) 저축과 투자 = 70
(2) 이자율과 거시경제의 균형 = 71
6-3 균형의 변화 = 73
(1) 재정정책의 효과 = 73
(2) 투자와 소비의 변화 = 75
제7장 단순 케인즈 모형 = 77
7-1 케인즈의 기본 가정 = 77
(1) 가격과 임금의 경직성 = 78
(2) 잉여생산능력 = 78
7-2 계획된 지출과 실제 지출 = 79
7-3 균형소득의 결정 = 81
(1) 단순 케인즈 모형에서의 소비와 투자 = 81
(2) 균형소득의 결정 = 83
7-4 승수효과 = 85
(1) 승수효과의 원리 = 85
(2) 각종 승수효과 = 86
제8장 실업 : 고전학파 대 케인즈 = 89
8-1 실업의 종류 = 89
(1) 마찰적 실업 = 89
(2) 구조적 실업 = 90
(3) 경기적 실업 = 90
8-2 완전고용과 자연실업률 = 91
8-3 임금의 경직성과 실업 = 94
부록 : 우리나라의 실업률과 경제성장률 추이 = 97
연습문제 = 104
제3편 화폐와 거시경제
제9장 화폐와 금융시장 = 113
9-1 화폐의 기능 = 113
9-2 화폐의 측정 : 통화지표 = 114
9-3 금융시장 = 117
(1) 채권 = 118
(2) 주식 = 120
제10장 화폐와 물가 = 122
10-1 화폐수량설 = 122
(1) 수량방정식 = 122
(2) 화폐수요와 수량방정식 = 124
(3) 화폐와 인플레이션 = 126
(4) 고전적 이분법 = 128
10-2 인플레이션과 이자율 = 129
제11장 이자율 : 고전학파 대 케인즈 = 132
11-1 저축ㆍ투자와 이자율 = 132
11-2 유동성선호와 이자율 = 136
11-3 유동성 효과와 예상인플레이션 효과 = 142
부록 : 예상인플레이션과 물가 = 143
연습문제 = 148
제4편 거시경제의 수요 측면
제12장 IS-LM 곡선의 도출 = 157
12-1 생산물시장과 IS곡선 = 157
(1) IS곡선의 도출 = 157
(2) IS곡선의 이동 = 159
12-2 화폐시장과 LM곡선 = 161
(1) LM곡선의 도출 = 161
(2) LM곡선의 이동 = 164
12-3 IS-LM 균형 = 165
제13장 IS-LM 모형과 재정ㆍ통화정책 = 169
13-1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효과 = 169
(1) 재정정책의 효과 = 169
(2) 통화정책의 효과 = 172
13-2 IS-LM 곡선의 여러 형태 = 175
(1) IS곡선의 여러 형태 = 175
(2) LM곡선의 형태 = 176
13-3 IS-LM 곡선의 형태와 재정ㆍ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177
제14장 물가, 예상인플레이션과 IS-LM 모형 = 180
14-1 물가와 IS-LM 모형 : 총수요곡선의 도출 = 180
14-2 예상인플레이션과 IS-LM 모형 = 184
14-3 물가 조정과 IS-LM 모형 = 187
부록 : 수식으로 표현한 IS-LM 모형 = 190
(1) IS곡선 = 190
(2) LM곡선 = 191
(3) 총수요곡선 = 192
연습문제 = 195
제5편 총수요ㆍ총공급 모형
제15장 단기와 장기 = 205
15-1 신축적 가격하의 총수요ㆍ총공급 = 205
(1) 고전학파의 총수요곡선 = 205
(2) 고전학파의 총공급곡선 = 207
15-2 경직적 가격하의 총수요ㆍ총공급 = 209
15-3 단기에서 장기로 = 212
제16장 총공급곡선의 도출 Ⅰ : 착오와 불완전정보 = 217
16-1 총공급곡선의 형태 = 217
16-2 근로자의 착오 = 219
16-3 생산자의 불완전정보 = 225
제17장 총공급곡선의 도출 Ⅱ : 임금과 가격의 경직성 = 229
17-1 임금의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 229
(1) 단체교섭과 효율임금 = 230
(2) 임금계약 = 232
17-2 경직적 가격과 총공급곡선 = 233
17-3 총공급곡선의 이동 = 237
부록 : 불완전경쟁과 총공급곡선 = 239
제18장 기대형성과 총공급곡선 = 242
18-1 통화주의와 적응적 기대 = 242
18-2 합리적 기대 = 245
18-3 기대형성의 수학적 표현 = 248
제19장 총수요ㆍ총공급 충격과 경기변동 = 251
19-1 총수요 충격과 경기변동 = 252
(1) IS 충격의 파급효과 = 253
(2) LM 충격의 파급효과 = 256
19-2 총공급 충격과 경기변동 = 260
제20장 필립스곡선 = 265
20-1 필립스곡선의 도출 = 266
20-2 필립스곡선의 활용 = 270
(1) NAIRU = 270
(2) 디스인플레이션과 희생률 = 271
부록 : 우리나라의 필립스곡선과 오쿤의 법칙 = 275
연습문제 = 283
제6편 경제성장
제21장 경제성장의 요인과 성장회계 = 293
21-1 경제성장의 요인과 성장회계 = 293
21-2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의 가정과 성장회계 = 296
21-3 성장률의 정의와 측정 = 299
부록 : 우리나라의 성장회계 = 302
제22장 자본축적과 솔로우 모형 = 304
22-1 자본의 축적 = 304
22-2 저축률과 인구증가율의 변화 = 310
(1) 저축률의 변화 = 311
(2) 인구증가율의 변화 = 312
22-3 소득격차이론으로서의 솔로우 모형 = 313
(1) 균제상태에서의 비교 = 313
(2) 균제상태로 가는 과정에서의 비교 = 314
22-4 황금률 = 315
부록 : 고령화와 경제성장률 = 317
제23장 기술진보와 솔로우 모형 = 319
23-1 일시적 기술진보의 효과 = 319
23-2 지속적 기술진보의 도입 = 321
23-3 기술진보를 고려한 솔로우 모형 = 323
23-4 경제성장에 대한 시사점 = 326
(1) 황금률에 의거한 저축률의 평가 = 326
(2) 경제성장 촉진 정책 = 327
제24장 내생적 성장이론 = 329
24-1 기본 모형 : AK 모형 = 329
24-2 인적자본의 역할 : 루카스 모형 = 331
24-3 지식자본의 역할 : 로머의 R&D 모형 = 332
연습문제 = 337
제7편 거시경제학의 미시경제적 기초
제25장 소비이론 Ⅰ : 기본 모형 = 347
25-1 케인즈의 절대소득 가설 = 348
25-2 쿠즈네츠가 발견한 소비의 수수께끼 = 350
25-3 프리드먼의 항상소득 가설 = 351
25-4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 가설 = 353
제26장 소비이론 Ⅱ : 다기간 선택 = 358
26-1 소비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 기간 간 선택 = 358
(1) 두 기간에 걸친 예산제약 = 359
(2) 소비자의 선호와 최적의 선택 = 361
(3) 소비의 평준화 = 363
26-2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 363
(1) 소득효과 = 363
(2) 대체효과 = 365
(3) 이자율 변화가 경제 전체의 저축에 미치는 효과 = 367
26-3 합리적 기대와 소비의 임의보행 가설 = 368
제27장 소비이론 Ⅲ : 재정정책과 소비 = 372
27-1 리카도 동등정리 = 372
(1) 정부의 예산제약 = 373
(2) 미래지향적 소비자와 리카도 동등정리 = 373
(3) 감세정책의 효과에 대한 여러 견해들 = 375
27-2 리카도 동등정리에 대한 비판들 = 376
(1) 유동성제약 = 376
(2) 국채수익률보다 높은 차입이자율 = 378
(3) 소비의 근시안성 = 379
(4) 후대로의 조세 전가 = 380
27-3 소비이론 종합 = 381
부록 : 우리나라 소비 변동의 특성 = 382
제28장 투자이론 Ⅰ : 기본 모형 = 386
28-1 투자의 개념과 종류 = 387
(1) 투자의 개념 = 387
(2) 투자의 종류 = 387
28-2 신고전파 투자모형 = 389
(1) 신고전파 투자함수의 도출 = 389
(2) 조세와 투자 = 393
28-3 토빈의 q 이론 = 394
부록 : 자본의 한계효율과 투자의 한계효율 = 397
(1) 현재가치의 개념 = 398
(2) 내부수익률 = 398
(3) 자본의 한계효율과 투자의 한계효율 = 399
제29장 투자이론 Ⅱ : 투자의 불안정성 = 401
29-1 투자의 불안정성 = 401
(1) 투자의 가속도 이론 = 401
(2) 불확실성과 투자 = 404
(3) 불완전정보와 투자 = 406
29-2 주택투자와 재고투자 = 407
(1) 주택투자 = 407
(2) 재고투자 = 409
29-3 투자이론 종합 = 410
부록 : 우리나라 설비투자 변동의 특성 = 412
제30장 화폐의 공급 = 414
30-1 은행의 신용창조 = 414
30-2 중앙은행과 통화공급 = 416
30-3 통화정책의 수단 = 421
(1) 일반적 정책수단 = 421
(2) 선별적 정책수단 = 423
30-4 통화공급의 내생성 = 423
(1) 본원통화의 내생성 = 424
(2) 통화승수의 내생성 = 425
제31장 화폐의 수요 = 427
31-1 거래적 화폐수요 = 427
31-2 자산으로서의 화폐수요 = 432
31-3 금융혁신과 유사화폐의 등장 = 434
부록 : 우리나라 화폐수요함수의 특성 = 436
연습문제 = 444
제8편 개방거시경제
제32장 국제수지와 환율 = 457
32-1 국제수지 = 457
32-2 개방경제의 국민소득계정 = 459
32-3 명목환율과 실질환율 = 461
32-4 순수출함수 = 464
부록 : 마샬-러너 조건의 도출 = 468
제33장 구매력평가와 이자율평가 = 469
33-1 구매력평가 = 469
33-2 이자율평가 = 472
부록 : 국가위험도와 이자율평가 = 478
제34장 개방거시경제 모형 : 수요 측면 = 480
34-1 개방거시경제 모형의 기본 틀 = 480
34-2 변동환율제도하의 개방거시경제 모형 = 483
(1) 변동환율제도하에서의 IS-LM-IP 모형 = 483
(2) 변동환율제도하에서의 먼델-플레밍 모형 = 486
34-3 고정환율제도하의 거시경제 모형 = 490
(1)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IS-LM-IP 모형 = 493
(2) 고정환율제도하에서의 먼델-플레밍 모형 = 495
제35장 환율과 물가의 조정, 외환위기, 환율제도의 선택 = 497
35-1 개방거시경제의 장ㆍ단기 균형 = 497
(1) 개방경제의 총수요곡선 = 497
(2) 개방경제의 장기균형 = 500
(3) 국제수지와 개방경제의 장ㆍ단기 균형 = 502
35-2 외환위기 = 504
35-3 환율제도의 선택 = 507
(1) 변동환율제도하의 환율 변동성 = 508
(2) 고정환율제도의 장점 = 511
부록 : 관리변동환율과 불태화 외환시장 개입 = 513
연습문제 = 519
제9편 경기변동과 안정화정책에 대한 논쟁
제36장 새고전학파의 도전 = 527
36-1 새고전학파 등장의 배경 = 528
(1) 신고전파 종합 = 528
(2) 통화주의 = 529
(3) 새고전파학의 등장 = 530
36-2 루카스 비판과 미시적 기초의 필요성 = 532
36-3 재량적 정책의 시간불일치성 = 537
제37장 RBC이론 = 545
37-1 노동공급의 기간 간 대체 = 545
37-2 RBC 이론에서의 경기변동 = 551
(1) 기술충격의 효과 = 553
(2) 재정정책의 효과 = 557
37-3 RBC 모형의 평가 = 560
제38장 새케인즈학파의 주요 이론 = 562
38-1 새케인즈학파 등장의 배경 = 562
38-2 임금의 경직성 = 564
(1) 효율임금 = 564
(2) 중첩임금계약 = 567
(3) 묵시적 계약 = 568
(4) 내부자-외부자 관계 = 569
(5)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은폐된 실업 = 570
38-3 가격의 경직성 = 571
(1) 메뉴비용 = 572
(2) 조정실패 = 573
38-4 정보의 비대칭성과 거시경제 = 574
(1) 이자율의 경직성과 신용할당 = 574
(2) 금융가속도 원리 = 576
(3) 정보의 비대칭성과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 577
제39장 이자율 준칙과 IS-MP-IA 모형 = 579
39-1 통화정책의 이자율 준칙 = 579
(1) 통화량인가 이자율인가? = 579
(2) 테일러 준칙 = 583
39-2 IS-MP-IA 모형 = 584
(1) IS-MP-IA 모형의 도출 = 584
(2) 총수요 충격과 총공급 충격의 효과 = 592
제40장 안정화정책 : 종합 = 597
40-1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상대적 유효성 = 597
(1) 시차 = 598
(2) 정치적 요인 = 599
40-2 준칙 대 재량 = 600
(1) 통화정책 = 600
(2) 재정정책 = 602
40-3 바람직한 안정화정책의 방향 = 604
(1) 통화정책 = 605
(2) 재정정책 = 606
부록 : 정부부채 비율의 계산 = 607
연습문제 = 615
찾아보기 = 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