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서론 : 학교의 이해와 학습공동체론 = 11
1. 학교의 의미와 생태학적 접근 = 13
2. 학습의 의미와 학습공동체적 접근 = 15
3. 학교에서의 학습과 학습공동체 학교 = 19
제1장 학교를 둘러싼 담론 = 23
1. 교육을 둘러싼 갈등 = 25
1) 갈등의 단면 = 27
2) 문제 해결을 둘러싼 갈등 = 29
2. 학교에 대한 네 가지 비유 = 32
1) 공장으로서의 학교 = 34
2) 병원으로서의 학교 = 36
3) 기업으로서의 학교 = 39
4) 학습공동체로서의 학교 = 42
3. 패러다임의 변화와 학습공동체 학교 담론 = 46
1) 패러다임의 변화 = 46
2) 학습공동체 학교 담론 = 52
제2장 학습공동체 학교 = 59
1. 학습공동체 학교의 특징 = 61
1) 갈등을 통해 성장하는 학교 = 63
2) 동아리 활동이 활발한 학교 = 67
3) 다양성과 재능이 공유되는 학교 = 69
4) 학습을 최우선으로 하는 학교 = 71
5) 교사의 전문성이 보장된 학교 = 72
6) 공동체 문화가 형성된 학교 = 75
2. 학습공동체 학교의 구성요소 = 78
1) 학습공동체 학교의 기반적 요소 = 82
2) 학습공동체 학교의 주체적 요소 = 101
3. 학습공동체 학교의 실현 전략 = 133
1) 학교 개혁의 성공을 위한 일반적 원칙 = 133
2) 학습공동체 학교 개혁의 구체적 원칙 = 136
3) 학습공동체 학교 개혁의 실현 전략 = 140
제3장 학습공동체 학급 = 153
1. 학습공동체 학급의 개념 = 155
2. 학습공동체 학급의 특성 = 158
1)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학급 = 158
2)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인정하는 학급 = 162
3) 구성원이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는 학급 = 164
3. 학습공동체 학급의 구성요소 = 168
1) 기반적 요소 = 168
2) 주체적 요소 = 172
4. 학습공동체 학급의 실현 전략 = 174
1) 학습공동체 학급의 기반 모델 = 174
2) 학습공동체 학급의 실현 전략 = 178
제4장 교육개혁 제언 = 209
1) 협력과 공유를 원칙으로 한 교육정책 = 214
2) 단위 학교에 자율권 부여 = 215
3) 단위 학교에 민주적인 의사결정기구 형성 = 216
4) 교사의 자율권 보장 = 217
5) 교사의 역량 제고 = 217
6) 학생들의 자율권 보장 = 219
7) 학부모와 지역인사들의 학교교육 참여 = 220
8) 교육방법의 획기적 전환 = 221
9) 교육과정과 평가의 변화 = 222
10)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 = 224
참고문헌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