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41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381940 | |
005 | 20100806072655 | |
007 | ta | |
008 | 070723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87691848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0964904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24.63 ▼2 22 |
090 | ▼a 324.63 ▼b 2007a | |
245 | 0 0 | ▼a 제4회 지방 선거 현장 리포트 / ▼d 이준한 외 지음. |
260 | ▼a 서울 : ▼b 푸른길 , ▼c 2007. | |
300 | ▼a 523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부록: 학자와 기자가 함께하는 지방 선거 현장 관찰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이준한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63 2007a | 등록번호 1114309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63 2007a | 등록번호 1114309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정치학회에 가입된 20명의 연구진이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에서 참여 관찰 방법을 사용하여 선거 과정의 움직임과 변화를 추적한 책. 지방 선거가 끝난 2006년 6월에 학술회의에서 중간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이 책은 그 최종 결과를 묶은 논문 모음집이다.
총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6년 지방 선거에서 이루어진 제도 변화와 그 영향, 2006년 지방 선거에서 관찰되는 지역주의의 영향, 새로운 제도의 채택과 지역주의의 영향 외에 5.31 지방 선거에서 부각되었던 다른 변수들의 영향등을 다루고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책을 내면서 = 4 제1부 제도 변화와 선거 현장 = 11 1장 중선거구제 도입과 선거 운동의 변화: 경기도 / 고선규 = 13 2장 중선거구제와 정당공천제의 효과: 경상북도 경산시 / 정준표 = 47 3장 중선거구제, 정당공천제 그리고 지역주의: 경상남도 마산시, 창원시, 김해시 / 김용복 = 82 4장 선거 제도 변화와 여성 참여: 부산광역시 / 황아란 = 109 5장 후보 공천 과정과 도지사 선거: 제주특별자치도 / 양길현 = 138 6장 선거 제도의 변화와 지방의원의 충원: 광주광역시ㆍ전라남도 / 김용철 = 185 제2부 지역주의와 선거 과정 = 217 7장 지역색을 넘어: 부산광역시 / 강경태 = 219 8장 지역주의에 대한 도전: 대구광역시 / 하세헌 = 244 9장 2006년 지방 선거 결과 분석: 충청북도 / 엄태석 = 267 10장 지방 선거의 구조와 동학: 대전광역시 / 유재일 = 293 11장 신지역주의 정당의 한계와 문제점: 충청도 / 정연정 = 323 제3부 이슈, 정당, 매니페스토와 선거 과정 = 349 12장 이미지, 심판론, 매니페스토: 서울특별시 / 윤종빈 = 351 13장 인물론 대(對) 정당론: 경기도 / 박명호 = 377 14장 노동자 정치 세력화 운동의 미래: 울산광역시 / 유종선 = 397 15장 혁신도시 이슈: 강원도 / 김재한 = 423 16장 매니페스토 도입과 정책 선거: 경기도 / 이현출 = 446 제4부 종합 정리 = 479 17장 5ㆍ31 지방 선거: 변화와 지속성 / 이준한 = 481 부록 =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