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聖魂 : 항일 민족교육

聖魂 : 항일 민족교육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고창중·고등학교 동창회 , 편
서명 / 저자사항
聖魂 : 항일 민족교육 / 高敞中·高等學校 同窓會.
발행사항
서울 :   高敞中·高等學校 同窓會 ,   2007.  
형태사항
481 p. : 삽도(일부색채) ; 27 cm.
000 00548namccc200193 k 4500
001 000045381851
005 20100806072605
007 ta
008 070830s2007 ulka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3.519 ▼2 22
085 ▼a 373.53 ▼2 DDCK
090 ▼a 373.53 ▼b 2007c
245 0 0 ▼a 聖魂 : ▼b 항일 민족교육 / ▼d 高敞中·高等學校 同窓會.
260 ▼a 서울 : ▼b 高敞中·高等學校 同窓會 , ▼c 2007.
300 ▼a 481 p. : ▼b 삽도(일부색채) ; ▼c 27 cm.
710 ▼a 고창중·고등학교 동창회 , ▼e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3.53 2007c 등록번호 1114309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발간사 = 20
축사 = 22
학교연혁 = 35
졸업생현황 = 39
역대 동창회장 = 41
역대 학교장 = 42
권두언 : 교육의지(敎育意志)와 방향변화(方向變化) = 44
1. 사립 오산고등보통학교의 창립
  (1) 설립지 오산(鰲山) = 49
  (2) 신교육의 시작 = 50
    ① 흥덕학당 설립
    ② 강습소 운영
  (3) 구한말 시대에서 일정말기까지의 현대교육의 변천 = 52
  (4) 오산학당 설립과 오산학교 정식 인가 = 53
  (5) 오산고등보통학교 정식 인가 = 54
  (6) 3ㆍ1만세 함성과 더불어 개교한 오산고보 = 55
  (7) 학교의 열성적 운영 = 58
  (8) 사업 경영의 애로 = 59
  (9) 폐교의 기로(岐路) = 61
  (10) 마스도미의 폐교 결정 선언 = 62
  (11) 일본 교육제도의 변천 = 64
2. 고창군민들의 고창고등보통학교 설립
  (1) 고창고등보통학교 설립의 입지(立志) = 69
  (2) 항일 민족교육의 사명으로 설립한 학교 = 71
  (3) 고창군민들의 궐기 고창군민대회 = 73
  (4) 학교 설립의 추진 사항 = 74
    동아논단 1-3
  (5) 군정의 최우선으로 설립한 고창고보 = 99
  (6) 재단법인 고창고등보통학교 설립 = 101
  (7) 학교설립 취지 및 항일운동 요지 = 104
  (8) 재단법인 고창고등보통학교 이사명단 = 106
  (9) 성산 아래 터를 잡고 전당 건립 = 110
  (10) 본관 준공식 = 112
  (11) 고창군민들의 적극적인 지원 = 113
  (12) 갈곳 없는 애국학생 전 편ㆍ입학 = 114
  (13) 엄격한 성적관리 = 117
  (14) 실력있는 우수한 선생님 모시기 = 118
  (15) 고창고보 운영의 어려움과 분규 = 121
    동아 논단 1-8
    제3회 이내범 선배(先輩)님의 증언을 들어본다
  (16) 잠재적 교육에 힘을 실은 항일 민족교육 = 175
    ①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미
    ② 항일 민족정신은 선생님들의 잠재적 영향
  (17) 독립투사요 민족의 지도자이신 선생님들 = 177
    ① 양태승 2대 교장대리
      양태승 교장선생 기념관 건립
    ② 심준섭 3대 교장대리
    ③ 송태희 선생님
    ④ 이종오 선생님
    ⑤ 유찬식 교장 선생님
    ⑥ 이병학 선생님
    ⑦ 정인승 선생임
      ''큰 나''를 위해 ''작은 나''를 희생한 건재 정인승 - 15회 소진탁
      정인승 선생님 비문
      제12회 정성택 선배의 증언을 들어본다/잊지 못할 스승
    ⑧ 홍순복 선생님
      제15회 소진탁 박사의 증언을 들어본다/그 시절의 그 은사님 홍순복 선생
    ⑨ 신태수 교장 선생님
    ⑩ 김재현 선생님
  (18) 우리는 조선 사람인 것을 잊었어 = 207
  (19) 고창고등보통학교 설립의 기반인 흥동장학계 = 209
3. 강하게 심어온 항일 민족정신
  (1) 흥학구국의 건학이념 = 211
  (2) 표상물에 담긴 열 = 214
    ① 교훈
    ② 교가
    ③ 모표
    ④ 성호(聖虎)
  (3) 성산기 = 221
  (4) 일제에 반하는 주권적 교육 = 225
    ① 일제의 규정을 무시한 운영
    ② 교육칙어 낭독을 대소롭지 않게
    ③ 우리말(한국말)로 민족교육
  (5) 교지의 검열 대응 = 231
  (6) 일인 교사의 선택적 임용 = 232
  (7) 군사훈련에서의 저항 = 233
    ① 추계 대연습
    ② 교내 추계 야외 연습
  (8) 근로보국대에서도 민족정신을 발휘하여 귀감됨 = 236
  (9) 일본 헌병의 필적 감정 = 236
  (10) 고창고보의 체육활동 - 강인한 체력은 국력이다 = 237
  (11) 고창 중ㆍ고등학교 전신 고창고등보통학교의 역사와 민족정신 선양비문 = 240
4. 고창고보 항일 민족운동
  (1) 일제의 식민지배 정책과 만행 = 249
    ① 국권피탈 과정
    ② 민족의 수난과 시련
    ③ 일본의 통치방식 변화와 민족운동의 활성화
    ④ 민족말살정책의 전시 수탈
    ⑤ 우리민족의 저항과 일본의 패망
  (2) 일제의 강점 수탈 강압 정책 = 255
  (3) 1920년대 항일 학생운동 = 260
  (4) 선생님들이 애국 민족교육 혼 = 263
  (5) 고창고보의 한글교육 = 264
  (6) 한글학회와 고창고보 = 266
    ① 한글학회
    ② 조선어학회 사건
    ③ 한글학회에서의 고창고보 동문들의 활동
  (7) 한국 역사 교육 = 270
  (8) 학생운동 동맹휴학 = 272
  (9) 고창고보의 항일 투쟁 = 273
    ① 민족의식에 반하는 항일적 교사배척
    ② 체육교사 상해 규탄
    ③ 얄미운 순사 짓밟아 분풀이
    ④ 고창고보 6ㆍ10만세 민족운동
    ⑤ 고창고보 S당 조직
    ⑥ 이 종오 선생님의 유임 맹휴 - 독립운동 후 자주일어나는 맹휴
    ⑦ 광주학생항일 운동
    ⑧ 전주 형무소에서 옥사한 유금동
    ⑨ 일제 탈피를 위한 자립운동 - 구매조합
    ⑩ 민족교육의 선봉이셨던 세분의 떠남
    ⑪ 일본 식민지 통치 비판 제적
    ⑫ 1940년대 항일 사건
    ⑬ 전주 신흥학교가 폐교되고 고창고보로 오다
      1) 1937년 9월 25일 신흥학교 학생 전원 전입학
      2) 신사참배는 어떤것인가?
      3) 신사참배 거부와 전주 신흥학교의 폐교
      4) 폐교이후 전주신흥학교 학생의 거취(去就)
      5) 신흥교생 전학을 조건부 승인
5. 재단몰수 공립화
  (1) 1944년 3월 31일 운명의 날 = 331
  (2) 재단은 몰수되고 고창공립중학교로 전환 = 334
  (3) 일재의 마지막 발악적인 교육 형태 = 334
    태평양 전쟁
    건국동맹
  (4) 모교의 수상 26회 정기동 = 338
6. 광복과 우리 교육
  (1) 교육제도의 변화 = 345
  (2) 우리 교육의 방향 = 347
  (3) 미군정 = 350
  (4) 광복후 첫 개학 = 352
  (5) 광복기의 불안 세대, 불운과 역경의 그들 = 353
  (6) 학원분규 = 356
    ① 전국학생총연맹
    ② 서북청년회
    ③ 신탁통치 반대운동
    ④ 학도호국단
  (7) 광복후 고창중학교 교육의 경과 = 367
  (8) 6ㆍ25전쟁 = 368
    ① 동족상잔의 쓰라린 아픔
    ② 6ㆍ25와 우리의 아픔(6ㆍ25 수난사)
    ③ 6ㆍ25와 우리의 참상
    ④ 선운사 작전의 참화
    ⑤ 탑 건립의 경위
    ⑥ 선운사 작전 상황 증언
  (9) 고창중학교(6년재)가 고창고등학교로 승격 = 393
  (10) 재단법인 고창학원 설립 = 395
    ① 몰수재산 환원운동
    ② 학교법인 아닌 독립재단으로 재단법인 고창학원 설립
  (11) 4ㆍ19혁명과 변화 = 397
    ① 4ㆍ19당시 고창중ㆍ고등학교 학생들의 민주화 활동
    ② 4ㆍ19혁명의 의미
    ③ 5.16혁명
    ④ 5.16혁명으로 교육혁신
    ⑤ 한일협정 반대운동
    ⑥ 한일협정
    ⑦ 입시제도(入試制度)
    ⑧ 중ㆍ고 분리
    ⑨ 6ㆍ25이후의 학교교육의 경과
    ⑩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⑪ 전국교직원노동조합
    ⑫ 10월 유신
    ⑬ 국민교육헌장의 교육에 반영
  (1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 429
    ① 교육과정
    ② 교육과정의 변천
    ③ 미군정 시대의 교육과정
    ④ 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이념 및 목적과 내용
    ⑤ 제1차 교육과정
    ⑥ 제2차 교육과정
    ⑦ 제3차 교육과정
    ⑧ 제4차 교육과정
    ⑨ 제5차 교육과정
    ⑩ 제6차 교육과정
    ⑪ 제7차 교육과정
  (13) 정규과정 외의 서클(CIRCLE) = 450
    ① 클럽활동의 위치
    ② 클럽활동의 목적
    ③ 고창고등학교의 서클(CIRCLE)
      1) 성산학우회(聖山學友會)
      2) 군마(群馬)
      3) 정우회(情友會)
  (14) 학교 운영 지원체 = 459
    ① 육성회
    ② 학교 운영위원회
7. 동창회 임원 명단 = 46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