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81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380561 | |
005 | 20100806071311 | |
007 | ta | |
008 | 070827s2007 ggk 001a kor | |
020 | ▼a 9788935658503 ▼g 038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802.85 ▼2 22 |
090 | ▼a 802.85 ▼b 2007 | |
100 | 1 | ▼a 최혜실 ▼0 AUTH(211009)22183 |
245 | 1 0 | ▼a 문자문학에서 전자문화로 : ▼b 매체는 진화하고 이야기는 태어난다 : ▼b 최혜실의 디지털문학노트 / ▼d 지은이: 최혜실. |
260 | ▼a 파주 : ▼b 한길사 , ▼c 2007. | |
300 | ▼a 230 p. ; ▼c 22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114297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114297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211549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21154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1142979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114297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211549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802.85 2007 | 등록번호 1211549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매체의 진화 속에서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소통구조를 진단하고 가장 보편적인 이야기예술인 문학의 변화와 미래를 전망하고 있는 책. 그리고 이 전망을 위해 팬픽과 인터넷 소설, 인터넷 문화와 컴퓨터 게임, 모바일 TV와 UCC 등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지은이는 새롭게 형성된 언어공동체가 지금까지는 다른 언어문화를 보이는 점에 주목한다. 디시인사이드와 엽기문화, 댓글 등에서 말이 스스로 증식하는 현상을 찾아내고, 그 원인으로 가상과 자아의 분열, 현실과 공간의 변화 등을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현재 문학판에서 이러한 현상과 뒤섞이면서 문학 작품에 어떤식으로 반영되는지를 탐색하고 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혼란 속에서 어느 사이에 문학은 인터넷과 영상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로서의 디지털 매체의 속성상 이제 문학은 이야기로서의 속성을 원천 소스로 하여 여러 매체를 넘나들며 상호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전자공간으로 간 문학은 이제 부단하게 스스로 몸바꾸기를 하며 사람들의 삶의 전반으로까지 자신의 터전을 넓히고 있다. 이제 이런 이야기를 누군가는 만들어야 하고 누군가는 연구해야 한다. 그리고 지금 이 시점에서 그것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사람은 인쇄매체의 크나큰 영향력 속에서 영화를 누렸던, 그리하여 풍요로운 전통과 방법론의 가진 인쇄매체 시대의 이야기꾼이라고 감이 단언한다."
- 최혜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혜실(지은이)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사범대 국어교육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과 한국 현대문학 전공 문학박사. KAIST 인문사회과학부 교수를 거쳐 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미 하버드대학 한국학연구소 방문교수. 한국여성문학회 이사, 영상문화학회 이사 역임. 인문콘텐츠학회 부회장, 사이버문화학회 기획위원, HCI학회 인문사회과학분과 위원장,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이사. 《문학사상》으로 문단에 데뷔, 김환태 평론문학상 수상. 저서로 《한국 모더니즘 소설 연구》 《한국 현대소설의 이론》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모든 견고한 것들은 하이퍼텍스트 속으로 사라진다》 《한국 근대문학의 몇 가지 주제》 《디지털 시대의 문화 읽기》 《디지털 시대의 영상문화》, 편저로 《디지털 시대의 문화예술》 《성과 문화》 《사이버 문학의 이해》 《지식의 최전선》 외 다수가 있음.

목차
목차 전자문화에서 이야기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 6 1. 디지털 매체와 소통의 변화 스스로 증식하는 말 = 15 소통의 변화와 문자 중심의 인문학, 그리고 위기 = 18 소수의 지식권력에서 다수의 지식권력으로 = 19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 지식생산의 민주화 = 21 디지털 평등사회의 스타 = 26 디지털 언어 : 손가락으로 수다떨기 = 29 디시인사이드와 엽기문화 = 32 사이버 공간에서의 탈주체화 감수성 = 35 가상에서의 나-너-우리 = 40 가상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 = 45 현실과 공간의 변화 = 52 2. 디지털 시대의 문학 이야기로서의 소설 = 57 여성 소설의 구술성 = 58 사투리와 디지털 언어의 공통점 = 64 디지털 시대의 팬에 대한 성찰 = 68 황당과 허무의 의미 = 70 팬픽 세대식의 '가난'과 환상 = 74 베끼기에서 상호텍스트성으로 = 78 황당하게 혹은 진지하게 다시쓰기 = 82 3. 가상집단의식과 스토리텔링 : 팬픽 스타덤과 팬덤 = 89 인터넷의 양방향성과 집합지능 = 90 한국의 팬픽 = 92 스타트렉과 슬레이어즈 = 95 야오이에 나타난 동성애의 의미 = 98 금기를 깨는 사이버 집단의식 = 102 4. 문학의 프로슈머화 : 인터넷 문학 인터넷 문학이란 무엇인가 = 111 인터넷 문학의 독자와 작가 = 114 디지털 독서로서의 다시쓰기 = 117 귀여니 이전과 이후 = 119 멀티미디어 작가 귀여니 = 124 5. 하이퍼텍스트 문학, 넷아트, 미디어 아트 문학과 아트 그 혼란의 이유 = 133 한국의 넷아트 = 136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등장 = 140 넷아트와 하이퍼텍스트 문학의 속성 = 141 통합적 서사를 위하여 = 149 미디어 아트의 세계 = 149 6. 컴퓨터 게임의 스토리텔링 통합적 서사를 위하여 = 155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전개와 현황 = 157 게임에 나타나는 이야기적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 160 역할놀이로서의 스토리텔링 = 163 유사공간 탐색으로서의 게임 = 165 카타르시스의 불가능성 = 170 MMORPG의 스토리텔링과 게임중독 = 171 게임중독자의 스토리텔링의 특성 = 174 유비쿼터스 시대의 시대 = 175 7. 매체의 변모와 문화예술의 진화 매체의 진화 과정 = 181 매체의 변화와 문화예술의 변화 : OSMU = 183 매체의 변화와 21세기형 문화예술의 등장 = 189 UCC - 원시예술로의 복귀 = 192 8. 매체와 매체, 매체와 현실, 매체의 현실화 핍진성 증대의 세 가지 방식 = 201 인터렉티브 영화 = 201 몰입형 환경 = 203 TV와 인터넷의 만남 = 206 유선에서 무선으로 : 모바일 콘텐츠 = 208 컴퓨터가 훌륭한 시인이 될 수 있을까 = 209 주 = 217 찾아보기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