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장 저널리즘 현안
1. 이라크 전쟁 보도(스튜어트 앨런, 바비 젤리저) = 15
가. 미국의 미디어 - 국가 관계와 21세기 전쟁 = 18
나. 전쟁과 사진 저널리즘 = 25
다. 다시 살펴본 제1차 걸프전 = 28
라. 군사화된 저널리즘 - 걸프전에서 드러난 반전 보도 뉴스프레임 = 32
마. 전쟁이냐 평화냐 - 영국언론의 보도 = 37
바. 먼 거리의 문화 - 이라크전의 온라인 보도 = 40
사. 서평자 총평 = 43
2. CNN, 걸프전, 그리고 언론의 관행(바비 젤리저) = 44
3. 온라인 저널리즘(리처드 크레이그) = 47
제2장 미디어의 상업화와 직무 일탈
1. 부유한 미디어, 가난한 민주주의(로버트 먹체즈니) = 69
2. 다시 본 미디어 독점(벤 바그디키언) = 83
3. 보도보다 논평에 치중하는 미국 미디어(빌 코바치) = 98
4. 언론의 직무 유기(진 로버츠, 토머스 쿤컬) = 112
제3장 미디어와 정치
1. 뉴스는 허깨비를 추구하는 정치(랜스 베넷) = 125
2. 미디어 권력과 미디어 정치(마크 로젤) = 138
3. 미디어 토론(에버렛 데니스, 존 메릴) = 159
제4장 국제 커뮤니케이션
1. 이슬람 보도(에드워드 사이드) = 171
2. 글로벌 저널리즘(아놀드 드비어, 존 메릴) = 183
3. 영국 뉴스 미디어의 위기(앤서니 샘프슨) = 199
제5장 언론의 법과 윤리
1. 미국의 매스미디어법(돈 펨버) = 209
2. 도덕적 미디어(리 윌킨스, 레니타 콜먼) = 263
3. 뉴스 파괴하기(제임스 팰로우스) = 272
제6장 뉴스의 이념성
1. 뉴스 결정의 이념적 한계(토드 기틀린) = 295
2. 미디어는 무엇을 논박할 수 있나 - 미디어와 베트남전(대니얼 핼린) = 301
3. 미국 언론의 과거 보도행태(데이비스 메릿) = 305
4. 매스미디어의 의제설정 기능(맥스웰 맥쿰즈 등) = 309
제7장 뉴스제작
1. 기자와 관리(리언 시걸) = 317
2. 무엇을 뉴스로 결정할 것인가(허버트 갠스) = 324
3. 뉴스룸의 사회적 통제(워런 브리드) = 331
4. 출입처 제도와 관료주의적 뉴스 제작(마크 피시먼) = 346
5. 충돌은 뉴스룸의 문화 규범(찰스 반츠) = 352
6. ‘문지기’의 사례 연구(데이비드 매닝 화이트) = 359
제8장 뉴스론 원론
1. 이름이 뉴스를 만든다(버나드 로시코) = 365
2. 뉴스, 이미지, 유사 사건(대니얼 부어스틴) = 368
3. 뉴스는 지식의 한 형태인가(로버트 팍) = 372
4. 뉴스론(論)의 고전 - “여론” (월터 리프만) = 375
부록 저널리즘 영어 연구
1. 기자 직함의 영문 표기법 = 379
가. 뉴욕 타임스 기자들의 직합과 편집국 구조 = 381
나. 워싱턴 포스트 기자들의 직함과 편집국 구조 = 392
2. 저널리즘 영문 표현 모음 = 400
3. 서평자의 영문 페이퍼와 논평 = 440
가. ‘동참 저널리즘(Embedded Journalism)’의 기원과 평가 = 441
나. 기사 소유권 소송(AP vs INS) = 474
다. ‘부유한 미디어, 가난한 민주주의’영문 논평 = 503
라. 미디어의 기업적 측면(The Business of Media) = 510
마. 미디어윤리(Media Ethics: Cases and Moral Reasoning) = 515
바.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역사 = 521
사. 뉴스 파괴하기(Breaking The News) = 526
참고문헌(REFERENCES) = 532
집필을 끝내고 =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