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행정학 총설
1편 행정의 기초
Chapter 01 행정의 의의 = 4
Chapter 02 행정과 정치 = 8
Chapter 03 행정과 경영 = 14
Chapter 04 행정과 환경 = 19
1절 환경연구의 기초 = 19
1항 행정과 환경 = 19
2절 전통적 행정환경 : 산업사회 = 25
3절 전통적 행정환경의 변화 = 27
1항 기술적 환경의 변화 : 정보화 = 27
2항 경제적ㆍ국제적 행정환경의 변화 : 세계화 = 36
3항 사조의 변화 : 탈근대주의(post-modernism) = 40
4항 사회적 행정환경의 변화 : 시민사회와 NGO = 44
1목 시민사회 = 44
2목 시민참여 = 47
3목 NGO = 52
5항 정치적 행정환경의 변화 : 민주화와 지방화 = 63
1목 민주화 = 63
2목 지방화 = 64
Chapter 05 행정의 한계와 새로운 대안 = 66
1절 현대행정의 의의 = 66
2절 현대행정의 한계 = 66
1항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66
2항 시민실패 = 72
1목 지역이기주의:서초구 원지동 추모공원 건립 사건을 중심으로 = 72
2목 집단이기주의 : 이익집단 = 77
3절 현대행정의 새로운 대안 = 82
1항 정부규제의 개혁 = 82
1목 정부규제의 문제점과 규제개혁 방안 = 82
2목 Wilson의 규제정치이론 = 91
3목 재규제 = 94
2항 신행정국가 : 행정국가에서 신행정국가로 = 97
1목 국가와 행정의 상호작용 = 97
2목 행정국가 = 99
3목 신행정국가 = 105
3항 핵심정부와 행정능력론 = 112
1목 핵심정부 : 소수 독점정부에서 핵심행정부로 = 112
2목 행정능력론 = 117
4항 새로운 통치로서 거버넌스 모형의 모색 = 121
2편 행정학의 기초
Chapter 01 행정학의 의미와 성격 = 122
Chapter 02 행정학의 성립과 변천 = 124
1절 행정학의 성립 = 124
2절 행정학의 변천 = 127
1항 시대구분 = 127
2항 현대 행정학 태동의 사상적 배경 = 128
3항 전통(고전) 행정학의 성립과 발전기 = 132
1목 Wilson의 논의와 행정학의 탄생 = 132
2목 전통적 행정모형 = 133
3목 정통파 학설의 발전(1917~1940) = 142
4항 전통 행정학에 대한 도전과 다원적 분화 = 142
5항 행정학의 전환기 = 147
Chapter 03 행정학 접근방법 = 152
1절 접근방법의 의의 = 152
2절 행정학의 전통(고전)적 접근방법 = 153
1항 역사적 접근방법 = 153
2항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 방법 = 154
3절 행정학의 주류적 접근방법 = 154
1항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154
2항 사회심리적 접근방법 = 155
3항 행태론적 접근방법 = 155
4항 생태론적 접근방법 = 158
5항 체제론적 접근방법 = 159
4절 행정학의 현대적 접근방법 = 160
1항 후기행태주의적 접근방법 = 160
2항 공공 선택론적 접근방법 = 160
3항 해석학과 현상학적 접근방법 = 168
4항 신제도론적 접근 방법 = 171
5항 네트워크적 접근방법 = 171
6항 성찰적 언어 패러다임 접근방법 = 172
3편 행정이념과 행정의 새로운 가치
Chapter 01 행정이념 = 174
1절 행정이념의 의의 = 174
2절 행정이념의 궁극적 가치와 전개 = 175
1항 행정이념의 궁극적 가치 = 175
1목 공익 = 175
2목 공공성 = 184
2항 행정이념의 유형 = 187
1목 능률성 = 187
2목 민주성 = 191
3목 합리성 = 195
4목 효과성 = 198
5목 형평성(equity) = 199
6목 생산성 = 204
3항 기타 강조되고 있는 행정이념 : 대응성과 가외성 = 209
1목 대응성 = 209
2목 가외성 = 214
4항 행정이념간 갈등과 조화 = 218
Chapter 02 행정의 새로운 가치 = 224
1절 사회적 자본 = 224
2절 신뢰 = 232
3절 투명성 = 240
4편 행정학의 주요이론
Chapter 01 신제도주의와 분파이론 = 245
1절 신제도주의 = 245
2절 신제도주의 분파이론 = 266
1항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 분파이론 = 266
1목 관청형성모형 = 266
2목 거래비용이론 = 271
3목 대리인 이론과 청지기 이론 = 275
[제1소목] 주인-대리인 이론 = 275
[제2소목] 주인-대리인 이론의 확장 = 279
[제3소목] 청지기 이론 = 280
4목 재산권 이론(Property Right Approach) = 282
5목 게임이론 = 285
2항 역사적 제도주의 분파이론 = 288
1목 시차적 접근(time lag approach) = 288
2목 카오스 이론 = 292
3항 사회학적 제도주의 분파이론 : 신문화이론 = 297
Chapter 02 신공공관리론(NPM) = 304
1절 신공공관리론 = 304
2절 정부기능재배분 = 318
3절 민영화 = 319
4절 민간위탁 = 324
5절 행정의 경영화 = 329
Chapter 03 뉴거버넌스론 = 332
1절 뉴거버넌스 = 332
2절 사이버 거버넌스 = 349
3절 참여모형 = 351
4절 자유주의와 신공동체주의 = 357
5절 정책네트워크 = 365
6절 신공공서비스론 = 368
2부 조직이론
1편 조직이론의 기초
Chapter 01 조직의 의의와 성격 = 376
Chapter 02 조직이론의 접근방법 = 378
Chapter 03 조직이론의 발전 = 382
1절 조직의 중요성과 조직이론의 분류 = 382
2절 조직이론의 발전 = 384
3절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 388
Chapter 04 조직과 환경 = 394
Chapter 05 조직의 목표 = 398
Chapter 06 조직과 개인 = 402
2편 조직구조론
Chapter 01 조직구조의 변수와 원리 = 413
1절 조직구조의 변수 = 413
2절 고전적 조직구조의 원리 : 원리주의 = 418
Chapter 02 고전적 조직 : 관료제 = 421
Chapter 03 탈고전적 조직구조 = 427
1절 탈고전 구조형성의 원리 = 427
2절 조직의 동태화 = 435
1항 조직의 동태화 = 435
2항 동태적 조직의 구조(adhocracy) = 440
3절 팀제 = 446
4절 네트워크 조직 = 456
5절 학습조직 = 461
Chapter 04 관료제와 민주주의 = 468
Chapter 05 제3부문의 조직 = 475
1절 제3부문 = 475
2절 대리정부(제3자 정부) = 477
3절 책임운영기관 = 482
4절 정부위원회 = 489
1항 위원회조직 = 489
2항 독립규제위원회 = 495
5절 준정부조직 = 500
1항 준정부조직의 개관 = 500
2항 공기업(public enterprise) = 505
3항 공기업의 민영화 = 508
3편 조직행태론
Chapter 01 동기부여 = 519
1절 동기부여 이론의 의의 = 519
2절 내용이론 = 521
3절 과정이론 = 524
4절 자율규제와 초인지이론 = 527
Chapter 02 리더십 = 529
1절 리더십 개관 = 529
2절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 538
Chapter 03 조직발전 = 542
3부 인사행정론
1편 인사행정의 기초
Chapter 01 인사행정의 의의 = 546
Chapter 02 인사행정의 목표 : 직무와 개인의 통합 = 549
Chapter 03 인사행정과 인적자원 관리 = 552
Chapter 04 인사행정의 발달 = 555
1절 절대군주국가 시대 직업공무원제 = 555
2절 엽관제 (spoil system) = 556
3절 실적체제 = 559
4절 대표관료제 = 563
5절 직업공무원제(Career Civil Service System) = 569
6절 최근 인사행정의 경향 = 576
Chapter 05 중앙인사기관 = 577
Chapter 06 직업구조의 형성 = 586
1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 586
2절 고위공무원단 제도 = 594
Chapter 07 인력계획 = 604
Chapter 08 총액인건비제도 = 610
2편 공직의 충원
Chapter 01 외부임용 = 618
1절 개방형 인사체제 = 618
2절 정부 - 비정부 부문간 인사교류제도 = 623
3절 민간근무휴직제도 = 628
Chapter 02 내부임용 = 630
1절 인사이동 = 630
2절 승진 = 632
3절 공무원의 경력발전 = 637
4절 순환보직과 전문성 = 639
5절 경력개발제도(CDP) = 643
3편 능력발전
Chapter 01 교육훈련 = 649
Chapter 02 근무성적평정 = 654
Chapter 03 직무성과계약제도 = 667
Chapter 04 다면평가제 = 671
Chapter 05 생산성 = 678
4편 권익보호와 사기 앙양
Chapter 01 공무원의 권익보호 = 684
Chapter 02 사기 = 691
Chapter 03 보수 = 697
1절 보수제도 = 697
2절 성과급 = 708
3절 연봉제 = 720
Chapter 04 정년과 연금제도 = 722
1절 정년제도 = 722
2절 연금제도 = 726
Chapter 05 퇴직관리 = 731
5편 인사행정의 규범
Chapter 01 정치적 중립 = 735
Chapter 02 공무원단체 = 742
6편 인사행정의 혁신
Chapter 01 한국정부의 인사혁신 노력 = 752
Chapter 02 한국 인사행정의 현안과 과제 = 756
Chapter 03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방안 = 759
4부 재무행정론
1편 재무행정의 기초
Chapter 01 예산의 기초 = 770
Chapter 02 예산의 원칙과 분류 = 778
1절 예산의 원칙 = 778
2절 예산의 분류 = 782
Chapter 03 예산 이론의 흐름 = 787
Chapter 04 예산의 정치적 성격 = 791
2편 예산제도 유형론
Chapter 01 예산제도의 발달사 = 796
Chapter 02 성과관리(예산)제도 = 806
Chapter 03 자본예산제도 = 814
3편 예산과정론
Chapter 01 예산과정 개관 = 821
Chapter 02 예산편성론 = 829
1절 예산편성의 의의 = 829
2절 국가중기재정계획 = 830
3절 거시적 예산결정과 미시적 예산결정 = 835
4절 총액배분ㆍ자율편성(Top-down) 예산제도 = 838
5절 예산결정에서의 점증주의와 합리주의 = 846
Chapter 03 예산심의론 = 850
1절 예산심의의 의의와 과정 = 850
2절 예산심의의 결정요인 = 851
3절 국회예산정책처 = 853
Chapter 04 예산집행론 = 857
1절 예산집행의 의의와 과정 = 857
2절 예산집행의 통제와 신축성 유지방안 = 857
Chapter 05 결산 및 회계검사 = 863
1절 결산 및 회계검사 = 863
1항 결산 = 863
2항 회계검사 = 865
2절 성과감사 = 869
4편 예산개혁론
Chapter 01 선진국 예산제도 개혁 = 878
1절 재정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 878
2절 선진국 예산개혁의 동향 = 880
Chapter 02 참여정부 예산개혁 = 887
1절 참여정부 예산개혁의 의의와 한계 = 887
2절 〈3+1〉 예산제도 = 893
Chapter 03 디지털예산회계제도 = 895
Chapter 04 프로그램 예산제도 = 901
Chapter 05 복식부기와 발생주의 회계제도 = 905
Chapter 06 시민참여예산 = 914
5부 행정규범과 행정통제론
1편 행정규범론
Chapter 01 행정문화 = 920
Chapter 02 행정윤리 = 927
2편 행정책임과 통제
Chapter 01 행정책임과 통제 = 934
Chapter 02 관료부패 = 943
Chapter 03 내부고발자 제도 = 954
6부 행정관리와 행정개혁
1편 행정관리론
Chapter 01 행정관리 = 962
Chapter 02 갈등관리 = 964
1절 조직의 갈등관리 = 964
2절 정책갈등 = 969
Chapter 03 목표관리제(MBO) = 976
Chapter 04 총체적 품질관리(TQM) = 981
Chapter 05 성과관리 = 987
Chapter 06 균형성과표(BSC) = 994
Chapter 07 정책품질관리 = 1007
Chapter 08 지식관리 = 1011
Chapter 09 통합국정평가제도 = 1014
2편 행정개혁론
Chapter 01 행정개혁 개관 = 1023
1절 행정개혁 = 1023
Chapter 02 점진적 행정개혁 = 1032
Chapter 03 hardware 행정개혁과 software 행정개혁 = 1038
Chapter 04 공공서비스 혁신과 시민헌장 = 1043
1절 공공서비스 혁신 = 1043
2절 행정서비스 헌장제도 = 1048
Chapter 05 행정개혁의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 1056
Chapter 06 행정개혁의 저항과 극복방안 = 1065
3편 미래정부론
Chapter 01 작은 정부 = 1069
Chapter 02 고객지향정부 = 1075
Chapter 03 지식정부 = 1082
Chapter 04 전자정부 = 1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