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5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378880 | |
005 | 20100806064935 | |
007 | ta | |
008 | 070711s2007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0785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0969788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70 ▼2 22 |
090 | ▼a 370 ▼b 2007e | |
245 | 0 0 | ▼a (새로운 교직과정을 위한) 교육학개론 = ▼x Introduction to education in the 21st centtury / ▼d 강영삼 [외저]. |
260 |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7. | |
300 | ▼a xv, 427 p. : ▼b 삽도 ; ▼c 27 cm. | |
500 | ▼a 공저자: 이성흠, 김진영, 조상철. | |
504 | ▼a 참고문헌(p. 401-413)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영삼 ▼0 AUTH(211009)22186 |
700 | 1 | ▼a 이성흠 ▼0 AUTH(211009)25221 |
700 | 1 | ▼a 이진영 |
700 | 1 | ▼a 조상철 ▼0 AUTH(211009)21802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114289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114289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512450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512450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114289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114289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512450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70 2007e | 등록번호 1512450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ⅲ 제Ⅰ부 교육의 이해 제1장 인간과 교육 : 행복한 삶과 교육의 필요성 = 3 제1절 인간이해와 인간발달 = 3 1. 인간이해의 여러 가지 관점 = 3 2. 인간발달의 교육적 관점 = 10 제2절 인간의 성장과 행복한 삶 = 13 1. 인간의 총체적 성장 = 13 2. 행복한 삶의 조건으로서 교육 = 14 제3절 교육의 기본적 의미와 개념 = 16 1. 교육의 어원 = 16 2. 교육의 정의 = 19 제4절 교육의 구성요소 = 20 1. 교수자 = 21 2. 학습자 = 22 3. 교육내용 = 23 제5절 교육의 형태 = 24 1.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 = 24 2. 가정교육, 학교교육, 그리고 사회교육 = 25 제6절 교육학의 탐구영역 = 29 1. 교육활동과 교육학 탐구영역 = 29 2. 이 책의 구성 = 33 제Ⅱ부 교육의 역사ㆍ철학적 기초 제2장 교육철학 : 교육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철학적 탐구 = 37 제1절 교육의 철학적 기초 = 37 1. 어원적 의미에서의 철학 = 37 2. 교육철학의 의미 = 39 3. 교육철학의 특성 = 40 제2절 철학의 탐구영역과 교육 = 41 1. 형이상학과 교육 = 42 2. 인식론과 교육 = 44 3. 윤리학과 교육 = 46 4. 논리학과 교육 = 48 제3절 현대의 교육철학 사조 = 49 1. 진보주의 교육운동 = 49 2. 본질주의 교육사상 = 51 3. 항존주의 교육사상 = 52 4. 재건주의 교육사상 = 53 5. 포스트모던과 교육 = 54 제3장 교육의 역사 : 교육(학)의 역사적 전개과정 이해 = 59 제1절 교육의 역사적 기초 = 59 1. 교육사의 의미 = 59 2.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 61 제2절 우리나라의 교육사 = 62 1. 원시시대 교육 = 63 2. 삼국시대 교육 = 64 3. 고려시대 교육 = 67 4. 조선시대 교육 = 68 5. 개화기와 주권상실기 교육 = 69 6. 해방 후 우리나라 교육변화와 방향 = 71 제3절 서양의 교육사 = 73 1. 고대의 교육 = 73 2. 중세의 교육 = 75 3. 문예부흥기와 종교개혁기의 교육 = 76 4. 근대의 교육 = 78 제Ⅲ부 교육의 심리적 기초 제4장 교육심리학 : 인간 발달과 행동 이해를 통한 교수ㆍ학습의 심리학적 접근 = 85 제1절 인간발달과 교육심리학 = 85 1. 인간발달의 의미와 원리 = 85 2. 인간발달의 영역과 교육심리학 = 87 제2절 인간행동의 특성과 교육 = 95 1. 인지적 특성과 교육 = 95 2. 정의적 특성과 교육 = 100 제3절 교수ㆍ학습과정과 교육 = 106 1. 교수ㆍ학습의 개념과 강조점 = 106 2. 교수이론 = 108 3. 학습이론 = 111 제5장 생활지도 : 인간적 성숙한 삶을 촉진하는 활동으로서 상담과 진로교육 = 115 제1절 생활지도의 기초 = 115 1. 생활지도의 의미 = 115 2. 생활지도의 필요성 = 117 제2절 생활지도의 활동과 내용 영역 = 120 1. 생활지도의 활동 = 120 2. 생활지도의 내용 = 124 제3절 생활지도와 상담활동 = 125 1. 상담의 의미 = 125 2. 상담의 목표 = 126 3. 상담이론 = 127 제4절 생활지도와 진로교육 = 133 1. 진로교육의 의미 = 133 2. 삶의 설계와 진로계획 = 134 3. 진로결정 요인 = 136 제6장 특수교육 : 특별한 학습문제와 재능을 가진 학습자에 대한 이해 = 143 제1절 특수교육 이해의 기초 = 143 1. 특수한 학습자와 관련된 용어 = 143 2. 특수교육의 기초 = 145 제2절 학습문제를 가진 학습자 = 147 1. 시각장애 = 147 2. 청각장애 = 149 3. 정신지체 = 150 4. 지체부자유 = 152 5. 정서(행동)장애 = 153 6. 의사소통장애 = 155 7. 학습장애 = 156 제3절 영재 및 재능이 있는 학습자 = 158 1. 영재의 개념 및 기준 = 159 2. 영재아의 특성과 변별 = 161 3. 영재교육의 실천 = 162 제4절 효과적인 특수교육을 위한 통합교육의 운영 = 165 1. 통합교육의 필요성 = 165 2. 통합학급에서 교사의 역할 = 166 제Ⅳ부 교육의 내용 및 방법적 기초 제7장 교육과정 : 가르치고 배우는 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관한 교육과정 탐구 = 171 제1절 교육과정의 개념적 기초 = 171 1. 교육과정의 의미와 영역 = 172 2. 교육과정 개념의 다양성 = 174 제2절 교육과정의 유형 = 178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178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179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180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181 5. 지식기반사회의 학생중심 교육과정 = 183 제3절 교육과정의 계획과 구성 = 184 1. 교육목표의 설정 = 185 2. 교육내용의 선정 = 186 3. 교육내용의 조직 = 187 제4절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189 1. 해방전(解放前) 교육과정 = 189 2. 해방후(解放後) 교육과정 = 190 제8장 교육평가 : 교육목표 달성 정도와 가치 판단을 위한 측정과 평가의 이해 = 197 제1절 교육평가의 이론적 기초 = 197 1. 교육평가의 발달 = 198 2. 교육평가의 정의 = 199 제2절 학교학습과 교육평가의 역할 = 200 1.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 200 2. 교육평가의 목적과 기능 = 201 제3절 교육평가의 유형 = 204 1. 평가기준에 따른 교육평가 유형 = 204 2. 평가기능에 따른 교육평가 유형 = 205 3. 대안적 평가방법과 수행평가 = 206 제4절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 208 1. 교육목표의 확인 = 208 2. 평가방법의 결정 = 209 3.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209 4. 평가의 실시 및 결과처리 = 213 5. 평가결과의 해석 및 활용 = 213 제9장 교육공학 : 교수ㆍ학습 과정과 교수설계에 기초한 효과적 매체활용 = 215 제1절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체제의 변화 = 215 1. 정보ㆍ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사회 = 215 2. 지식기반사회와 교육체제 변화 = 217 제2절 교수ㆍ학습과정과 교육방법 = 219 1. 교수ㆍ학습의 과정 = 219 2. 교육방법 = 221 제3절 교육공학의 개념과 탐구영역 = 224 1. 교육공학의 개념 = 224 2. 교육공학의 탐구영역 = 226 제4절 교수설계와 교수ㆍ학습매체 = 228 1. 교수설계 = 228 2. 수업방법과 교수ㆍ학습매체 = 230 제5절 효과적인 매체활용과 교육개혁의 가능성 = 234 1.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234 2. 교수ㆍ학습매체 활용의 유형 = 236 3. 수업매체의 효과적 활용과 교육개혁 = 238 제Ⅴ부 교육의 사회적 기초 제10장 교육사회학 : 교육현상의 사회학적 이해와 탐구 = 243 제1절 교육의 사회적 기초 = 243 1. 교육현상의 사회적 기초 = 243 2. 교육사회학의 주요이론 = 246 제2절 교육의 사회적 기능 = 247 1. 문화전승 기능 = 247 2. 사회혁신 기능 = 248 3. 사회통합 기능 = 249 4. 사회충원 기능 = 250 5. 사회이동 촉진기능 = 250 제3절 사회화와 교육 = 251 1. 사회화의 의미 = 251 2. 사회화의 내용 = 252 3. 사회화의 주관자 = 254 제4절 문화와 교육 = 257 1. 문화의 개념 = 257 2. 문화의 특성 = 257 3. 문화의 기능 = 258 4. 문화의 내용 = 259 5. 문화와 교육 = 260 제5절 학교사회 특성과 교육 = 262 1.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 263 2. 학교의 관료적 특성과 전문적 특성 = 265 3. 사회조직으로서의 학교 = 267 4. 학교교육의 문제와 대안교육 = 270 제11장 평생교육 : 평생학습사회 삶의 양식으로서 평생교육 이해 = 277 제1절 평생교육의 기초 = 277 1. 평생교육의 개념 = 277 2. 평생교육과 유사개념 = 279 3. 평생교육의 필요성 = 282 제2절 평생교육의 교육내용 = 283 1. 평생교육의 내용 = 283 2.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유형과 내용 = 284 제3절 평생교육의 교육대상 = 285 1. 보육교육 = 285 2. 부모교육 = 287 3. 노인교육 = 289 4. 여성교육 = 290 5. 청소년교육 = 293 제4절 평생교육의 방법과 주관자 = 294 1. 인터넷을 통한 교육 = 294 2. 대중매체를 통한 교육 = 296 3. 문화시설을 통한 교육 = 297 4. 각종 기관을 통한 평생교육 = 299 제5절 평생학습도시와 평생교육의 미래 = 301 1. 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 301 2. 평생학습도시의 발전 방향과 평생교육의 미래 = 303 제12장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 효과적 학교운영을 위한 교육의 조직과 행정의 이해 = 305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 305 1. 교육행정의 개념 = 305 2. 교육행정의 성격 = 308 3. 교육행정의 원리 = 311 4. 교육행정의 영역과 연구동향 = 312 제2절 교육제도와 교육행정조직 = 315 1. 우리나라의 교육제도 = 315 2. 교육행정조직 = 317 제3절 효과적 교육을 위한 관리행정 = 322 1. 교육인사관리 = 322 2. 교육재정관리 = 324 3. 교육시설관리 = 326 제4절 효율적인 교육지도성 = 329 1. 효율적인 교육지도성 = 329 2. 지도성의 개념 = 329 3. 지도성에 관한 여러 가지 접근 = 330 4. 학교경영자의 바람직한 지도성 = 337 제Ⅵ부 교육의 미래 전망 제13장 교직전문성과 교사 : 교직전문성과 참다운 스승의 길 = 343 제1절 교직과 교사전문성 = 343 1. 교직과 교사전문성 = 344 2. 교직전문성의 당위성 = 345 3. 교직전문성 저해요인 = 347 4. 교직전문성 향상을 위한 과제 = 350 제2절 교사의 자질과 자격 = 352 1. 교사 자질의 개념 = 352 2. 교사자격의 종류와 취득요건 = 354 3. 교사자격제도의 문제점과 발전과제 = 355 제3절 교사의 권리와 의무 = 356 1. 교사의 권리 = 356 2. 교사의 의무 = 358 3. 국제노동기구(ILO)에서 권고한 교사의 권리와 책임 = 360 4. 우리나라의 교사윤리강령 = 363 제4절 교사 양성교육과 교사연수 = 364 1. 교사양성 과정 = 364 2. 교사선발 과정 = 364 3. 교사의 현직교육 = 366 4. 현직교육의 문제점 = 373 5. 현직교사 연수의 해결과제 = 375 제5절 교원단체 = 376 1. 교원단체의 의의 = 376 2. 우리나라의 교원단체 현황 = 377 3. 교원단체의 해결과제 = 378 제14장 교육의 미래 :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우리나라 교육의 과제와 전망 = 381 제1절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학습사회 = 381 1. 지식기반사회의 성숙 = 382 2. 학습사회의 전개와 교육의 역할 = 384 제2절 교육발전을 위한 교육개혁과 미래교육 = 386 1. 교육발전을 위한 교육개혁 = 386 2.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교육 = 388 제3절 우리나라 교육의 발전과제와 미래 전망 = 391 1. 교육의 발전과제 = 391 2. 교육의 미래 전망 = 394 제4절 결언: '행복한 삶'을 위한 교육 = 397 참고문헌 = 401 찾아보기 =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