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언론의 범죄보도와 관련된 제문제 고찰

한국언론의 범죄보도와 관련된 제문제 고찰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태희
Corporate Author
법무연수원
Title Statement
한국언론의 범죄보도와 관련된 제문제 고찰 / 김태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용인 :   법무연수원 ,   2007.  
Physical Medium
124 p. ; 27 cm.
기타표제
법원연수원 연구위원 논문 2007년 3월.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122-124
000 00631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378699
005 20100806064653
007 ta
008 070615s2007 ggk b 000c korFC
035 ▼a (KERIS)BIB000010935990
040 ▼a 211040 ▼c 211040 ▼d 211009
082 0 4 ▼a 070.4/49364 ▼2 22
090 ▼a 070.449364 ▼b 2007
100 1 ▼a 김태희
245 1 0 ▼a 한국언론의 범죄보도와 관련된 제문제 고찰 / ▼d 김태희.
246 0 3 ▼a 법원연수원 연구위원 논문 2007년 3월.
260 ▼a 용인 : ▼b 법무연수원 , ▼c 2007.
300 ▼a 124 p. ; ▼c 27 cm.
504 ▼a 참고문헌: p. 122-124
710 ▼a 법무연수원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70.449364 2007 Accession No. 1114288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범위·내용 = 2
Ⅱ. 현대사회와 언론의 기능
  1. 현대사회와 언론 = 3
  2. 언론의 자유에 대한 각국의 법리 = 4
    가. 미국 = 4
    나. 영국 = 5
    다. 독일 = 5
    라. 프랑스 = 5
  3. 언론 및 범죄보도의 개념 = 6
    가. 언론의 개념 = 6
    나. 범죄보도의 개념 = 7
  4. 범죄보도의 사회적 기능 = 8
    가. 긍정적 기능 = 8
    나. 부정적 기능 = 9
Ⅲ. 한국언론의 범죄보도 관행
  1. 범죄보도 경향 = 11
    가. 범죄혐의중심의 보도 = 11
    나. 폭로중심의 보도 = 11
    다. 선정적 보도 = 12
  2. 한국언론의 범죄보도의 문제점 = 13
    가. 인격권 침해의 문제점 = 13
    나. 선정주의와 비윤리성의 문제 = 14
    다. 오보문제 = 15
    라. 형사사법체제 전반에 대한 대국민 불신풍조 조장 = 15
  3. 한국언론보도 관행의 원인 = 16
  4. 범죄보도관행의 개선방안 = 17
    가. 구조적 측면의 개선 = 17
    나. 기자요인의 개선 = 20
    다. 취재원 요인의 개선 = 21
    라. 규제요인의 활성화 = 22
Ⅳ. 범죄보도의 단계별 고찰
  1. 수사이전단계와 범죄보도 = 24
    가. 탐사보도의 기능과 문제점 = 24
    나. 취재원 비익권 = 26
  2. 수사활동과 범죄보도 = 29
    가. 수사과정의 동행취재 문제 = 29
    나. 언론을 통한 피의사실공표 문제 = 30
    다. 특별법상 보도금지규정 = 32
    라. 위법취재와 증거능력 문제 = 34
    마. 기자의 피의자접견권 = 35
  3. 재판과 범죄보도 = 36
    가. 법정개정전의 경우 = 36
    나. 개정중의 경우 = 37
    다. 휴정중·폐정후의 경우 = 38
    라. 판결선고의 경우 = 38
    마. 법정 내에서의 기자의 메모행위 = 38
Ⅴ. 범죄보도와 인격권 침해
  1. 인격권의 개념 = 40
  2. 범죄보도와 명예권 침해 = 41
    가. 개설 = 41
    나. 명예훼손 보도의 유형 = 41
  3. 범죄보도와 초상권 침해 = 45
    가. 초상권의 개념 = 45
    나. 성립요건 = 46
    다. 공적인물과 초상권 = 46
    라. 침해의 유형 = 47
  4. 범죄보도와 성명권 침해 = 50
    가. 성명권의 개념 = 50
    나. 익명보도의 원칙과 예외 = 50
  5. 범죄보도와 기타의 인격 침해 = 51
Ⅵ. 언론의 범죄보도로 인한 피해구제제도
  1. 언론의 자유에 대한 각 국의 규제개관 = 53
    가. 미국 = 53
    나. 영국 = 54
    다. 독일 = 54
  2. 우리나라 피해구제 개설 = 54
  3. 형사상구제 = 56
    가. 피의사실공표죄 = 56
    나. 명예훼손죄 = 63
    다. 기타 형사상구제 = 74
  4. 민사상 구제 = 76
    가. 손해배상 = 76
    나. 명예회복에 적당한 처분 = 87
    다. 금지청구 = 91
  5. 특별구제제도 = 94
    가. 개설 = 94
    나. 정정보도 및 반론보도청구제도 = 94
    다. 추후보도청구권 = 109
  6. 기타 구제제도 = 111
    가. 언론중재위원회에 의한 구제 = 111
    나. 언론중재 및 피해구조 등에 관한 법률상 침해정지, 예방청구제도 = 114
    다. 형법상 판결공시제도 = 114
    라. 언론기관의 자율적 규제 = 115
    마. 여론을 통한 규제 = 117
Ⅶ. 결론
참고문헌 = 12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방송기자상수상집편찬위원회 (2023)
김지혜 (2023)